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한계촌락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고흥군을 사례로 -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Marginal Village : The Case of Goheung-gun in Jeollanamdo

  • Jeong, Won-Gi (Department of Ge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Ahn, Young-Jin (Department of Ge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6.08.17
  • 심사 : 2016.08.25
  • 발행 : 2016.08.31

초록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는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이촌향도형 인구이동으로 농촌은 큰 변화를 겪었다. 최근 귀농 및 귀촌으로 인하여 일부 농촌 지역의 인구가 부분적으로 증가하고 있기도 하나, 농촌의 인구감소는 지속 되고 있으며, 인구 고령화도 심화되고 있다. 농촌 인구의 감소와 고령화의 심화는 광범위한 농촌지역에서 인구 과소화는 물론이고 지역 공동체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기도 어려운 '한계촌락'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한걸음 더 나아가 소멸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전라남도 고흥군을 사례로 우리나라 농촌지역의 한계촌락의 구조와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먼저 인구 과소화와 한계촌락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고 한계촌락의 개념을 살펴보고, 인구 자료를 활용하여 전남 시군별 인구 변화와 고령화를 기초로 연구 지역을 선정하였다. 이어서 본 연구는 한계촌락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례지역 농촌 마을의 인구 실태와 고령화, 소득원 및 토지이용, 공동체 활동실태 그리고 주민들의 마을에 대한 인식 등을 고찰하였다.

Since 1960s the rural population of Korea has continually decreased as a result of the rapid rural-to-urban migration and this caused an economic recession as well as the accelerated aging phenomenon in the rural communities. Such problems got worse in smaller rural villages and marginal villages began to appear among the rural communiti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of rural marginal villages. A case study on the county of Goheung, Jeollanamdo, is carried out using survey and stakeholder interviews. With the survey results a series of comparative analysis are done revealing the commonalities and peculiarities between two different types of marginal villages. This study also tries to reveal the residents's perceptions on the marginal villages and the potential determinants of rural rehabilitation.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연구재단

참고문헌

  1. 구지영.안영진, 2014, 농촌의 인구유입과 지역변화, 국토지리학회지, 48(4), 479-492.
  2. 권태환, 1992, 인구변동과 농촌사회의 변화, 농촌사회학회지, 2, 39-56.
  3. 마스다 히로야(增田寬也).김정환(역), 2015, 지방소멸, 와이즈베리.
  4. 박경철, 2014, '한계마을'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충청남도 금산군 사례를 중심으로, 농촌사회학회지, 24(2), 7-59.
  5. 박시현.최용욱, 2014, 귀농.귀촌 요인과 농촌사회. 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6. 성주인.박대식.정은미.민경찬, 2015,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1/5차년 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7. 성주인.채종현, 2012, 농어촌의 과소화 마을 실태와 정책 과제, KREI 농정포커스, 제21권.
  8. 윤근섭.송정기, 1994, 과소지역의 형성과 구조특성에 관한 연구: 1980-1990년의 전북지역의 사례, 한국농촌사회학회, 4, 21-48.
  9. 이전, 2011, 촌락 지리학: 인간의 정주공간에 대한 지리학적 관심, 푸른길.
  10. 이병기, 2010, 농촌 과소화 실태와 전망, 농촌지도와 개발, 17(4), 773-797.
  11. 이상호, 2016, 한국의 지방소멸에 관한 7가지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12. 이창우, 2014, 농어촌 과소화마을의 정주여건 개선방안 연구, 농촌계획, 20(2), 91-102. https://doi.org/10.7851/ksrp.2014.20.2.091
  13. 정경희.이재훈.김병량, 2014, 일본 '한계취락(限界聚落)'의 인구감소 대책방안 사례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5(3), 35-43. https://doi.org/10.6107/JKHA.2014.25.3.035
  14. 정기환.문순철.민상기, 1999, 농촌 인구 과소화지역의 유형별 특성과 대책,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5. 조영재.유학열.윤정미.이관률.박경철.엄성준, 2013, 과소화.고령화에 대응한 한계마을정책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충남연구원.
  16. 조준범, 2009, 농어촌지역 마을단위 과소화(過疎化) 특성에 관한 연구 : 전남 장흥군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1권, 제3호, 163-182.
  17. 하동현, 2014, 일본의 지역활성화 정책과 지역 거 버넌스의 구축, 지방행정, 63, 20-23.
  18. 大野晃, 2008, 限界集落と地域再生, 徳島新聞社.
  19. 大野晃, 2005, 山村環境社会学序説: 現代山村の限界集落化と流域共同管理, 農山漁村文化協会.
  20. 大西隆.小田切徳美.中村良平.安島博幸.藤山浩, 2011, これで納得! 集落再生: '限界集落'のゆくえ, 株式会社ぎょうせい.
  21. 小田切徳美, 2009, 農山村再生: '限界集落' 問題を超えて, 岩波書店.
  22. Woods, M., 2005, Rural Geography: Processes, Responses and Experiences in Rural Restructuring, SAGE Publications.
  23. UN, 2010, The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10 Revision, United N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