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가톨릭대학교 건강증진연구사업, 우리나라 국민건강증진의 과거, 현재, 미래, 한국건강증진재단, 2011.
- 보건복지부, 2014년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 2015.
- 서울대학교, 아파트 주민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참여연구 적용방안, 한국건강증진재단, 2012.
-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Community participation in local heal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pproaches and techniques,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2002.
- Clinical and Translational Science Awards Consortium, Principles of Community Engage ment Second edition,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1.
- 유승현 "지역사회건강증진을 위한 참여: 이해와 적용,"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9권, 제4호, pp.57-66, 2012.
- E. A. Baker and C. A. Brownson, "Defining characteristics of community-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s," J. of Public Health Management and Practice, Vol.4, No.2, pp.1-9, 1998.
- B. A. Israel, B. Checkoway, A. Schulz, and M. Zimmerman, "Health education and community empowerment: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perceptions of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community control," Health Education Quarterly, Vol.21, No.2, pp.149-170, 1994. https://doi.org/10.1177/109019819402100203
- 보건복지부, 2014년 지역사회통합건강증진 사업안내 :참여형 건강증진모형개발 시범사업, 2014.
- 보건복지부, 2012년 보건소 건강생활실천 안내, 2012.
- 김장락, 정백근, 박기수, 강윤식, "건강증진을 위한 참여학습의 적용 사례," 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지, 제36권, 제2호, pp.130-142, 2011.
- 이주열,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의 과거와 미래,"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4호, 제2호, pp.135-148, 2007.
- 배상수, 함수근,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체계의 강화방안," 대한보건연구, 제33호, 제1호, pp.1-13, 2007.
- 보건복지부, 2005년 국민건강증진사업, 2015.
- 보건복지부, 2008년 국가 건강증진사업 지역특화 건강행태개선사업, 2015.
- 남은우, "보건교육과 건강증진의 국제적인 동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5권, 제1호, pp.105-115, 2008.
- Atlanta (GA): CDC/ATSDR Committee on Community Engagement, Principles of community engagement (1st ed),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997.
- N. Shore, Reconceptualizing the Belmont Report,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perspective," J. of Community Practice, Vol.14, No.4, pp.5-26, 2006. https://doi.org/10.1300/J125v14n04_02
- N. Wallerstein, "Empowerment to reduce health disparities Scandinavian," J. of Public Health Supplement, Vol.59, pp72-77, 2002.
- 유승현, "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의 적용 방안,"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6권, 제1호, pp.141-158, 2009.
- D. L. Stufflebeam, "The relevance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for educational account ability," J.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Vol.5, No.1, pp.19-25, 1971.
- 이인숙, 한승연, "u-러닝 연구학교 효과성 평가지표 개발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6권, 제2호, pp.145-176, 2010.
- D. L. Stufflebeam and A. J. Shinkfield Systematic evaluation, Boston:Kluwer -Nijhoff, 1985.
- 김희걸, 문자, "집단걷기운동이 고혈압환자의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농촌간호학회지, 제1권, 제1호, pp.59-64, 2006.
- 이창현, 김영임, 김숙영, "걷기지도자 교육과정이 걷기운동지식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78-187, 2010.
- 조병희, 지역사회 조직자원의 활용을 통한 건강증진 접근 전략 개발, 보건복지부, 2003.
- 송미령, 유수영, "시설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이행정도와 예측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3권, 제2호, pp.301-309, 2007.
- 최재희, 이화석, "댄스스포츠 참여노인의 참여동기, 심리적행복감, 지속의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제12권, 제12호, pp.156-16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156
- 권윤정, "노인 운동 행위변화단계별 중재사업 개발 및 평가,"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3권, 제2호, pp.205-215, 2002.
- 이현영, 홍준희, 송우엽, "규칙적인 노인 운동참여자의 운동동기 탐색,"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9권, 제1호, pp.51-63, 2008.
- 성창훈, 유루경, 장채욱, "노인의 운동실천 제약요인 및 운동행동변화 단계별 차이,"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15-133, 2008.
- 홍순명, 황혜진, 최순호, 정은미, "울산시 보건소 당뇨교실에 참가한 당뇨환자의 교육효과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논문지집, 제2권, 제1호, pp.13-23, 2000.
- 김은미, 윤순녕, "소규모 사업장 보건관리사업이 고령근로자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업간호학회지, 제19권, 제1호, pp.78-87, 2010.
- 송정국, 박형근, 홍성철,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대상 교육사업의 효과," 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지, 제40권, 제3호, pp.126-136, 2015.
- 조희숙, 송예리아, 홍선영, 유승현, 이정렬, "걷기행사 참가의 결정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4권, 제3호, pp.73-86, 2007.
- 윤기선, 박정열,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보건교육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303-317,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3.303
- 윤희상, 이혜영, 이숙경 "건강증진사업 이용과 관련된 요인," 보건사회연구, 제28권, 제2호, pp.157-184, 2008.
- 이동섭, 최용득, "집단신뢰와 집단성과,"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8권, 제1호, pp.187-210,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