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요양병원 진폐환자의 구강건강인식 조사

Survey on Oral Health Awareness by Pneumoconiosis Patients of Care Hospitals

  • 투고 : 2016.02.02
  • 심사 : 2016.02.23
  • 발행 : 2016.06.28

초록

본 연구는 요양병원의 진폐환자를 대상으로 구강건강인식 및 치과진료요구, 구강악안면통증을 조사하여 진폐환자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2015년 3월부터 7월 까지 3개 요양병원의 환자 중 연구목적에 동의한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구강건강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평균 월수입이 200만원 이상인 대상자가 200만원 미만인 대상자보다 구강건강 인식도가 유의하게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이는 200만원 이상일 때 구강건강인식도가 0.77배 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폐환자의 구강건강인식의 향상을 위해서는 구강보건 정책 결정 시 경제적 안정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되며 진폐환자의 구강건강에 대한 조사 및 연구가 좀 더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oral health awareness, needs of dental treatment and the oral and maxillofacial pains targeting pneumoconiosis patients of care hospital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basic data for preparing a plan to improve the oral health of patients plagued with pneumoconiosis. As the subjects of survey, total 120 patients who have agreed to the research among the patients of three care hospitals, were enrolled between March and July in 2015. As the result of the study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oral health percep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persons of an average monthly income of 2 million won or more,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ly better oral health awareness than the subjects of monthly earning of less than 2 million won (p<0.05), thus showing that the oral health awareness by the people of monthly income of more than 2 million won, was 0.77 times higher compared to the other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oral health awareness of pneumoconiosis patients, the economic stability of the patient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s a priority when examining the oral health policy decisions and it was recommended that the survey and research on the oral health of patients with pneumoconiosis can be done in amore systematic manner.

키워드

참고문헌

  1. Ministry of Health, Welfare, A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Awareness and Intentions of Use of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among the Aged in Korea, 2004.
  2. 박명숙, 최스미, "구강간호교육이 노인요양시설 돌봄제공자의 구강간호 지식, 태도 및 행위와 재원노인의 구강위생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제41권, 제5호, pp.684-693, 2011. https://doi.org/10.4040/jkan.2011.41.5.684
  3. 배윤호, 이희경, "도시 재택노인의 저작능력과 건강상태와의 관련성," 영남의대학술지, 제21권, 제1호, 통권38호, pp.51-59, 2004.
  4. J. N. Vanobbergen and L. M. De Visscher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variation in oral hygiene practices and facilities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Community Dent Health, Vol.22, No.4, pp.260-265, 2005.
  5. 박주희, "무료양로원 거주 기초생활수급대상 노인의 구강건강상태,"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6권, 제4호, pp.555-566, 2002.
  6. 박명숙, "노인요양시설 간호인력의 구강간호 제공실태 및 교육요구도," 노인간호학회지, 제12권, 제1호, pp.72-80, 2010.
  7. 이경은, "양점도 폐광지역 진폐재해자 복지욕구실태 및 프로그램 개발," 복지행정논총, 제18권, 제2호, pp.1-27, 2008.
  8. Y. Lim, "The study of pneumoconiosis treatment. Conference of Korean-Japan on pneumoconiosis," Occupational Health, Vol.11, pp.14-15, 1997.
  9. 편인옥, 진폐환자의 질병경험에 관한 연구 : Parse 이론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10. 배문혜, 진폐증 환자의 삶의 질 예측 모형,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11. 송옥희, 요양기관 노인 진폐증 환자의 신체활동정도와 신체활동 관련 요인,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2. 조성숙, 최미혜, "사업장근로자의 구강보건인식 및 실천에 관한 연구," 중앙간호논문집, 제5권, 제1호, pp.25-33, 2001.
  13. 장윤정, "노인의 주관적 치주질환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제9권, 제4호, pp.836-848, 2009.
  14. L. Gilbert, "Social factors and self assessed oral health in South Africa,"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Vol.22, No.1, pp.47-51, 1994. https://doi.org/10.1111/j.1600-0528.1994.tb01568.x
  15. B. S. Choi, Statistical system construction in pneumoconiosis, Workers Accident Medical Corporation Center for Occupational Lung Diseases, 2006.
  16. 배문혜, 추진아, 한금선, "요양기관에 입원중인 진폐증 환자에서 고독감과 삶의 만족도와의 연관성,"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제18권, 제2호, pp.185-193, 2009.
  17. 신선정, 정원균, 안용순, 마득상, 박덕영, 정세환, "다중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사회경제적위치의 연관성 분석,"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35권, 제3호, pp.297-305, 2011.
  18. 장문성, 김혜영, 심연수, 류인철, 한수부, 정종평, 구영, "한국노인의 자가보고 치주건강상태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제36권, 제3호, pp.591-600, 2006.
  19. 김남희, 김현덕, 한동헌, 진보형, 백대일, "서울지역 노인복지회관 이용 노인의 주관적 구강증상과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30권, 제2호, pp.141-150, 2006.
  20. 김지화, 이정화, "영남지역 일부 주민들의 일반적인 특성 및 건강생활에 따른 주관적인 구강보건과 삶의 질 평가," 한국치위생학회지, 제8권, 제4호, pp.277-288, 2008.
  21. D. Locker, M. Clarke, and B. Payne, "Self - perceiver oral health statu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in an older adult population," J Dent Res, Vol.79, No.4, pp.970-975, 2000. https://doi.org/10.1177/00220345000790041301
  22. F. H and N. R, "Improving oral health in institutionalised elderly people by educating care giver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Vol.29, No.4, pp.289-297, 2001. https://doi.org/10.1034/j.1600-0528.2001.290408.x
  23. 양은주, 방희명, "광주지역 저소득층 여자노인의 영양상태와 건강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제41권, 제1호, pp.65-76,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