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xpression Method of Suspense in Restricted Space -Focused on Movies 『Buried』 and 『127 Hours』-

제한된 공간에서의 서스펜스 표현방식에 관한 연구 -영화 『베리드』와 『127 시간』을 중심으로-

  • 이강석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 Received : 2016.03.24
  • Accepted : 2016.05.23
  • Published : 2016.06.28

Abstract

The suspense will be realized as various techniques influenced the perception of audience organically each other. These varied techniques induce isolation as well as a restricted space as formal system. Moreover, it could intensify emotional experience of audience that they will not escape in addition to the depth.. This study chose a movie (2010) and <127 hours> (2010) which used the limited space as the material as the analysis target to examine. It is the goal of this study to analyze the conversion of careful viewpoint and the flashback, and to raise the meaning of the suspense expression through this. The researcher would consider how the suspense is expressed based on the conversion of viewpoint and how the flashback delivers the psychology and emotion.

서스펜스는 다양한 기법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관객의 지각에 영향을 주어 구현된다. 이러한 다양한 기법들은 형식적 체계로서 제한된 공간과 더불어 고립감을 유발시킨다. 뿐만 아니라 이는 관객에게 벗어날 수 없을 것 이라는 정서적 체험의 강도를 높여주며 깊이 또한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한된 공간을 소재로 활용한 영화 <베리드 Buried> (2010)와 <127시간 127 Hours> (2010)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치밀한 시점의 전환과 플래시백을 분석하고, 서스펜스 표현의 의미를 제고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연구목적이다. 시점의 전환을 기반으로 서스펜스가 어떻게 표현되는지, 나아가 플래시백이 어떻게 심리와 감정을 전달하는지 고찰해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서정남, "영화 텍스트에서 시간의 공간화와 공간의 시간화에 대한 서사학적 분석," 한국기호학회논문지, Vol.15, p.92, 2004.
  2. 김정환, "영화 배경공간의 비주얼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2, p.113, 2012.
  3. Aaron Smuts, "The Desire-Frustration Theory of Suspense," The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Vol.66, No.3, p.281, 2008. https://doi.org/10.1111/j.1540-6245.2008.00309.x
  4. Ken Dancyger, 오명훈 역, 영화 편집 기술, 역사, 이론, 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p.336, 1994.
  5. 홍승연, 존 클라센의 작품에 나타나는 서스펜스 표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메타디자인학부시각디자인 석사학위논문, pp.5-9, 2014.
  6. Francois Truffaut, 곽한주 역, 히치콕과의 대화, 한나래, p.19, 1994.
  7. Thomas Elsaesser and Malte Hagener, 윤종욱역, 영화 이론 영화는 육체와 어떤 관계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p.168, 2012.
  8. Bobbie O'Steen, 김진희 역, 보이지 않는 컷, 비즈앤비즈, p.124, 2014.
  9. 정재형, 영화이해의 길잡이, 개마고원, p.111, 2014.
  10. David Z. Saltz, "Editorial Comment: Film and Theatre," heatre Journal, Vol.58, No.4, p.1, 2006.
  11. 정재형, 영화이해의 길잡이, 개마고원, p.393, 2014.
  12. 정재형, 영화이해의 길잡이, 개마고원, p.183, 2014.
  13. 강지원, "주관적 시점의 변형으로 사용된 객관적 시점화면에 대한 고찰 <뮬란(Mulan)>의 over the shoulder shot을 중심으로>," 한국애니메이션학회논문지, Vol.4, No.1, p.18, 2008.
  14. Karen Pearlman, 김진희 역, 커팅 리듬, 영화 편집의 비밀, 커뮤니케이션북스, p.203,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