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pporting Factors Affecting Citizen Engagement in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gram -Focused on 10,000-Step Walking Program of a Metropolitan City-

지역주민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증진사업 지원요인 -일개 광역시 일 만보 걷기사업을 중심으로-

  • 문선미 (부산광역시 남구보건소) ;
  • 강소영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 Received : 2016.06.07
  • Accepted : 2016.07.20
  • Published : 2016.08.28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factors affecting citizen engagement in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gram that a local government offered for residents.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418 participants who completed 10,000-Step Walking Program, sponsored by the local government of B c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with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number of participation days in the program by material support(pace counter(p<.001), exercise notebook(p<.001), piggy bank((p=.002)), informational support(Walking training, leadership training)(p<.001), promotion events and meetings, and membership of exercise club(p<.001). Using exercise notebook(p<.001) and exercise club membership(p<.001)) were the supporting factors affecting citizen engagement in the walking program. This research shows that various political plans for providing material and social supports including walking activity aids, community club forming are needed to encouraging citizens' participation in health promotion programs.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에서 주민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지원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B시에서 주최한 3개월간 일만보 걷기사업을 중도에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참여한 지역주민 4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T검정과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사업 참여자 중 물리적 지원(만보기(p<.001), 걷기기록장(p<.001), 실천저금통(p=.002))을 이용하거나, 정보적 지원(걷기교육, 주민리더교육)에 참여하거나(p<.001), 촉진행사 및 모임(보건소별 걷기모임)에 참여횟수가 많거나(p<.001), 파트너십(걷기 동아리에 소속된 경우)에 따라서(p<.001) 걷기 참여일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걷기 기록장 사용, 동아리 소속이 걷기 참여의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후 건강증진 사업운영 시 참여자의 건강증진 행위실천을 돕기 위한 물품을 지원하고 파트너십을 구축(모임, 동아리) 하는 등 주민참여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정책전략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가톨릭대학교 건강증진연구사업, 우리나라 국민건강증진의 과거, 현재, 미래, 한국건강증진재단, 2011.
  2. 보건복지부, 2014년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년도, 2015.
  3. 서울대학교, 아파트 주민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참여연구 적용방안, 한국건강증진재단, 2012.
  4.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Community participation in local heal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pproaches and techniques,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2002.
  5. Clinical and Translational Science Awards Consortium, Principles of Community Engage ment Second edition,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1.
  6. 유승현 "지역사회건강증진을 위한 참여: 이해와 적용,"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9권, 제4호, pp.57-66, 2012.
  7. E. A. Baker and C. A. Brownson, "Defining characteristics of community-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s," J. of Public Health Management and Practice, Vol.4, No.2, pp.1-9, 1998.
  8. B. A. Israel, B. Checkoway, A. Schulz, and M. Zimmerman, "Health education and community empowerment: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perceptions of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community control," Health Education Quarterly, Vol.21, No.2, pp.149-170, 1994. https://doi.org/10.1177/109019819402100203
  9. 보건복지부, 2014년 지역사회통합건강증진 사업안내 :참여형 건강증진모형개발 시범사업, 2014.
  10. 보건복지부, 2012년 보건소 건강생활실천 안내, 2012.
  11. 김장락, 정백근, 박기수, 강윤식, "건강증진을 위한 참여학습의 적용 사례," 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지, 제36권, 제2호, pp.130-142, 2011.
  12. 이주열,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의 과거와 미래,"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4호, 제2호, pp.135-148, 2007.
  13. 배상수, 함수근,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체계의 강화방안," 대한보건연구, 제33호, 제1호, pp.1-13, 2007.
  14. 보건복지부, 2005년 국민건강증진사업, 2015.
  15. 보건복지부, 2008년 국가 건강증진사업 지역특화 건강행태개선사업, 2015.
  16. 남은우, "보건교육과 건강증진의 국제적인 동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5권, 제1호, pp.105-115, 2008.
  17. Atlanta (GA): CDC/ATSDR Committee on Community Engagement, Principles of community engagement (1st ed),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997.
  18. N. Shore, Reconceptualizing the Belmont Report,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perspective," J. of Community Practice, Vol.14, No.4, pp.5-26, 2006. https://doi.org/10.1300/J125v14n04_02
  19. N. Wallerstein, "Empowerment to reduce health disparities Scandinavian," J. of Public Health Supplement, Vol.59, pp72-77, 2002.
  20. 유승현, "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의 적용 방안,"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6권, 제1호, pp.141-158, 2009.
  21. D. L. Stufflebeam, "The relevance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for educational account ability," J.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Vol.5, No.1, pp.19-25, 1971.
  22. 이인숙, 한승연, "u-러닝 연구학교 효과성 평가지표 개발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6권, 제2호, pp.145-176, 2010.
  23. D. L. Stufflebeam and A. J. Shinkfield Systematic evaluation, Boston:Kluwer -Nijhoff, 1985.
  24. 김희걸, 문자, "집단걷기운동이 고혈압환자의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농촌간호학회지, 제1권, 제1호, pp.59-64, 2006.
  25. 이창현, 김영임, 김숙영, "걷기지도자 교육과정이 걷기운동지식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78-187, 2010.
  26. 조병희, 지역사회 조직자원의 활용을 통한 건강증진 접근 전략 개발, 보건복지부, 2003.
  27. 송미령, 유수영, "시설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이행정도와 예측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3권, 제2호, pp.301-309, 2007.
  28. 최재희, 이화석, "댄스스포츠 참여노인의 참여동기, 심리적행복감, 지속의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제12권, 제12호, pp.156-169,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156
  29. 권윤정, "노인 운동 행위변화단계별 중재사업 개발 및 평가,"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3권, 제2호, pp.205-215, 2002.
  30. 이현영, 홍준희, 송우엽, "규칙적인 노인 운동참여자의 운동동기 탐색,"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9권, 제1호, pp.51-63, 2008.
  31. 성창훈, 유루경, 장채욱, "노인의 운동실천 제약요인 및 운동행동변화 단계별 차이,"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15-133, 2008.
  32. 홍순명, 황혜진, 최순호, 정은미, "울산시 보건소 당뇨교실에 참가한 당뇨환자의 교육효과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논문지집, 제2권, 제1호, pp.13-23, 2000.
  33. 김은미, 윤순녕, "소규모 사업장 보건관리사업이 고령근로자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업간호학회지, 제19권, 제1호, pp.78-87, 2010.
  34. 송정국, 박형근, 홍성철,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대상 교육사업의 효과," 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지, 제40권, 제3호, pp.126-136, 2015.
  35. 조희숙, 송예리아, 홍선영, 유승현, 이정렬, "걷기행사 참가의 결정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4권, 제3호, pp.73-86, 2007.
  36. 윤기선, 박정열,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보건교육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303-317,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3.303
  37. 윤희상, 이혜영, 이숙경 "건강증진사업 이용과 관련된 요인," 보건사회연구, 제28권, 제2호, pp.157-184, 2008.
  38. 이동섭, 최용득, "집단신뢰와 집단성과,"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8권, 제1호, pp.187-210,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