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usical Actor's Projection Pattern and Treatment System

뮤지컬 배우의 배역 투사 양태와 치유 시스템

  • 김정섭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영상연기학과) ;
  • 이은혜 (동국대학교 공연예술학과)
  • Received : 2016.02.15
  • Accepted : 2016.03.21
  • Published : 2016.07.28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institutional treatment system by analyzing the pattern of musical actor's projection and aftereffect subsequent to the completion of performanc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2 top-class musical actors and actresses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result of the survey indicated that most actors and actresses suffer from projection and it's aftereffect such as depression for more than one month after performance, and that they tend to rely on self-healing based on self-diagnosis rather than seeking for professional counselling. The symptoms of projection were shown more strongly when the actors or actresses were taking on the role of main character, or acting as a negative or realistic character, or when expressing strong and extreme emotions. In this era of Korean culture,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our country have to establish the actor's mental caring-related new law and private care centers supported enough funds to encourage the actors to receive more effective actor-friendly treatment service before and after the performance.

본 연구는 뮤지컬 배우의 공연 후 배역 투사와 그 후유증 양태를 파악하여 제도적인 치유 시스템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우리나라 정상급 남녀 뮤지컬 배우 22명을 상대로 심층 인터뷰를 하여 분석한 결과, 배우들은 대부분 공연 후 1개월 이상 장기간 배역 투사에 시달리며 우울증 등의 후유증으로 고통 받고 있으며, 치유도 전문가 상담을 회피한 채 자기진단에 따라 기분전환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사는 극중 주인공, 부정적 현실적 캐릭터 연기, 격한 감정을 표출할 때 특히 두드러졌다. 연구 결과는 배우들의 생생한 제언처럼 케이컬처 시대의 수준에 맞게 배우가 출연 전후 배우 친화적인 전문가의 상담 치료를 받도록 입법을 하고 재원을 조성해 민간에 배우전문 케어센터를 구축해야 한다는 점을 암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V. Geses, "The Self Concept,"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8, pp.1-33, 1982. https://doi.org/10.1146/annurev.so.08.080182.000245
  2. 김정섭, "우리나라 청소년 연기자 보호 제도에 관한 고찰 : 2014년 시행 '대중문화예술산업발전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 pp.86-94.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086
  3. D. Orzechowicz, "Privileged Emotion Managers: The Case of Actors," Social Psychology Quarterly, Vol.71, No.2, pp.143-156, 2008. https://doi.org/10.1177/019027250807100204
  4. S. Freud, Further Remarks on the Neuro-psychoses of Defense(1896), SE II, London: Hogarth Press, 1973.
  5. J. Randy(2002), Drama Therapy: Concepts, Theories and Practices, <억압받는 사람들을 위한 연극치료>, 이효원 옮김, 울력, 2012.
  6. 김진숙, "투사적 동일시의 의미와 치료적 활용,"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1, No.4, pp.765-790, 2009.
  7. J. Moore, "Theatre of Attachment Using Drama to Facilitate Attachment in Adoption," Adoption & Fostering, Vol.30, No.2, pp.64-73, 2006. https://doi.org/10.1177/030857590603000208
  8. R. Walsh-Bowers, "A Theatre Acting Perspective on the Dramaturgical Metaphor and Postmodern Self," Theory & Psychology, Vol.16, No.5, pp.661-690, 2006. https://doi.org/10.1177/0959354306067442
  9. M. Klein, Notes on Some Schizoid Mechanisms, In M. Klein. Envy and Gratitude and Other Works(1946-1963), London; Hogarth Press, pp.1-24, 1975.
  10. 야노 다카요시, "도코쿠(透谷) 문학과 빙의," 일본문화연구, Vol.34, pp.217-234, 2101.
  11. 홍성택, 오진호, "연극배우의 심리적 지원에 대한 인식과 발전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3, pp.220-229, 2011.
  12. 김정섭, "학제간 융합 연구기법을 적용한 배우 평가모델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0, pp.18-25,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0.018
  13. 이선형, "연극치료에서 투사 연구," 드라마연구, Vol.39, pp.209-234, 2012.
  14. E. Goffman, The Present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New York: Doubleday, 1959.
  15. D. Page, "Acting a Part: Performing Docudrama," Media International Australia Incorporating Culture and Policy, Vol.104, pp.30-41, 2002. https://doi.org/10.1177/1329878X0210400106
  16. 한미희, 옥주현 "내 상처 돌아보고 치유하는 시간," 연합뉴스, 2012.3.11.
  17. 한예지, "주원 <그놈이다> 여동생 죽음, 슬프고 끔찍했다," 티브이데일리, 2015.10.25.
  18. 강효진, "종영특집(2), <구가의 서>, 명품 조연이 살렸다," 티브이데일리, 2013.6.26.
  19. J. Kriegt, "There's No Business Like Show Business: Child Entertainers and the Law," Journal of Labor and Employment Law, Vol.6, No.2, pp.429-449, 2004.
  20. 김정섭, 케이컬처 시대의 배우 경영학, 한울엠플러스, 2014.
  21. http://david.sb.org/musictheater/actors_equity_association.html
  22. http://www.actorsfund.org/services-and-programs/ahirc
  23. 이건희, "아역배우 심리치료 어떻게 이뤄지나," 더 팩트, 2013.10.19.
  24. 반건호, 김봉석, 황준원, 유희정, 민정원, 곽영숙, 홍민하, "배역이 아역 연기자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 영화 촬영 현장 민 관계자 면담을 중심으로,"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24, pp.57-64,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