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raditional Pattern in Animation: focusing on Toom Moore's and

애니메이션에 사용된 전통문양 연구 - 톰 무어의 <바다의 노래>, <칼릴 지브란의 예언자-사랑에 대하여>를 중심으로

  • 조현지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애니메이션이론전공)
  • Received : 2016.04.29
  • Accepted : 2016.05.31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Pattern refers to singular or repetitive decorative form in a blank surface, Also pattern is not just something to simply fill in the blanks, and has more meanings. Pattern reflects the specific culture or regional feature. So Depending on which pattern to use, creator can give particular of identity. which is generally utilized in visual arts such as painting, architecture, craft, as well as animation. Pattern in animation plays a role of decorating background or surfaces of characters' outfits or props. And Parttern is effective way to describe the story of the times and space environment of the background. Tomm Moore, an animation director in in Ireland mainly produces animations based on traditional folk stories or myths. He usually utilizes cultural and artistic factors related to the themes in his work production. One example is the insertion of pattern closely associated with the narratives and backgrounds of animations to create profound scenes. Tomm Moore used the Irish Celt pattern in Secret of Kells (2009) and Song of Sea (2014) and Islam geometric pattern and plant pattern in a short nimation named On Love from Kahlil Gibran's The Prophe (2014).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foundation and the narratives of these two animations, Song of Sea(2014) and Kahlil Gibran's The Prophet: On Love (2014) in which Tomm Moore participated as the director and producer, exploring their relevant traditional patterns. Moreover, it also attempts to analyze how these traditional patterns are utilized in the animations.

문양이란 비어있는 표면을 단독적으로, 혹은 반복되어 장식하는 형상을 말한다. 문양은 회화, 건축, 공예 등 시각예술이 쓰이는 영역이라면 어디든 사용 될 수 있다. 현대에도 문양은 전통 문양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현대적으로 변형하여 사용한다. 또한 문양은 단순히 여백을 채우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는데, 특정 지역권의 문화나 사상 등이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문양을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특정한 정체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는 애니메이션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다. 애니메이션에서 문양은 배경이나 캐릭터의 의상, 소품 등의 표면을 꾸미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캐릭터와 배경, 이야기의 시대적, 공간적 배경 등의 환경을 설명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아일랜드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에 소속된 애니메이션 감독 톰 무어(Tomm Moore)는 주로 전통설화나 신화를 토대로 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였는데, 그 소재와 연관된 문화, 예술적 요소를 작품 연출에 활용한다. 그 중 한 예로 문양을 들 수 있다. 애니메이션의 서사와 배경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문양은 배경과 소품에 삽입되어 이를 통해 더욱 깊이 있는 화면이 탄생한다. 톰 무어는 <켈스의 비밀>(Secret of Kells, 2009)과 <바다의 노래>(Song of Sea, 2014)에서는 아일랜드 켈트 문양을, <칼릴 지브란의 예언자>(Kahlil Gibran's The Prophet, 2014)에 삽입된 단편 애니메이션 <사랑에 대하여>(On Love)에는 이슬람의 기하문양과 식물 문양을 사용했다. 본 논문에서는 톰 무어가 감독 및 연출로 참여한 두 편의 애니메이션 <바다의 노래>(Song of Sea, 2014), 그리고 <칼릴 지브란의 예언자-사랑에 대하여>(Kahlil Gibran's The Prophet- On Love, 2014) 의 서사와 그 바탕에 깔린 역사, 문화적 배경을 파악하고 그것과 맞물리는 전통문양에 대하여 알아본다. 또한 이런 전통문양들이 애니메이션에서는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분석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케가미 료타, 곽형준 역, 도해 켈트 신화, 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2014.
  2. Kata Shuich, Rudolf Koch, 세계전통문양선집-이슬람 전통문양, 이종문화사, 1999.
  3. Eva Wilsons, Azade Akar, Lis Bartholm, 세계전통문양선집-이슬람 전통문양(2), 이종문화사, 2005.
  4. Courtney Davis, Lis Bartholm, C.B.Griesbach, 세계전통문양선집-유럽전통문양, 이종문화사, 2005.
  5. 타임라이프 북스, 전일휘 역, 유럽의 정복자 켈트 족, 가람기획, 2014.
  6. 칼릴 지브란, 정창영 역, 예언자, 물병자리, 2007.
  7. 줄리에트 우드, 이연희 역, 켈트, 도서출판 들녘, 2002.
  8. 모리세 료, 김훈 역, 켈트 신화 사전, 비즈앤비즈, 2014.
  9. 문재철, 김영옥, 미셀 오슬로의 <밤의 이야기>를 통해 본 디지털 실루엣 애니메이션의 미학적 특성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32호(2013.09.) pp.1-21.
  10. 임병필, 시인(詩人) 지브란 칼릴 지브란 연구, 지중해지역연구, 제 4권 제 1호(2002.2.) pp.145-160.
  11. 네이버, Naver, 미술대사전(용어편)(1998., 한국사전연구사), "문양 [文樣]", 2016년 4월 15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0521&cid=50335&categoryId=50335
  12. 네이버, Naver, 고고학사전(2001. 12., 국립문화재연구소), "문양 [文樣]", 2016년 4월 20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8337&cid=43065&categoryId=43065
  13. 네이버, Naver, 미술대사전(용어편) 1998., 한국사전연구사), "공간외포 [空間畏佈, horror vacui] ", 2016년 4월 20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59056&cid=50294&categoryId=50294
  14. Zerochan, http://www.zerochan.net/97262
  15. Cartoon Saloon, http://www.cartoonsaloon.ie/work/secret-of-kells/
  16. Cartoon Saloon, http://www.cartoonsaloon.ie/work/song-of-the-sea/
  17. 네이버, Naver, http://movie.naver.com/movie/bi/mi/photoView.nhn?code=129064
  18. 네이버, Naver, 종교학대사전(1998, 한국사전연구사), "할로윈", 2016년 4월 16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31528&cid=50766&categoryId=50794
  19. 네이버, Naver,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29064
  20. 네이버, Naver, 종교학대사전(1998, 한국사전연구사), "신비주의 [mysticism]", 2016년 4월 20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30125&cid=50766&categoryId=50794
  21. 네이버, Naver, 종교와 사상(터키사, 2007. 9. 12., 미래엔), "신비주의 [mysticism]", 2016년 4월 20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09645&cid=43014&categoryId=43014
  22. <켈스의 비밀>(Secret of Kells, 2009).
  23. <바다의 노래>(Song of Sea, 2014).
  24. <칼릴 지브란의 예언자-사랑에 대하여>(The Prophet - on Love, 2014).
  25. <아주르와 아스마르>(Azur et Asmar, 2006)
  26. <암굴왕>(巖窟王がんくつおう,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