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nnection between the Last Panel of 1st Episode And the First One of 2nd on 'Webtoon'

웹툰에서 1화 마지막 칸과 2화 첫 칸의 연결 관계

  • 이원석 (공주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부)
  • Received : 2016.04.29
  • Accepted : 2016.05.31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First this research starts with agreement that comics is 'the sequential art'. It means that over two sequential panels makes how to recognize the story and this research owes to the connection of forward panel and backward panel. Webtoon, internet comics is also consisted to sequential panels. But only it is different with the publish comics by direction, shape, length and so on. So this research tries to make point of the connection between first panel and second panel. Especially it researches what types of connections between the last panel of first episode and the first panel of second one beyond the connections of panels at only episode. This research treats the types of gutter, 'connection' means to continue the same scenes or 'separation' does to devide the story and shows the new scenes. Weekly webtoon must have a kind of break time. The first panel of next episode should remind of the former story, it means easy technique. Otherwise some first panel don't show the same scenes or story so this study researches 130 artworks from the portal sites; Naver, Daum, mobile comics platform; Lezhin Comics and Toptoon, Corea.

만화는 '연속된 칸의 배열'이라는 명제에서, 이 연구는 출발한다. 연속된 두 칸 이상의 이미지가 연결되어 어떻게 이야기를 전달하는 지, 앞 칸과 뒤 칸의 연결 관계는 어떠한 지 등에 관한 연구에서 비롯된다. 우리나라 만화는 웹툰의 시대를 지나가고 있다. 과거 출판만화 시대의 단행본이나 잡지를 거쳐, 온라인이나 모바일에 게재되는 만화를 즐기는 시대로 이미 접어들었다. 웹툰 또한 연속된 칸의 배열로 구성된다. 단지 그 방향과 모양, 길이 등이 출판만화와 다른 점을 보인다. 이에 연구자는 연속된 두 칸의 연결관계를 다시 한 번 규명하려 한다. 특히 한 화 혹은 한 에피소드에서 칸의 연결에 관한 연구를 넘어서, 연재되는 두 화로 확장시켜 앞 화의 마지막 칸과 다음 화의 첫 칸의 연결 관계가 어떠한 지 살펴본다. 이 연구에서는 포털사이트 네이버와 다음에 연재하는 웹툰 100여 작품을 분석하였다. 특히 작품의 1화 마지막 칸과 2화 첫 칸을 분석하였다. 첫 화를 분석한 이유는 독자를 사로잡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연재 첫 화라는 전제에서 시작한다. 분석의 최대 관심은 두 칸이 연결성 측면에서 '연결'인가 또는 '단절'인가를 분석하였다. 또한 2016년 현재 대표적인 모바일만화 플랫폼 레진코믹스와 탑툰의 작품을 20여 편 분석하여 웹툰과 모바일만화에서 칸 연결의 차이점을 찾아보았다. 연재만화의 한 화의 마지막 칸은 그 화를 정리하는 기능과 동시에 다음 화에 대한 궁금증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역할을 갖는다. 또한 다음 화의 첫 칸은 전 화의 이야기를 이어가는 임무를 부여받는다. 이러한 이유로 이 두 칸은 적어도 대개 일주일이라는 시공간적 간극을 연결시켜야 한다. 첫 칸이 전 화의 이야기를 떠 올리게 하는 것이 쉬운 연결 기술일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존재한다. 이것은 온전한 작가의 몫으로, 작가는 어느 지점에서 한 화를 마무리하고 다음 화로 넘어갈지 고민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연재되는 만화의 시공간적인 간극을 칸이 어떻게 연결하는 지에 관한 유형을 통계로 제시함으로서 칸 연출의 연구 범위를 칸과 칸의 연결에서 에피소드와 에피소드의 연결로 확장시키는 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기술적으로나 만화 연출 상으로 두 화를 어떻게 연결하는 지에 관한 고민을 다소 해결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림, 서사만화개론, 범우사, 1999
  2. 박기준, 만화 스토리작법, 우람, 2000
  3. 스콧 맥클라우드, 만화의 이해, 비즈앤비즈, 2012
  4. 안수철, 만화연출, 글논그림밭, 1996
  5. 윌 아이스너, 그래픽스토리텔링과 비주얼내러티브, 비즈앤비즈, 2009
  6. 윌 아이스너, 만화와 연속예술, p.40, 비즈앤비즈, 2009
  7. 고동균, "출판만화에서 웹툰으로의 편집 변환 연구 : 칸의 구조 변환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대학원, 2015
  8. 정규하, "출판 만화와 웹툰의 형식적 특징에 관한 연구 : 윤태호의 <야후>와 <이끼>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석사), 2010. 8
  9. 김지연 ,오영재, 웹툰에 있어서 서사구조에 따른 공간활용에 대한 비교분석,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0 No.3 [2012], pp.127-142
  10. 안소라, 이원석, 카툰의 서사 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만화애니메이션연구, 2013, pp.223-246
  11. 이원석, 국내외 네칸만화 수사적 표현 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만화애니메이션연구 9, 2005.10, pp.18-32
  12. 네이버 웹툰 http://comic.naver.com/index.nhn
  13. 다음 웹툰 http://webtoon.daum.net/#day=tue&tab=day
  14. 레진코믹스 http://www.lezhin.com/ko/
  15. 탑툰 http://topto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