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가족친화제도가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여성의 연령 집단별 비교

The impact of family-friendly policies in the workplace on the childbearing intention of married-employed women: A comparison of two age groups

  • 고선강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Koh, Sun-Kang (Dept. of Social Welfare, Sungshin Women's University)
  • 투고 : 2016.05.31
  • 심사 : 2016.08.19
  • 발행 : 2016.08.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friendly policies in working places and the childbearing intentions of married-employed women. The analysis included 415 married working women from the 2012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hildbearing intentions of the women were age, education, number of children under age 18, childbirth leave, childcare facilities, and flextime. The women whose work-places provided childbirth leave had stronger childbearing intentions. The women under age 35 had stronger childbearing intentions when their work-places had flextime policies. In conclusion, my recommendation is that the government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micro-personal factors, such as the Family-friendly Workplace Practices proposed in this study, when executing policies to reverse the current trend of low fert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혜련. 정병호. 안지영(2010). 가족친화지수 및 가족친화기업(기관) 인증기준 개선연구. 여성가족부.
  2. 김두섭(2007). IMF 외환위기와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의 변화. 한국인구학, 30(1), 67-95.
  3. 김영옥. 김종숙. 배호중(2014). 일 가정 양립실태조사. 고용노동부
  4. 김주희. 고선강(2015). 신혼기 기혼여성과 부모간의 자원이전과 출산의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27-49.
  5. 김태헌. 이삼식. 김동희(2006). 인구 및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인구센서스 자료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9(1), 1-23.
  6. 뉴시스(2015.9.11). 대기업 직장인 하루 10시간 일하고 한 달 1회 주말 근무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0911_0010282141&cID=10201&pID=10200.
  7. 민혜영. 정금희(2015). 고령임산부의 임신과 출산 건강관리 요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1(4), 332-341. https://doi.org/10.4069/kjwhn.2015.21.4.332
  8. 박수미(2008). 둘째 출산 계회의 결정요인과 가족 내 성 형평성. 한국인구학, 31(1), 55-73.
  9. 박종서. 김문길. 김은정. 이상림. 조성호. 양지윤(2015). 여성노동-출산 및 양육행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0. 박종서. 김문길. 김은정. 이상림. 조성호. 양지윤(2015). 여성노동-출산 및 양육행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1. 보건복지부(2016). 직장어린이집 설치의무 미이행한 178개 사업장 명단 공표(보도자료). 보건복지부.
  12. 서정연. 김한곤(2015). 출산자녀수별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인구학, 38(3), 1-24.
  13. 송헌재. 김지영(2013). 출산장려금이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재정정책논집, 15(1), 3-27.
  14. 가족친화지원사업 http://ffm.mogef.go.kr.
  15. 염지혜(2013).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강남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75, 43-63.
  16. 유계숙(2010). 기업의 가족친화제도가 근로자의 자녀출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2), 89-96.
  17. 윤소영. 김현(2008). 직장영역의 가족친화제도 도입과 성과, 그리고 과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2), 141-152.
  18. 이미옥. 명성준(2015). 출산장려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29(1), 331-350.
  19. 이삼식. 최효진(2014). 취업여성의 출산행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 이소영(2014). 고령임신 현황과 정책방안. 보건복지포럼, 213, 24-35.
  21. 이현옥(2011). 한국 여성의 출산행태 결정 요인 분석.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임현주(2013). 인구. 사회학적 변인, 경제변인, 양육 출산 변인에 따른 후속출산계획. 유아교육연구, 33(3), 35-58.
  23. 전은주(2015). 기업의 가족친화 프로그램 제공정도가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직장-가정갈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정성호(2012). 저출산 정책의 효과성에 관한연구. 한국인구학, 35(1), 31-52.
  25. 정영금(2004). 가족친화적 정책을 통한 일-가족 균형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91-100.
  26. 최인규. 오창섭(2013). 로짓모형을 활용한 출사지원정책이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분석-공공 민간의료종사자의 비교-. 한국지방자치연구, 15(2), 39-65.
  27. 통계청(2015). 2015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통계청.
  28.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12). 여성가족패널조사 설문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9. 한영선. 이연숙(2015). 여성취업과 일 가정양립지원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Family Environ ment Research, 53(1), 49-66. https://doi.org/10.6115/fer.2015.004
  30. e-나라지표 http://www.index.go.kr.
  31. OECD http://stats.oecd.org.
  32. Rindfuss, R. R., Choe, M. K., & Brauner-Otto, S. R.(2016). The emergence of two distinct fertility regimes in economically advanced countries. Population Research Policy Review, 35(3), 287-304. https://doi.org/10.1007/s11113-016-9387-z
  33. Thevenon, O., & Gauthier, A. (2011). Family policies in developed countries: A 'fertilitybooster' with side effects. Community, Work, & Family, 14(2), 197-216. https://doi.org/10.1080/13668803.2011.571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