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rategy for the Position and Development of the Land Logistics 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의 동북아 육상물류체계 위상과 발전 전략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6.03.11
  • Accepted : 2016.06.28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Northeast Asia is changing rapidly, including becom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part of the world economy. Various logistical systems and networks are being established in this area, including South and North Korea, China, Japan, Russia, and Mongolia. Thus, a new systematic logistical network and development strategy is required.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s for a long time made the region ineffective in terms of land logistics. South Korea's connection to Eurasia is blocked by North Korea, which means it is essentially treated as an island. Furthermore, South Korea does not have an efficient logistics system or effective vision and strategy. Northeast Asia has the potential to be one of the largest economic communities in the world, similar to the EU and North America. Thus, a united Korea can play an important role as the land bridge of Northeast Asia and the logistical hub of the region. This study reviews the logistical position, tasks, and problem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uggests a desirable development strategy and vision. Specifically, after examining the conditions for a land logistical system, focusing on railways, this study proposes several future-oriented development strategies and tactics that will position the peninsula as a logistical hub in Northeast Asia. We anticipate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that will investigate the topics presented here in more detail.

동북아 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발전하고 변화하는 지역중의 하나다. 세계경제에서의 위상이 점증되고 있으며 다양한 물류체계와 Network이 구축되고 있다. 한국,북한,중국,일본과 러시아, 몽골 등의 국가가 연해있는 동북아지역은 원활한 경제발전과 국제적 교역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체계적인 물류 체계의 구축과 발전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한반도는 분단으로 육상물류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인 상태에서 오래 그 체제가 유지되어 왔고, 새로운 변화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동북아 육상물류체계에서 남한은 하나의 섬으로서 인식되었고, 한반도도 대륙과 원활하게 연계되지 못하여 효율적인 물류체계의 구축과 발전전략에 대한 연구와 비전제시가 부족하였다. 동북아경제권(통일한국, 일본, 중국 동북3성, 극동러시아, 몽골)은 2050년 북미경제권, 유럽경제권에 버금가는 세계 최대 경제공동체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통일 한반도는 동북아경제권의 Land Bridge로서 그리고 동북아 물류 허브로서 중요한 역할이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에서 한반도의 물류위상과 과제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발전전략과 비전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철도로 대표되는 육상물류체계 상의 문제를 파악하고 미래지향적인 발전 전략을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한반도가 동북아 물류중심 국가로 발전하고 육상 물류영역에서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는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와 현장의 자료들을 통한 문헌적 연구로서 이론적 틀과 비전 및 전략의 제안에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넓은 연구범위로 세부적인 대안제시에 미흡한 부분들은 향후연구에 더 보완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인천대학교

References

  1. 강문성 외(2014), "점진적 통일과정에서의 동북아경제협력과 남북한 경제통합방안", 중장기통상 전략 연구, 14-0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 김영윤 외(2007), "남북물류.운송 활성화 및 협력 방안 연구", 통일연구원.
  3. 김형태 외(2009), "동북아 물류중심항만정책의 평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4. 박용안(2011), "동북아 국제복합운송 전망과 통과운송 협약의 추진방안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집 제2호, 2011.6, 163-182.
  5. 박창호, 강상곤(2015), "통일한국의 유통물류체계 구축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1권 제1호.
  6. 성원용(2002), "TKR-TSR 연결의 의의와 파급효과: 동북아경제협력의 관점에서", 동북아경제연구, 제14권 제3호, 35-75.
  7. 엄선희(2009), "남북한 물류체계 통합에 대한 전문가 설문결과", 북한해양수산리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8. 오승렬, 조명균, 정운영, 고일동(2003), "동북아경제중심국가 건설과 남북경협", 통일연구원 학술회의총서, 03-01, 60-93.
  9. 원동욱, 안병민(2008), "북한 경제특구개발에 따른 연계교통망 구축방안, 교통개발연구원.
  10. 이정남(2005), "동아시아 협력 네트워크와 지방의 역할: 동북아 자치단체연합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제9권 제4호, 279-305.
  11. 한국경제연구원(2015), "한반도 통일전망과 글로별 경제에 대한 영향", 국제세미나 자료집, 5-15.
  12. 홍완석(2004), "유라시아대륙횡단철도 국제화의 정치, 경제적 함의와 한국의 전략적 선택", 국제지역연구, 제8권 제1호, 한국외국어 국제지역연구센터.
  13. 황진회 외(2009), "남북한 물류체계 통합 및 활용방안 연구(III)",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4. 황진회, 엄선희, 허소영(2010), "북극해 활용전략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5. 日本 國土計劃省(1962), 全國總合開發計劃.
  16. Drewry(2011), Container Market Review and Forecast, 2011-12.
  17. Gotov, D.(2012), Final national report of GTI transport corridors, Mongolia.
  18. GTI(2013), Integrated Transport Corridors Study.
  19. Miller, M., Holm A. and Keller T.(1991), "Tumen River Area Development: Mission Report, UNDP," Consultation with Participant Government, Pyongyang, 16-18, October.
  20. "NORTHERN SEA ROUTE: MODERN STATE AND CHALLENGES," proceeding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Ocean, Offshore and Arctic Engineering, June 8-13, 2014, 5.
  21. IMF(2015), Oxford Economic Database.
  22. WTO(2016),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23. UNCTAD(2016), Statistics.
  24. www.alphaliner.com
  25. www.wsj.com
  26. www.ce.cn/xwzx/gns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