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3D Cadastral Information based on Individual Right Objects

개별 권리객체 기반의 3차원 지적정보 구축 및 활용방안

  • 배상근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
  • 이성규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
  • 신윤호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
  • 김재복 (한국국토정보공사 지적재조사처) ;
  • 최형환 ((주)이지스 연구소)
  • Received : 2016.04.29
  • Accepted : 2016.06.24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 uses of land were relatively simple in the old days, but they are being expanded rapidly to the aboveground and underground due to the urban concentration, the large-scale urban development and so on in these days. Accordingly, the concept of the rights to lands grows from 2D to 3D, and many studies about the 3D cadastral information have been performed in recent years. Several studies were performed about the construction and the visualization of the 3D cadastral information, but most of them focused on the 3D visualization of the buildings and facilities. However, it is more desirable to visualize the individual objects of the rights to lands while considering 'the information on the rights' as well as the 'physical information'. Therefore it is supposed to construct and use the 3D cadastral information based on the individual objects of the rights in this paper. The level of the cadastral information will be upgraded by making and describing more detailed 3D cadastral information through this paper. And also the applicability of the 3D cadastral information will be improved when it is used with the real estate information, the demographic information and many others.

기존에는 토지의 이용이 지표에 한정된 비교적 단순한 형태였으나, 급속한 도시밀집화 및 대규모 도시개발 등으로 인해 최근에는 토지 이용이 공중, 지하로까지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토지에 대한 권리도 기존의 2차원적 측면에서 3차원적 측면까지 확장할 필요성이 생겼고, 최근 몇 년 사이 3차원 지적정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중 3차원 지적정보의 구축 및 가시화에 대한 연구도 일부 진행되었으나, 대부분 필지에 포함된 건물이나 시설물을 전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눈에 보이는 건물의 '물리적 정보'뿐 아니라 '권리적 정보'의 측면까지 고려하게 되면, 공동주택이나 상가건물과 같은 집합 건축물은 하나의 건물에 여러 개의 권리관계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각각의 권리객체로서 표현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개별 권리객체 단위로 지적정보를 구축 및 표현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기존보다 더욱 정교한 3차원 지적정보를 구축하고 표현함으로써 지적정보의 수준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지적정보가 향후 부동산 정보, 인구통계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와 결합된다면, 지적정보의 활용성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교통부(2016), "브이월드(공간정보 오픈플랫폼)", http://map.vworld.kr.
  2. 김감래.황보상원.이성화(2015), "3차원 지적등록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33-145.
  3. 김영욱(2013), "지적재조사를 통해 구축된 디지털 지적공간정보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pp.14-15.
  4. 김재인.김태정.배상근.정동훈(2014), "지적공간정보의 3차원 가시화 방안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32권 제4-2호, pp.425-432.
  5. 네이버(2016), "네이버부동산", http://land.naver.com.
  6. 배상근.신윤호.이성규.주용진(2015), "3차원 지적정보 기반 맞춤형 주거 공간정보 서비스 모델 개발",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23권 제2호, pp.49-57.
  7. 서울특별시(2009), "입체지적 기반조성사업 완료보고서", pp.79-81 .
  8. 서울특별시(2011), "입체지적 기반조성 2단 계사업 완료보고서", pp.154-161 .
  9. 서울특별시(2011), "입체지적 시범단지 구축사업 완료보고서", pp.180-184.
  10. 신윤호.정동훈.이보미.김영현(2013), "한국형 3D 지적의 국제 표준화를 위한 연구", 공간정보연구원.
  11. 이효상(2015), "지적정보를 활용한 구분지 상권 등록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pp.1-3.
  12. 전철민(2013), "DBMS를 위한 3차원 지적 모델링: 구분지상권을 중심으로",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21권 제2호, pp.73-83.
  13. 정동훈.이인수.이보미.곽병용(2012), "3D 지적 표준화를 위한 기초연구", 공간정보연구원.
  14. 정영진.이보미.곽병용.박준철.김문경 (2014), "3D 지적의 국제표준화를 위한 연구", 공간정보연구원.
  15. Guo et al(2011)., "3D Cadastre in China-a Case Study in Shenzhen City", 2nd International Workshop on 3D Cadastres, FIG, pp.291-309.
  16. Vandysheva et al(2012)., "The 3D Cadastre Prototype and Pilot in the Russian Federation", FIG Working Week 2012, F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