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 개념 신장을 위한 놀이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lay Learning Program for the Complement Number Concept

  • 투고 : 2016.04.15
  • 심사 : 2016.05.22
  • 발행 : 2016.05.31

초록

초등수학에서 보수 개념은 위치적 십진 기수법 체계를 이해하고 덧셈과 뺄셈 연산을 완성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개념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보수 개념을 신장시키기 위한 놀이 중심의 단계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것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의 수업을 단계별로 실시하면서 학생들의 연산 능력과 수학적 태도의 변화를 관찰한 것이다. 먼저 보수 개념을 학습하기 위한 조작 교구 및 놀이 학습 프로그램은 5단계(총 11차시)로 개발하였다. 보수 개념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조직은 디에네스(Dienes)의 놀이 학습 단계 이론에 근거하여 각 차시와 수업 내용을 구성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의 각 단계별 수업의 과정과 학생들의 반응, 연구자의 관점 등을 종합하여 기술하고 이로부터 학생들의 연산 능력에서의 변화와 수학에 대한 태도 변화를 함께 살펴본 것이다.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생들의 연산 능력과 수학적 태도 두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었는데, 따라서 1학년 수학에서부터 보수 개념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조직화하고 지도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study has two goals. The First is to develop and apply a step-by-step program and the degree to which students' mathematical skills. The second is to analyze mathematical attitude change around the first grade students was done. The program for learning complement number is composed of series of 5 steps and 11 classes. Play for learning complement number, taking into account the difficulty of the learning steps 1-5 are organized. First step is composed of the classes which fragmented pieces of shapes to complete the entire geometry with fun activities for the entire part of the concept of learning and it maintenance concepts and can naturally learn by associating step. In second step, tools to take advantage of the real world and collecting the conservative concept. 3rd steps is to repair the mathematical concept of the parish in the learning stage of expansion. 4th step is halrigalri, number cards, making ten games etc. 5th step is to verify the concept of complement number and number operation ability. The concept of complement number through fun activities can improve students' mathematical skills, and mathematical attitude change. Early in the program, students use the finger to throw acid in the process. Simple addition and subtraction calculations may take a long time and error, but more and more we progress through the program using the fingers is eliminated and a more complex form calculations was not difficult to act ou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문봉 (2001). 초등학교 수학 학습용 게임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0(2), 199-214.
  2. 강문봉, 김정하 (2014).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 개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3), 519-537.
  3.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8].
  4. 교육부 (2014). 수학 1-1, 수학 1-2, 수학 2-1, 수학 2-2, 수학 3-1, 수학 3-2, 수학 4-1, 수학 4-2. 서울: 천재교육.
  5. 교육부 (2015). 수학 5-1, 수학 5-2, 수학 6-1, 수학 6-2. 서울: 천재교육.
  6. 교육부 (2014). 수학 1-1, 수학 1-2 교사용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7. 구광조 외(1997). 수학교육과정과 평가의 새로운 방향. 서울, 경문사.
  8. 김상룡 (2010). 학습자와 함께 하는 수학게임 및 퍼즐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567-581.
  9. 김옥희 (2001). 놀이중심 교수 학습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노선규 (2006). 웹기반 개별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연산능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옥인 (2002). 수학과 놀이학습의 문제점 분석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윤기옥, 정문성, 최영환, 강문봉, 노석구 (2002), 수업 모형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문출판사.
  13. 송상헌 (2002). 수학 영재를 위한 교수 원리 및 방법의 적용에 대한 소고. 과학교육논총, 14, 1-19.
  14. 이경언 (2011). 10의 보수 찾기 게임을 통한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수 감각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 제 45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프로시딩.
  15. 조민승 (2011). 보수의 개념을 적용한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의 연산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한주희 (2004). 놀이 활동을 강조한 수학 학습이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연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허정민 (2013). 보드 게임 활동이 수와 연산능력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황순분 (2002). 단계형 수준별 학습을 통한 연산 능력 신장 방안.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위키백과 보수(수학). https://ko.wikipedia.org/wiki/%EB%B3%B4%EC%88%98_(%EC%88%98%ED%95%99) 에서 2016년 4월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