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gal Issues Regarding the Launch Vechicle by DPRK : the Scope and Limit of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북한의 발사체발사에 따른 법적 쟁점 : UN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의 성격과 한계

  • Received : 2016.06.12
  • Accepted : 2016.06.28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UN Security Council is entitled to power for determining the existence of the threat to the peace. Specifying the provisions adop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pter 7 of the UN Charter, its resolution is deemed as document confirming its decision about the threat to the peace. In general, resolutions adopted by the Security Council acting under Chapter VII of the Charter, are considered binding, in accordance with Article 25 of the Charter. Regarding to the terms of the Resolutions to be interpreted, the word "decide" is used as to the suspension of the ballistic missile program, the word "demand" is used as to the stopping of the the launch of ballistic missile, and the word "demand" is used as to return to the missile test moratorium. These provisions may be deemed to determining specific obligations to be imposed upon the States in accordance with the 1967 Outer Space Treaty. On the other hand, the Resolutions may be limited to the decision, not leading to a sort of international legislation, the main purpose of which is to provide a legal basis for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e Korea. North Korea missile test case has reminded us of continuing discussion about whether the decision of the Security Council lacks the legislative authority due to its decision process. Furthermore, having regard to the outer space and space activities, the outer space law regime would be not compatible with the Security Council decision process in that the former presupposes the agreement among all States parties, while the latter based upon the agreement between Council member States. Therefore, it is premature to consider the Security Council decision as becoming the lex specialis of the space law regime.

안전보장이사회는 국제연합헌장 제7장 제39조에 따라 평화에 대한 위협, 평화의 파괴 또는 침략행위의 존재를 결정할 권한을 갖고 있으며, 이에 안보리 결의가 헌장 제7장에 따름을 명시하는 경우 그 결의가 그러한 안보리의 결정을 확정하는 문서를 구성한다. 또한 헌장 제25조에 따라서 회원국은 안보리 결정을 수락하고 이행하여야 할 의무를 부담하므로, 안보리 결정을 확정하는 그러한 안보리 결의의 회원국에 대한 법적 구속력이 인정된다고 해석된다. 안보리 결의를 용어의 선택 관점에서 살펴 보면,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관련 활동을 중지(suspend)하는 것에 대해서는 결정(decide)이고, 탄도미사일을 발사하지 않을 것에 대해서는 요청(demand), 그리고 미사일실험유예조치로의 복귀에 대해서는 요청(demand)이라는 점이 주목된다. 안보리의 수차례의 결의에서 탄도미사일에 관련된 모든 활동의 중지를 결정하는 조항과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하는 모든 발사의 금지를 촉구하는 조항 및 그 촉구를 결정으로 보는 조항은 1967년 우주조약에 규정되지 않은 평화적 목적의 내용을 정하는 성격을 갖거나 또는 위와 마찬가지로 특정 경우에만 적용되는 안보리의 결정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발사금지를 결정하는 안보리결의는 북한에 대한 제재에 한정된다고 볼 수 있다. 학설상 WMD에 관련된 안보리의 결의도 결정(decide)라는 용어를 택하고 있어서 구속력 있는 의무를 부과하는 것으로 인정되지만, 법의 제정에는 못미치고 단순한 제재의 결정에 그친다고 보기도 한다. 국제평화에 대한 위협의 존재를 결정하고 그에 대한 제재를 내용으로 하는 안보리 결정을 둘러싸고, 그 결정에 이르는 국가간 합의의 방식이 과연 국제법상의 입법에 이를 정도인가에 대한 의문이 북한의 발사체 발사에 대한 결정에 있어서도 제기된다고 판단된다. 또한, 우주공간과 그 공간에서 국가들의 우주활동을 규율의 객체로 하면서, 모든 국가의 보편적인 권리와 의무를 규율함을 목적으로 하는 우주법의 성격상 안보리 이사국들의 합의에 따르는 안보리의 결정이 우주법의 특별법으로서의 지위를 갖는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이에 안보리 결의는 우주법의 내용을 구체화하는 입법이 아니라 북한에 대한 제재에 한정된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한택, "우주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국제법 연구",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30권 1호. 2015
  2. 이영진, "우주의 법적 지위와 경계획정 문제",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30권 2호. 2015
  3. 정영진, "우주의 군사적 이용에 관한 국제법적 검토 : 우주법의 점진적인 발전을 중심으로",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30권 1호. 2015,
  4. Jean-Pierre Cot, Alain Pellet, "La Charte des Nations Unies", Economica, 1991년
  5. James D. Fry, "DIONYSIAN DISARMAMENT: SECURITY COUNCIL WMD COERCIVE DISARMAMENT MEASURES AND THEIR LEGAL IMPLICATIONS", Michig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Winter 2008,
  6. Haley, A.G., "Space Law and Governments", Appleton Century Crofts, New York, 1963
  7. Matthew Happold,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373 and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Nations", 16 Leide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593 (2003) https://doi.org/10.1017/S0922156503001304
  8. Daniel H. Joyner & Marco Roscini, "Non-Proliferation Law as a Special Regime: A Contribution to Fragmentation Theory in International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9. Vik Kanwar, "Two Crises of Confidence : Securing Non-Proliferation and the Rule of Law Through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Ohio Northern University Law Review, 35 Ohio N.U. L. Rev.
  10. Leon Lipson, Nicholas Deb. Katzebnach, "Report to the NASA on the law of outer space", 1961, July, American Bar Foundation,
  11. Jacek Machowski, "the Legal status of unmanned space vehicles", the 2nd Colloquium on the Law of Outer Space, International Astronautical Federation, 1959,
  12. Marco Markoff, "Traite de droit international public de l'espace", Pedone, 1973
  13. Marko Divac Oberg, "The Legal Effects of Resolutions of the UN Security Council and General Assembly in the Jurisprudence of the ICJ", The Europe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Vol. 16 no.5
  14. Alexander Orakhelashvili, "Security Council Acts : Meaning and Standards of Review", Max Planck Yearbook of United Nations Law, Vol.11, 2007, p.147
  15. Stefan A. G. Talmon, "Security Council Treaty Action", Revue Hellenique de Droit International, Vol. 62, pp. 65-116, 2009
  16. M. Wood, "The Law of Treaties and the UN Security Council: Some Reflections" in E. Cannizzaro (ed.) The Law of Treaties Beyond the Vienna Convention (2011)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7. Eric Yong-Joong, "Legal Analysis of the 2006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Against North Korea's WMD Development", Fordham International Law Journal, December, 2007, Eighteenth Annual Philip D. Reed Memorial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