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troduction and Current Status of Ultra Supercritical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초초임계 순환유동층 보일러 기술 소개 및 현황

  • 이시훈 (전북대학교 자원에너지공학과) ;
  • 이종민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 increase of world's popul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are the keys drivers behind growing demand for energy. Especially the demand for electricity would eventually result in an increase of coal usage. Therefore ultra supercritical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has been developed as solutions of economic eco-friendly technologies for coal and of increasing supplies of low grade fuels. Ultra supercritical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has an once through type of steam cycle different from drum type in subcritical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Also, the duplication of a proven commercial module with 100-300 MWe subcritical circulating fluidized bed might be the key for design of 500~800 MWe ultra supercritical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After 2017, ultra supercritical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might become standard model over subcritical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Therefore, this paper will help you to understand ultra super critical circulating fluidized bed (USC-CFB) through describing the background, status and prospect of the CFB technology.

전세계의 인구 증가와 경제 발전은 지속적인 에너지 수요의 증가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전력부분에서는 아시아 및 아프리카, 그리고 중남미 등의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주요 에너지원인 석탄의 이용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이산화탄소 및 대기오염원, 그리고 미세먼지 등의 배출 등은 석탄을 이용한 전력생산에 있어 환경친화적인 기술로의 대응방안 마련과 더불어, 고효율의 다양한 저급연료를 활용할 수 있는 발전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기술개발 및 그 상용화 시장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초초임계 순환유동층 보일러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초초임계 순환 유동층 보일러는 중소형의 아임계의 드럼형 구조에서 벗어나 대용량화의 기본 구조인 Once Through 형태의 증기 순환 구조를 지니고 100-300 MWe의 상업용 모듈의 복제를 통해 600 MW급이 상용화 운전 중에 있으며, 향후 설계가 완성된 800 MWe의 상업화 진행이 기대되고 있다. 초초임계 순환유동층 보일러는 2017년 이후 아임계 순환유동층 보일러 설치 용량을 추월하여 표준형 모델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본 논문에서의 이의 기술적 배경과 개발 현황 그리고 시장전망 등을 통해 기술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BP, "BP energy outlook 2016 edition", www.bp.com (2016).
  2. DOE, "Annual energy outlook 2015", DOE/EIA-0383, USA (2015).
  3. 다카이 미키오, "세계 전기 사업의 동향", 전기평론, 일본, 2008.
  4. 국무총리실, "제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2008-2030-", 대한민국, 2008.
  5. ABS Energy Research, "Power Predictor 6 Report Ed6-2007", London (www.absenergyresearch.com), UK, 2007.
  6. 정만태, "고효율 발전설비 분야의 2020 비전과 전략", 산업연구원, 한국, 2007.
  7. Zhen Fan, Archle Roberson, Stave Goldich, "800MWe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with 1300oF Supercritical Steam", Florida, USA, 2008.
  8. 한국산업기술진흥원, "Market leading products - 대용량 USCCFB 보일러",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대한민국 (2014).
  9. 한국에너지기술개발평가원, "대용량 초초임계압 순환유동층 발전기술 R&D 추진방향", 한국에너지기술개발평가원, 서울, 대한민국 (2014).
  10. Daizo Kunii and Octave Levenspiel, "Fluidization Engineering", Butterworth-Heinemann, Boston, USA (1991).
  11. Prabir Basu,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s", Springer, New York, USA (2015).
  12. Rafal Psik, Ziemowit Slomczynski, PKE, "Final stage of first supercritical 460MWe CFB boiler construction - Project update", Power Gen International, Orlando, Florida, USA (2008).
  13. McCoy Report Data (2015) and IEA-FBC IA Country Report (2011-2015), Draft Version (2016).
  14. Ragnar Lundqvist, Rudolf Kral, Pertti Kinnunen, and Kari Myohanen, "The advantages of a supercritical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www.bhelpssr.co.ln.
  15. Artur Blaszczuk, Wojciech Nowak, and Szymon Jagodzik, "Effects of operating conditions on deNOx system efficiency in supercritical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J. Power Technol., 93, 1-8 (2013).
  16. Long Wang, Dong Yang, Zhi Shen, Kaiyuan Mao, and Jun Long, "Thermal-hydraulic calculation and analysis of a 600 MW supercritical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with annular furnace", Applied Thermal Engineering, 95, 42-52 (2016). https://doi.org/10.1016/j.applthermaleng.2015.11.014
  17. Zhen Fan, Steve Goidich, Archie Robertson, and Song Wu, "Ultra-supercritical pressure CFB boiler conceptual design study", No. DE-FC26-03NT41737, DOE, USA (2006).
  18. www.IEA-coal.org.uk
  19. www.idc.com
  20. www.businessinsider.com
  21. www.transparencymarketresearch.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