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학생 안전체험교육시설 구축을 위한 체험형 안전교육프로그램 도출 기초연구 -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중심으로 -

The basic study on extracting experiential type safety education programs for establishing safety-experience-education-facilities - focused on 「school safety education 7 standards」 -

  • 투고 : 2016.06.08
  • 심사 : 2016.08.26
  • 발행 : 2016.08.31

초록

본 연구는 2015년 교육부에서 발표한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기준으로 학생 안전체험교육시설 구축을 위한 체험형 안전교육프로그램 도출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안전체험교육시설의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였고,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의 총 758차시에 대한 구성 체계 및 학습내용을 분석하여 7대 안전 분야별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전문가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1차 전문가 조사를 통해서는 총 758차시의 교육내용 중 체험형 안전교육프로그램을 총 150차시로 선정되었고, 선정된 프로그램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2차 전문가 조사를 델파이 기법을 통해 진행한 결과 총 5차시의 프로그램이 삭제되어 최종 145차로 결정되었다. 분야별 구체적인 프로그램 차시는 생활안전 분야 21차시, 교통안전 분야 22차시, 폭력 신변안전 분야 18차시, 약물 사이버중독 분야 5차시, 재난안전 분야 36차시, 직업안전 분야 10차시, 응급처치 분야 33차시로 선정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tract the student-centered experiential safety education activities in order to establish safety-experience-education-facilities based on "School safety education 7 standard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2015. For this purpose, we established the concept of safety-experience-education-facilities, and conducted surveys twice targeting experts of each 7 fields based on the learned results of 758 sessions through "School safety education 7 standards". First, through the surveys, it was organized by 150 sessions out of 758 education class that extracted from safety-education-program sessions on experts, conducted a second expert survey for the validation of selected educational programs in Delphi format, the result of 5 sessions of the program is deleted, and 145 sessions was surveyed to be maintained. It was ascertained that 145 sessions of education program, 21 sessions of life safety area, 22 sessions of traffic safety area, 18 sessions of violence and personal safety area, 5 sessions of drugs and cyber addiction area, 36 sessions of disaster safety area, 10 sessions of occupation safety area, 33 sessions of first-aid area, is the experiential safety education activities that have to be applied to the safety-experience-education-facilit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영혜, 체험학습의 이론적 기초, 열린 교육학회 제7집 제22호, 1999
  2. 고미숙, 체험교육의 의미, 아시아교육연구, 7(1), 2006
  3. 김지영,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안전교육 실태비교,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09
  4. 박경민 외 4인, 안전관리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안전사고 예방 지식, 태도 및 실천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회, 제21권 제2호, 2010
  5. 박준호, 소방안전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일대학교, 2010
  6. 박효정, 안전교육표준안마련을 위한 정책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5
  7. 서병재, 학교안전사고실태분석 및 지도방안, 석사학위논문, 수원대학교행정대학원, 2001
  8. 송미경 외 4인, 안전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과서 내용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 제16권 제2호, 2005
  9. 정혜선 외 3인, 초등학교 안전교육 내용 체계 개발연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13
  10. 최영희, 소방안전체험 교육이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