도시재생사업 인지도가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 - 청주시 중앙동 도시재생사업 대상지를 중심으로 -

Impacts of Awarenes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on place attachment : Focused on Urban Regeneration project of Jungang-dong in Cheongju

  • 오후 (충북대학교 환경.도시.화학공학과) ;
  • 장인수 (충북대학교 환경.도시공학과) ;
  • 황희연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Oh, Hoo (Department of Environmental.Urban.Chemic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Jang, In Soo (Department of Environmental.Urban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Hwang, Hee Yun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6.08.09
  • 심사 : 2016.08.25
  • 발행 : 2016.08.31

초록

도시재생(Urban Regeneration)은 지역의 경제적 발전과 활성화 도모를 궁극적 목표로 한다. 도시재생사업의 목표달성과 지속적 운영을 위해서는, 그 장소를 찾는 사람들의 인식을 살펴야 하며 이러한 인식은 그 장소에 많은 관심과 방문을 유도함으로써 지역 활성화 등의 실현수단이 되는 장소애착(place attachment)으로 대변된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을 진행 중인 청주시 중앙동을 중심으로 물리적 환경과 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를 측정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인지도가 장소애착 형성에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용객은 도시재생사업 요인을 인지함으로써 '나는 이곳에 오래 머무르고 싶다', '나는 현재 장소의 모습이 바뀌면 그리울 것이다'라는 장소애착을 형성하지만 '이곳은 다른 곳과 차별적이다'라는 장소애착은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물리적 환경과 활동 프로그램을 동시에 반영하고 보다 풍부한 이용객의 심리를 형성하는 도시재생사업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ultimate goal of urban regeneration is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region. In order to continue to management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to achieve a goal, we should look at the recognition of people visiting the place. This recognition is represented as a place attachment. Place attachment is the realizing means for local activation by inducing a lot of attention and a visit to place. Accordingly, this study was selected the Jungang-dong in Cheongju as a case study and measured awarenes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activity programs. Based on the survey,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s of awarenes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on place attachment by carrying ou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tical results, Visitors formed an place attachment called 'I want to stay here longer' and 'I will miss here if this place has changed'. However, visitors are unable to form an place attachment called 'Here is a distinctive place'.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o reflect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activities programs at the same time and form the rich psychology of visitors.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용섭.윤유식, 2005, 지역주민의 장소애착심에 따른 관광지 평가에 관한 연구, 호텔리조트카지노연구 4(2), 511-525.
  2. 김덕현.김현주.심승희(편역) 2005, 장소와 장소상실, 서울: 논형(Relph. E., 1976,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Limited)
  3. 김동근, 2011, 단기 주거에서의 장소애착에 대한 연구: 대학교 기숙사생 및 자취생을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2(5), 79-90.
  4. 김미영.문정민, 2013, 장소성 형성의 공간구현 전략과 실행요소 연구: 공공 공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22(6): 190-198.
  5. 김철원.황미란, 2015, 지역주민의 전시컨벤션센터에 대한 장소애착심이 장소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무역전시연구 10(2), 1-23.
  6. 김태동, 2014, 도시재생사업의 주민만족도에 대한 창원과 청주 사례 비교 분석, 충북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7. 김현미, 2007, 지방도심 재생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박형철, 2005, 독일과 영국의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성순아, 2015,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민참여활동의 영향 분석,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성순아.윤두원.정진호.황희연, 2015, 도시재생 상권활성화 프로그램 효과 분석: 청주시 중앙동을 중심으로, 국토지리학회지 49(1), 15-25.
  11. 신진규, 2014, 장소성에 대한 판단과 개인의 장소 애착이 방문거리와 소비금액에 미치는 영향: 홍대, 신촌, 건대, 신천지역을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어정연.여홍구, 2010, 장소개념에서의 장소가치에 대한 논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5(6), 21-34.
  13. 윤지훈, 2007, 동경의 도시재생사례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윤현위, 2008, 인첨 구도심의 지역변화에 관한 연구: 구도심 쇠퇴와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이남휘.최창규, 2011, 장소성 형성의 인과구조 실증적 분석: 서울 홍대지역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46(3), 19-36.
  16. 이석환.황기원, 1997,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2(5), 169-184.
  17. 임은혜, 2014, 상권활성화에 미친 참여주체별 영향력 분석 : 청주시 중앙동 도시재생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장호찬, 2010, 관광지의 자원봉사활동경험이 장소 애착 형성과 관광객으로서의 재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34(3), 29-57.
  19. 홍옥범, 2015, 문화적 도시재생을 통한 도시관광 활성화 방안: 광주광역시 양림동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황지희, 2013, 도시 문화공간의 장소성 형성요인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분석,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