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혜련. 정병호. 안지영(2010). 가족친화지수 및 가족친화기업(기관) 인증기준 개선연구. 여성가족부.
- 김두섭(2007). IMF 외환위기와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의 변화. 한국인구학, 30(1), 67-95.
- 김영옥. 김종숙. 배호중(2014). 일 가정 양립실태조사. 고용노동부
- 김주희. 고선강(2015). 신혼기 기혼여성과 부모간의 자원이전과 출산의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27-49.
- 김태헌. 이삼식. 김동희(2006). 인구 및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인구센서스 자료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9(1), 1-23.
- 뉴시스(2015.9.11). 대기업 직장인 하루 10시간 일하고 한 달 1회 주말 근무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50911_0010282141&cID=10201&pID=10200.
- 민혜영. 정금희(2015). 고령임산부의 임신과 출산 건강관리 요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1(4), 332-341. https://doi.org/10.4069/kjwhn.2015.21.4.332
- 박수미(2008). 둘째 출산 계회의 결정요인과 가족 내 성 형평성. 한국인구학, 31(1), 55-73.
- 박종서. 김문길. 김은정. 이상림. 조성호. 양지윤(2015). 여성노동-출산 및 양육행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박종서. 김문길. 김은정. 이상림. 조성호. 양지윤(2015). 여성노동-출산 및 양육행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보건복지부(2016). 직장어린이집 설치의무 미이행한 178개 사업장 명단 공표(보도자료). 보건복지부.
- 서정연. 김한곤(2015). 출산자녀수별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인구학, 38(3), 1-24.
- 송헌재. 김지영(2013). 출산장려금이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재정정책논집, 15(1), 3-27.
- 가족친화지원사업 http://ffm.mogef.go.kr.
- 염지혜(2013). 추가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강남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75, 43-63.
- 유계숙(2010). 기업의 가족친화제도가 근로자의 자녀출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2), 89-96.
- 윤소영. 김현(2008). 직장영역의 가족친화제도 도입과 성과, 그리고 과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2), 141-152.
- 이미옥. 명성준(2015). 출산장려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29(1), 331-350.
- 이삼식. 최효진(2014). 취업여성의 출산행태와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이소영(2014). 고령임신 현황과 정책방안. 보건복지포럼, 213, 24-35.
- 이현옥(2011). 한국 여성의 출산행태 결정 요인 분석.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임현주(2013). 인구. 사회학적 변인, 경제변인, 양육 출산 변인에 따른 후속출산계획. 유아교육연구, 33(3), 35-58.
- 전은주(2015). 기업의 가족친화 프로그램 제공정도가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직장-가정갈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성호(2012). 저출산 정책의 효과성에 관한연구. 한국인구학, 35(1), 31-52.
- 정영금(2004). 가족친화적 정책을 통한 일-가족 균형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91-100.
- 최인규. 오창섭(2013). 로짓모형을 활용한 출사지원정책이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분석-공공 민간의료종사자의 비교-. 한국지방자치연구, 15(2), 39-65.
- 통계청(2015). 2015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통계청.
-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12). 여성가족패널조사 설문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한영선. 이연숙(2015). 여성취업과 일 가정양립지원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Family Environ ment Research, 53(1), 49-66. https://doi.org/10.6115/fer.2015.004
- e-나라지표 http://www.index.go.kr.
- OECD http://stats.oecd.org.
- Rindfuss, R. R., Choe, M. K., & Brauner-Otto, S. R.(2016). The emergence of two distinct fertility regimes in economically advanced countries. Population Research Policy Review, 35(3), 287-304. https://doi.org/10.1007/s11113-016-9387-z
- Thevenon, O., & Gauthier, A. (2011). Family policies in developed countries: A 'fertilitybooster' with side effects. Community, Work, & Family, 14(2), 197-216. https://doi.org/10.1080/13668803.2011.571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