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ype of attitude analysis of the Auto-play mobile games using user

모바일 게임 자동플레이 사용 유저의 유형별 태도분석

  • Received : 2016.11.16
  • Accepted : 2016.12.16
  • Published : 2016.12.20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attitudes of users who use the automatic-play function of mobile-games. It also observes changes in different emotions to enjoyment. For the analysis, the Q methodology appropriate for the subjectivity study was used, and it classified two types of attitudes based on the analysis. After the classification, it defined the characteristic of each type based on Lazzaro's theory on classification of fun. Types with high rate of convenience feature dependency utilize automatic-play feature to play games for collecting and growth, and they prefer managing the game outdoors. Another type enjoyed the experience of problem solving through games. They want the process to be a good skill to possess in game-play. There was also a tendency to perceive oneself as the game's character. Both types were responded positively to using automatic-play to play mobile-games. This is expected to be used as important data for game production, leading to usability evaluation for analyzing the emotional sensitivity of mobile game users.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게임의 자동플레이 기능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태도 분석을 통해 유희적 감성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주관성 연구에 적합한 Q 방법론을 사용하였고, 분석에 근거하여 두 가지의 태도별 유형 그룹을 분류하였다. 편의 기능 의존비율이 높은 유형의 경우 수집과 성장을 통한 유희를 위해 자동플레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게임 관리자와 같은 역할을 선호한다. 반대 유형은 게임 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의 경험과 이를 반복하여 얻는 능숙한 조작감을 유희로 인식하고 자신을 게임 속 주체와 동일화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두 유형 모두 모바일 게임에 한하여 자동플레이(auto-play) 기능 활용에 긍정적이었다. 이는 모바일 게임 사용자의 유희적 감성을 분석하는 사용성 평가로 이어져 게임 제작에 중요 데이터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Igaworks. 2015 구글플레이 게임 카테고리 총 결산 보고서. http://blog.igaworks.com/2015googleplay_datareport/
  2. Nicole Lazzaro. Why We Play Games: Four Keys to More Emotion in Player Experiences. 2004
  3. Steve Swink, "Game Feel. Elsevier", 2008.
  4. Jesper Juul, Half-Real, MIT Press, 2008.
  5. Raph Koster, "Theory of fun for game design". O'Reilly Media, Inc., 2013.
  6. 류철균, 김화연. 모바일 RPG 자동전투를 통한 욕망 충족 양상 연구, 2015.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5권 5호.
  7. 최선규, 자동전투 시스템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8. Nasmedia, 2015 NPR. http://www.slideshare.net/nasmedia/mobile-issue-report
  9. 디지털데일리. http://www.ddaily.co.kr/news/article.html?no=138995
  10. 김미진, 김영실. 소셜 네트워크 게임 사용자의 동기-행동구조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 산업학회논문지>, 5(2), 2011, 77-86.
  11. 최성욱 외 3인,"MMORPG에서 봇(BOT)이 온라인 게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제23호,pp.113-123,2010.
  12. 박상현 외 3인,"행동패턴 모델을 이용한 게임 봇 검출방법", 한국지능 시스템학회 논문지, Vol.20,No.3,pp.422-427,2010.
  13. 유재홍, "스마트폰 기반의 게임 애플리케이션 제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3.
  14. 송붕, "스마트폰 게임 특성이 몰입,이용자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3.
  15. 최용석.이지애.권혁인,"온라인 게임 피로도 시스템의 효과적인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Vol.4,No.22,2010.
  16. Steven Brown, "Political Subjectivity :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in political science",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