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arcel based Information System for Sediment Disaster by using Mobile GIS

모바일 GIS를 이용한 필지별 토사재해정보시스템 개발

  • 이근상 (전주비전대학교 지적토목학과) ;
  • 최연웅 (조선이공대학교 토목건설과)
  • Received : 2016.04.25
  • Accepted : 2016.06.24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 collapses of retaining walls or embankments, the soil erosion and landslides around urban areas are occurring by heavy rainfalls because of the recent climate change. This study conducts the soil erosion modeling, while applying the spatial information such as soil maps, DEM and landcover maps to the RUSLE model. Especially this study draws up the soil erosion grade map and the unit soil erosion grade map by parcels through coupling the soil erosion with the cadastral map, and by that can calculate the number of parcels by soil erosion grades. Also the sediment disaster information system based on the mobile GIS is developed to identify the soil erosion grades of site in the urban plannings and the construction fields. The sediment disaster information system can identify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registers of lands, buildings and roads, and confirm the RUSLE factors, the soil erosion, the sediment disaster grades by parcels. Also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ystem can support the sediment disaster work of site effectively through searching the locations and attributes of the specific parcels by Administrative Dong and the soil erosion grades.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로 인해 도심지 옹벽 및 축대붕괴, 토사유실 그리고 산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도, DEM, 토지피복도와 같은 공간정보를 RUSLE 모델에 적용하여 토사유실모델링을 수행하였다. 특히 토사유실량을 지적도와 연계하여 필지별로 토사유실 및 단위토사유실 등급도를 작성하였으며, 토사유실 등급별로 필지수를 계산할 수 있었다. 또한 도시계획이나 건설 분야에서 토사유실 등급을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모바일 GIS 기반의 토사재해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토사재해정보시스템을 통해 토지대장, 건축물대장 그리고 도로구간대장에 대한 현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필지별로 RUSLE 인자와 토사유실량 그리고 토사재해등급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행정동과 토사유실등급별로 해당 필지의 위치와 속성을 검색함으로써 현장에서 토사재해업무를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세원.서영호.변학수.최승출.강안석 (2010), 고랭지채소 대체소득 밭작물 입식에 의한 토사유실 저감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195-196.
  2. 김형준.이근상.박진호 (2012), 모바일 GIS 프로그래밍, 지앤선.
  3. 문영채.이홍로 (2008), GIS기반 GPS를 이용한 농작물 작황 조사 모바일 시스템구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11권, 제4호, pp.22-31.
  4. 박경훈 (2003), GIS 및 RUSLE 기법을 활용한 금호강 유역의 토양침식 위험도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6권, 제4호, pp.24-36.
  5. 박종덕.구자용 (2011), 모바일 GIS를 이용한 홍수 위험 경보 서비스 구현, 대한지리학회지, 대한지리학회, 제46권, 제6호, pp.738-750.
  6. 신계종 (1999), 지형공간정보체계를 이용한 유역의 토양유실분석, 강원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박사논문.
  7. 심규성.손원표.지계환.강전용 (2012), Open GIS 및 모바일 정보기술을 이용한 도로교통시설물 유지관리방안 연구, 교통기술과 정책, 제9권, 제6호, pp.43-50.
  8. 이근상 (2015), 공간정보를 활용한 도심지 토사유실 위험도 평가, 지적과 국토정보, 제45권, 제2호, pp.57-70. https://doi.org/10.22640/LXSIRI.2015.45.2.57
  9. 이근상.김기정.김형준 (2013), 모바일 관광을 위한 위치기반 서비스 기술,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16권, 제3호, pp.1-11. https://doi.org/10.11108/kagis.2013.16.3.001
  10. 이근상.김형준 (2012), 지적정보 서비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15권, 제4호, pp.55-64. https://doi.org/10.11108/kagis.2012.15.4.055
  11. 이근상.이명진.홍현정.황의호 (2007), GIS를 이용한 사방댐의 토사유실 저감효과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10권 1호, pp.158-168.
  12. 정필균.고문환.임정남.임기태.최대웅 (1983), 토양유실량 예측을 위한 강우인자의 분석, 한국토양비료학회지, 한국토양비료학회, 제16권, 제2호, pp.112-118.
  13. Barfield, B.J., C.T. Haan and D.E. Storm (1989), Why model ?, Proceedings of the CREAMS/GLEAMS Symposium, Athens, Georgia, September 28-29, pp.3-8.
  14. Desmet, P.J., G overs, G . (1996),Comparison of routing algorithmsfor digital elevation models and theirimplications for predicting ephemeralgullies, International Journal of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Vol.10, No.3, pp.311-331. https://doi.org/10.1080/02693799608902081
  15. Erickson, A.J. (1997), Aids forestimating soil erodibility - K valueclass and soil loss tolerance, U.S.Department of Agriculture, SoilConservation Service, Salt Lake City ofUtah.
  16. Hudson, N. (1977), Soil Conservation,Ithaca : Cornell University Press, 324p.
  17. Lo, K.F.A., S.H.Chiang and B.W.Tsai(1992), Erosion evaluation and predictionin mountain regions of Taiwan,Erosion, Debris Flows and Environmentin Mountain Regions, Proceedings ofthe Chengdu Symposium, July, IAHSPublication No.209, pp. 119-128.
  18. Morgan, R. P. C. (1995), "Soil Erosionand Conservation", Edinburgh : AddisonWesley Longman Limited, p.198.
  19. Nearing, M.A.(1997), A single,continuous function for slope steepnessinfluence on soil loss, Soil ScienceSociety of America Journal, Vol.61,No.3, pp.917-919. https://doi.org/10.2136/sssaj1997.03615995006100030029x
  20. Renard, K. G., G. R. Foster, G. A.Weesies, P. J. Porter (1991), RUSL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Vol.46, No.1, pp. 30-33.
  21. Roba Abbas, Katina Michael, M.G.Michael and Rob Nicholls (2013),Sketching and validating the location-based services (LBS) regulatoryframework in Australia, ComputerLaw & Security Review, Vol.29, No.5,pp.576-589. https://doi.org/10.1016/j.clsr.2013.07.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