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assess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residue level of phenolic antioxidants in autoxidation of linoleic aci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ic antioxidants was measured based on peroxide value of linoleic acid at $50^{\circ}C$ for 8 days. We further evaluated the residue level of phenolic antioxidants in the autoxidation period by HPLC-UV. The residue level of antioxidants changed with time starting on day 0 (100%) and was determined by 100-remaining of antioxidants (%). Our results showed that peroxide values ranged from 0.33 to 10.18 meq/kg in propyl gallate, from 0.67 to 11.01 meq/kg in dodecyl gallate, from 0.01 to 10.34 meq/kg in octyl gallate, from 0.01 to 4.17 meq/kg in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from 1.00 to 5.85 meq/kg in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from 0.33 to 4.18 meq/kg in 2,4,5-trihydroxybutyrophenone, and from 1.00 to 11.01 meq/kg in tert-butylhydroquinone (TBHQ). Among the residue levels of antioxidants, on day 8, BHT showed the highest level while TBHQ showed the lowest. BHT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whereas BHA showed the lowest. This study proves that the residual level of phenolic antioxidants has a good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autoxidation in linoleic acid.
본 연구는 리놀레인산에 7종의 산화방지제를 각각 0.02% 농도로 첨가하여 $50^{\circ}C$의 dry oven에서 8일간 자동산화 시키면서 이들 산화방지제의 잔존량 및 산화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잔존량은 HPL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산화안정성은 과산화물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잔존량은 0일째(100%)에서 시간에 따른 변화율을 측정하였고, 또한 잔존량을 이용하여 100-잔존량(%)으로 손실률(%)을 계산하였다. 산화방지제 손실률과 과산화물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잔존량 분석 결과 tert-butylhydroquinone(TBHQ)> dodecyl gallate(DG)> octyl gallate(OG)> propyl gallate(PG)> butylated hydroxyanisole(BHA)> 2,4,5-trihydroxybutyrophenone(THBP)> butylated hydroxytoluene(BHT) 순으로 낮은 잔존량을 나타내었으나, BHA 같은 경우 다른 실험군에 비해 8일째의 잔존량이 4일째의 잔존량에 비하여 감소량이 크지 않았으며 TBHQ은 4일째의 잔존량이 이미 0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어 8일째의 잔존량과 큰 차이가 없었다. 과산화물가 측정 결과 대조군> TBHQ> DG> OG> PG> BHA> THBP> BHT 순으로 높은 과산화물가를 보였으며 산화방지제 손실률과 과산화물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상관관계(correlation coefficient, $R^2$)는 0.3913~0.9963의 범위로, 특히 BHT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R^2$=0.9963)를 보였다. BHA와 TBHQ를 제외한 대부분의 실험군에서 $R^2$ 값은 0.8769 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자동산화 과정에서 리놀레인산 기질 내 산화방지제의 잔존량과 기질의 산화안전성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