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Does the Internal Colonialism of Local Broadcasting Work? Focusing on Governance Including the Appointment of CEO and Its Improvement

지역방송의 내부 식민지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사장선임 등 지배구조 분석과 개선방안

  • Kim, Jae-Young (Department of Communi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Seung-Sun (Department of Communi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김재영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 이승선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Received : 2016.03.31
  • Accepted : 2016.07.18
  • Published : 2016.08.15

Abstract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assumption that the governance including the appointment of CEO is a key factor in the internal colonialism of local broadcasting. To evaluate the tendencies, it collects and analyzes the profile of CEOs, directors, and shareholders of the 17 regional affiliates of MBC and 9 local commercial broadcasting companies between the early and mid-1990s and 2015. It also discusses the local broadcasting personnel and its operations. By doing so, the study attempts to reveal how the internal colonialism of local broadcasting works. It finds out that the governance of regional broadcasters of MBC is controlled by the head office located in Seoul. At the same time, the governance of local commercial broadcasters is encroached by the tyrannical practices of major shareholders caused by the non-separation of ownership and management. These kinds of abnormal management of governance tend to constrain the investment on personnel and production. Finally, this study suggests some desirable directions of governance focusing on the appointment of CEO in terms of both legislative system and self-regulation. They include establishing a new proviso for programming protocols in local broadcasting, introducing a CEO & non-executive director nomination committee, and so forth.

이 논문은 지역방송 내부 식민지화의 중심에 사장선임을 위시한 지배구조가 자리하고 있다는 데 주목했다. 그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 1990년대 중반에서 2015년 사이 MBC 지역계열사 17개사와 지역민방 9개사, 총 26개 지역방송사의 사장과 주주 이사 구성을 취합 분석했다. 이와 함께 지역방송 인력과 운영현황, 그리고 그 문제점을 검토 논의했다. 이를 통해 지역방송의 내부 식민지화가 작동하는 방식을 규명했다. 지역MBC는 서울본사의 필요를 우선순위에 둔 지배구조가, 지역민방은 소유와 경영 분리 미흡에 따른 대주주의 전횡이 제작과 인력 부문의 투자 제약요소로 작용하면서 내부 식민지화가 가동되고 있었다. 이어 이 논문은 지역방송 사장선임을 비롯한 지배구조 개선방향을 법 제도와 방송사 자율규제 차원에서 제안했다. 법 제도적으로는 방송법상의 지역방송 편성규약 단서조항 신설을 비롯해 관련법령인 지역방송발전지원특별법, 방송광고판매대행 등에 관한 법률, 방송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자율규제로는 지역MBC의 경우 사장선임추천위원회 운용과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의 3분의 1을 지역인사로 구성하는 방안, 지역민방은 소유와 경영의 분리를 출발점으로 한 공공성 회복과 사장 사외이사추천위원회 도입 등을 제안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현 (2013). 공민영 체계 개편 및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 방안. <방송문화연구>, 25권 1호, 39-74.
  2. 강준만 (2015). 지방의 '내부식민지화'를 고착시키는 일상적 기제: '대학-매체-예산'의 트라이앵글. <사회과학연구>, 54집 2호, 113-147.
  3. 강형철 (2006). 공영방송사 사장 선임 이렇게 하자. <신문과 방송>, 4월호, 66-72.
  4. 강형철 (2012). 공영 언론사 파업 사태의 원인과 해법. <관훈저널>, 123호, 174-181.
  5. 고민수 (2006). 한국방송공사(KBS)의 법적 지위에 관한 고찰. <방송문화연구>, 18권 1호, 153-181.
  6. 고재학 (2008). 공공기관 낙하산 인사에 관한 엽관주의적 해석. <한국정책연구>, 8권 2호, 103-125.
  7. 공공미디어연구소 (2010). .
  8. 권장원 (2010). 시장 환경에 입각한 지역 지상파 방송사 조직의 상호작용 특성에 대한 탐사적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52호, 27-47.
  9. 김경환 (2014). 각국 공영방송 사장 선임제도의 특징. <신문과 방송>, 8월호, 48-51.
  10. 김동열.한상범 (2011, 6월). <저축은행의 소유.지배구조, 제도변화와 경영실적의 상관성 분석: 정책실패(제도변화)와 감독실패(낙하산인사)에 관한 실증적 분석>.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11. 김동준 (2015. 5. 22). 해외 주요 공영방송사의 이사 및 사장 선임 방식. , 18면.
  12. 김병규 (2013). 공영언론 낙하산 인사 관행 깨뜨려야. <관훈저널>, 126호, 88-90.
  13. 김병섭.박상희 (2010). 공공기관 임원의 정치적 임명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44권 2호, 85-109.
  14. 김재영 (2011, 11월). . KBS 노동조합 주최 KBS 지역방송 정책대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서울: KBS 신관 국제회의실.
  15. 김재영 (2013, 9월). <지역민방의 공적 위상과 정체성>. 전국언론노동조합 등 주최 지역민방의 공공성과 거버넌스 개선 방안 토론회. 대전: 대전역 회의실.
  16. 김재영.한상헌 (2015). 지역방송발전위원회를 향한 기대와 현실. <언론과학연구>, 15권 3호, 67-96.
  17. 문종대.이강형 (2005). 내부 식민지로서의 지역방송 재생산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5권 2호, 175-208.
  18. 미디어미래연구소 (2014). <지역.중소방송사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송광고 지원 방안 연구> (방통융합정책연구 KCC-2014-30).
  19. 미래창조과학부.방송통신위원회 (2014). <2014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
  20. 성욱제 (2009). 프랑스 공영방송법 제정: 배경, 과정, 의미. <방송통신연구>, 68호, 163-192.
  21. 신장철 (2012, 4월). <일본의 대장성 개혁배경에 관한 연구: 낙하산 인사 관행을 중심으로>.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춘계학술대회.
  22. 양선희 (2014). 수용자 조사를 통해 본 지역언론의 현황과 과제: 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5권 1호, 261-280.
  23. 이광석 (2014). 행정과 생활세계의 충돌과 조화에 관한 연구: 의식의 흐름 방법을 적용한 밀양 송전탑 사태의 분석. <한국행정학보>, 48권 3호, 147-174.
  24. 이명석 (2001). 정부투자기관 임원의 정치적 임용과 경영실적. <한국행정학보>, 35권 4호, 139-156.
  25. 이승선 (2010). 미디어법 개정과 지역민의 행복추구권. <사회과학연구>, 21권 2호, 201-224.
  26. 이승선 (2015a). 방송광고 매출배분 분쟁조정의 실효성을 위한 법령의 개선방향. <방송통신연구>, 92호, 44-74.
  27. 이승선 (2015b). 방송광고균형발전위원회의 위상과 운영에 관한 평가: 관계자 및 전문가 의견조사를 중심으로. <광고연구>, 106호, 111-148.
  28. 이용재 (2010). 지역방송의 재정적 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논의. <언론학연구>, 14권 1호, 125-127.
  29. 이재영.이주영 (2012). <방송광고판매 경쟁도입에 따른 중소방송광고 결합판매 할당기준 마련> (방송통신위원회 정책연구보고서).
  30. 이진로 (2004). 한국 공영방송의 사회적 성격에 관한 연구: 노무현 정부 초기 한국방송공사(KBS) 사장 선임 과정 분석. <언론과학연구>, 4권 2호, 177-208.
  31. 이진로 (2008a, 10월). <한국 공영방송의 정치경제학: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집권 초기 KBS 사장 선임 방식의 비교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정기학술대회.
  32. 이진로 (2008b). 지역방송 정책의 평가와 과제. <언론과학연구>, 8권 3호, 68-113.
  33. 이창근 (2009). 주권재민 원칙을 구현하는 공영방송사의 민주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탐색. <미디어경제와 문화>, 7권 1호, 149-200.
  34. 이춘구 (2014). 공영방송의 정치적 독립성에 관한 법적 연구. <언론과 법>, 13권 2호, 217-265.
  35. 임의영 (2006). '지방생산모형'의 도출을 위한 시론적 연구: 타자화논리와 내부식민지론의 통합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20권 4호, 131-153.
  36. 장병희.이양환 (2010). 자원기준관점(Resource-based View)을 적용한 영국, 독일, 일본의 공영방송 지배구조 분석. <언론과학연구>, 10권 2호, 502-543.
  37. 장일 (2004). BBC 사장 선임 기준과 절차. <신문과 방송>, 4월호, 86-90.
  38. 장호순 (2015). '종속'과 '배제': 한국 지역방송의 내부 식민지 구조에 대한 탐색적 연구. <언론과학연구>, 15권 2호, 375-411.
  39. 전국언론노동조합 지역방송발전특별위원회 (2015). <2015 국정감사 자료>.
  40. 정군기 (2006). BBC 정책 결정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0권 1호, 404-444.
  41. 정용하 (1995). 지역방송의 자율실태에 관한 연구. <언론과 정보>, 1권 1호, 37-82.
  42. 정윤식 (2013). ICT 거버넌스 구조개편과 새 정부 방송 정책. <방송문화연구>, 25권 1호, 7-38.
  43. 조항제 (2006). 지역방송의 지역성 변화. <한국언론정보학보>, 34호, 275-305.
  44. 지역방송협의회(2015). <2015 국정감사 자료>.
  45. 지역MBC 노동조합 18개 지부 (2015). <지역MBC 현안 문제> (방송문화진흥회 제출 자료).
  46. 최선욱.유홍식 (2010). 공영방송 사장의 해임 뉴스보도에 나타난 프레임 분석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52호, 69-89.
  47. 최영묵 (2003, 5월). <한국방송 사장과 한국방송 개혁 과제>. 한국언론정보학회 정기학술대회.
  48. 최영묵.박승대 (2009). 방송의 정치적 독립성 확보를 위한 미디어 정책 방향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46호, 590-626.
  49. 최영재 (2014). 공영방송 보도국의 정파적 분열: 민주화의 역설, 정치적 종속의 결과. <커뮤니케이션이론>, 10권 4호, 476-510.
  50. 최우정 (2012). 방송사의 지배구조와 프로그램 편성권의 문제. <언론과 법>, 11권 1호, 1-32.
  51. 최우정 (2014). 지역 지상파 민영방송사의 공적책무 달성을 위한 법적 문제점. <법학논고>, 45집, 183-214.
  52. 한선.이오현 (2012). 지역방송의 지역성 개념과 지역성 구현의 문제: 광주지역 방송생산을 중심으로 한 질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26권 5호, 271-306.
  53. 한선.이오현 (2013). 지역방송 프로그램 생산의 제한 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광주지역 생산(자)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7권 4호, 243-268.
  54. 한진만 (2011). <한국방송의 이해>. 서울: 한울.
  55. 허인.이제영 (2003). 방송사의 지배구조 개선에 관한 시론적 연구. <언론과 법>, 2호, 443-503.
  56. 허정헌 (2013). 공영방송 지배구조 조속히 개선해야. <관훈저널>, 126호, 79-81.
  57. 황태연 (1997). 내부식민지와 저항적 지역주의. <한독사회과학논총>, 7호, 11-36.
  58. Hechter, M. (1975). Internal colonialism. Berkeley, CA: Univ. of California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