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ing the Gyeong-in Ara Waterway to Revitalize Coastal Shipping

연안해운 활성화 측면에서의 경인아라뱃길 활용 방안

  • 이충효 (한국수자원공사 친수사업처) ;
  • 선일석 (장안대학교 물류경영학과)
  • Received : 2016.04.15
  • Accepted : 2016.06.28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Many countries are developing transportation technologies aimed at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environmental burden. For example, environmentally friendly transportation routes and methods are being used to improve inland waterways in Europe. Against this backdrop,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special cargo (weight cargo, earth and sand, etc.) on Korea's Gyeong-In Ara Waterway, an inland waterway connecting the Han River and the West Sea, serving a distribution func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coastal shipping could be promoted using the waterway, including a positive synergy among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aspects. That is, by shifting from overland transportation to marine transport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ease traffic congestion, decrease traffic accidents, and shorten the licensing period for the weight cargo demand of the northern area of the Han River. In this respect, the Gyeong-in Ara Waterway could becom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transportation route, promoting coastal shipping in Korea. However, for this to occur, support systems such as subsidies for marine transportation and using the inland waterway are required, as happens in the EU. Furthermore, existing policies to promote coastal shipping should be improved and applied more broadly.

환경오염 및 환경부하량 감소를 위해 세계 각국이 교통수단에 있어서 많은 기술적 발전을 이루고 있는 가운데, 유럽의 내륙수로를 중심으로 친환경 교통 루트 및 수단에 대한 기능 정립과 개선을 추진 중에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국내에서도 물류기능을 갖춘 내륙수로인 경인 아라뱃길의 특수화물(중량화물, 토사 등) 운송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한강과 서해를 연결하고 있는 경인 아라뱃길을 활용한 연안해운 활성화가 가능하며, 환경 경제 사회적 측면에서도 모두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가 예상되었다. 즉 공로운송의 해상운송으로의 전환을 통해 환경오염 저감, 교통체증 완화, 교통사고 감소, 한강 이북지역의 중량화물 운송수요에 대한 인허가 행정 기간 단축 등이 가능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경인 아라뱃길이 지속가능한 친환경 운송루트로서 자리매김 함으로써, 국내 전반적으로 연안해운 활성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유럽연합에서 진행중인 해상운송 및 내륙수로 이용을 위한 보조금 등의 활성화 지원제도를 국내에서도 여건에 맞게 적용하여 기존 연안해운 활성화 정책의 개선 및 확대 적용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근표.노창균(2010), "연안화물운송업체의 경영분석", 해운물류연구, 제26권 제1호, 37-62.
  2. 김상열.류동근(2007), "연안운송 활성화를 위한 Modal Shift 정책 개발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55권, 27-42.
  3. 김상열.박호.장현미(2014), "Fuzzy-AHP를 활용한 연안해운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30권 제2호, 493-515.
  4. 김학소(1996), "연안화물수송의 활성화 방안", 국토, 제181권, 국토연구원, 29-42.
  5. 이충효.안우철(2015), "제주도 물류체계 개선을 위한 지원제도에 관한연구", 해운물류연구, 제31권 제2호, 309-330.
  6. 임광수.강상곤.안승범(2004), "연안운송 활성화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화주의 연안운송기피 원인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0집 제2호, 253-273.
  7. 장영태.이태우.김승곤.신성호(2006),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우리나라의 연안 및 내륙수상운송 부문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2집 제2호, 35-60.
  8. 한국해운조합(2005), "연안해운혁신을 위한 비전과 발전전략 수립 연구".
  9. 한국해운조합(2014), 내부자료.
  10. 유럽연합 통계청(http://ec.europa.eu/eurostat 검색일 2016년 3월 8일)
  11. 유럽경제위원회(http://www.unece.org 검색일 2016년 3월 4일)
  12. 한국중부발전(https://www.komipo.co.kr 검색일 2015년 7월 1일)
  13. 한국해운조합(http://www.haewoon.or.kr 검색일 2016년 4월 4일)
  14. 통계청, e-나라지표, 교통이용, 수송량 및 수송분담률(검색일 2016년 2월 29일)
  15. NAIADES(http://www.naiades.info, 검색일 2016년 3월 25일),
  16. US Army Corps of Engineers(http://www.iwr.usace.army.mil 검색일 2016년 4월 1일)
  17. http://french-waterways.com(검색일 2016년 3월 4일)
  18. Port of Hamburg(http://www.hafen-hamburg.de 검색일 2015년 12월 4일)
  19. Voies navigables de France(http://www.vnf.fr 검색일 2016년 3월 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