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디자인 경영전략 관점에서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통한 기업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시각적 경험 연구 -통신서비스기업 KT의 디자인경영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Visual Experience of Users about Corporate Image and Design Identity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Management Strategy - Focus on Design Management Case of KT Communication Service Corporation -

  • Heo, Jin Ju (Dept. of Information and Contents Design, Seoul Women's University) ;
  • Ko, Hye Young (Dept. of Digital Media Applic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
  • Kang, Leehwan (Dept. of Design Management, Yonsei University)
  • 투고 : 2016.04.11
  • 심사 : 2016.05.24
  • 발행 : 2016.05.30

초록

The corporate image is one of the key elements improving competitiveness of the business, and is conveyed to the public through a design management strategy and its activities with design identi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nhance the corporate image through systematic design management. Recently,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services, as a technical gap between corporations has been narrowed, and the importance of design has been magnified, more and more corporations have adopted the design management. It is, however, not easy to build and convey the corporate image to the public systematically, because not only do the corporations run a communication service, the corporations face various business areas and target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ded image of the corporate and users' visual experiences based on the surveys on the case of KT, which pioneered design management and has made outstanding design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 KT's strategic image concepts have positive effects on users' visual experience in each subarea of its design identity.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narrow the gap between users' experiences and images that a corporate intends to convey through continuous research on users' experiences and improvement in a design management system.

키워드

1. 서 론

기업은 소비자가 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하고 타기업과의 차별성을 지속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주요한 목표로 삼고 있다[1,2]. 이는 소비자에게 기업 이미지로 자리 잡으며 기업의 가치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기업이미지는 기업에서 추구하는 이미지와 아이덴티티가 다양한 디자인 영역에 일관되고 지속적으로 적용되는 전략 즉, 디자인경영전략을 통해 효과적으로 소비자에게 인식되어진다. 최근 기업들은 기술적인 격차가 감소함으로 인해 경쟁적인 환경 속에서 기업의 차별화 방안으로 디자인경영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3,24]. 무형의 상품을 주로 취급하는 서비스 기업의 경우 유형의 제품을 주로 취급하는 제조기업에 비해 디자인에 대한 중요성 인지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디자인이 창출하는 부가가치가 점차 높아지며 서비스를 선택하는 소비자들에게도 디자인은 주요한 선택의 기준이 되고 있다. 서비스기업도 디자인을 통해 소비자에게 기업이미지를 긍정적이고 차별적으로 구축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진 것이다[4,5,23].

한편, 통신서비스기업은 무형의 통신서비스가 주된 상품이지만 이를 위해 다양한 비즈니스 영역을 포함한다. 매장과 체험관 같은 공간, 통신장비, 기기, 판촉물과 같은 유형의 제품 그리고 서식류, 광고, 홍보와 같은 시각화그래픽 영역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연령층의 타킷을 대상으로 하는 점 등이 그 예이다. 그러므로 통신서비스기업의 경우 디자인경영을 도입 한다고 하더라도 이와 같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영역에 일관된 디자인을 지속적으로 적용하여 소비자에게 의도하는 기업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이 쉽지않은 실정이다[2].

기업에서 추구하는 이미지는 통합적인 아이덴티티인 기업 아이덴티티(Corporation Identity, 이하 CI)와 브랜드 아이덴티티(Brand Identity, 이하 BI) 구축을 기반으로 다양한 비즈니스 영역에 디자인아이덴티티(Design Identity, 이하 DI)로 응용되어 영역별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 결과물로 소비자에게 노출된다. 소비자는 이를 통해 비로소 기업 아이덴티티와 직접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고 이미지에 대한 경험을 하게 된다. 즉, 소비자가 기업에서 추구하는 기업 이미지를 인식 하는 것은 체계적인 DI 응용과 깊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고, 이는 디자인경영의 가장 중요한 활동으로 여겨진다[2,6]. 한편, DI는 기업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세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데, 통신 서비스기업의 경우, 주된 DI 영역으로는 공간 아이덴티티(Space Identity, 이하 SI), 제품 아이덴티티(Product Identity, 이하 PI), 시각화그래픽 아이덴티티(Visual Identity, 이하 VI)가 있다[2,5,7]. 통신서비스 기업에서 추구하는 이미지는 DI 세부 영역인 SI, PI 그리고 VI 응용에 대한 소비자의 경험을 통해 달성될 수 있고, 기업에서 의도하는 이미지와 소비자의 경험의 간격을 좁히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디자인경영의 도입에서 나아가 개선환류체제를 통해 기업의 특성과 기업이미지 목적을 체계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디자인경영시스템의 구축이 되어야할 것이다.

본 논문은 개선환류체제 기반의 체계적인 디자인 경영시스템을 통해 디자인경영활동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서비스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DI 응용에 대한 소비자의 경험과 기업이 의도하는 이미지와의 관련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서비스기업 중 복잡한 비즈니스 영역을 포함하면서 최근, 기술보다는 디자인적인 경쟁의 중요성이 많이 부각되고 있는 통신서비스기업 중 디자인경영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우수한 디자인 성과를 내고 있는 대표적인 기업인, KT의 DI응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KT에서 의도하는 기업이미지에서 소비자의 경험 어휘를 도출한 후, DI 세부 분야인 SI, PI, VI별로 최근 디자인경영활동을 통해 구축된 주요 이미지를 수집하여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노출하여 이를 통한 사용자의 경험을 시각적 경험에 한정하여 설문분석을 한다. 2장에서는 이론적인 선행연구 고찰과 함께 KT디자인경영전략에 대한 조사내용을 제시하고, 3장에서는 사용자설문분석을 기반으로 연구를 하여, 4장에서는 연구에 대한 결론으로 마무리하고자 한다.

 

2. 선행연구 고찰

2.1 기업이미지와 아이덴티티 구축

기업에 대해 소비자의 머릿속에 연상되어지는 기업에 대한 총체적인 인식을 기업이미지라고 한다[8]. 소비자들이 기업이미지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긍정적인 경험을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분명한 아이덴티티를 확립하는데서 시작된다. 이를 위해 기업은 디자인 철학과 기업의 디자인에 대한 태도를 제시하고, 디자인 언어를 통해 디자인 활동의 상징적, 감성적 실행 지침을 지시한다. 이는 CI, BI 및 DI에 반영되어 기업의 이미지 구축요소로 활용된다[6].

CI는 기업의 통합적인 이미지 구축 요소이고, BI는 특정 브랜드에 대해 소비자가 동일한 연상을 할 수 있도록 CI를 브랜드 차원에서 활용한 요소이다[9]. CI와 BI가 기업과 브랜드의 통합적인 상징요소라면 DI는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자인 영역에 전략적으로 응용하는 세부 조형요소이다. 디자인 철학과 디자인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CI에 담긴 기업 이미지와 BI의 브랜드 이미지 요소는 DI를 이루는 필수요소가 되어 디자인결과물에 응용되는 것이다[2,6].

DI는 세부 활용 분야에 따라 SI, PI 그리고 VI로 크게 나눌 수 있고,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SI는 기업의 근무 공간을 포함하여 서비스 및 제품을 판매하는 모든 물리적인 공간에 대한 아이덴티티라고 할 수 있다[5]. 통신서비스 기업의 매장공간은 기업과 소비자가 만나는 접점으로 단순히 구매와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장소의 개념에서 나아가 소비자에게 기업과 브랜드에 대한 체험을 제공하여 소비자의 인식과 기업/브랜드의 이미지 격차를 줄일 뿐 만 아니라 브랜드와 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인식을 위한 주요한 수단이 된다. 하지만 공간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디자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일관된 아이덴티티를 전달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10-12].

PI는 기업에서 판매하거나 취급하는 제품에 대한 아이덴티티로 기술력의 차이가 미비한 경우 제품을 차별화하는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 통신서비스 기업은 통신관련 주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통신장비와 제품을 부가적으로 취급하게 된다. 소비자는 무형의 통신서비스를 유형의 제품을 통해 직접적으로 조형성을 경험하게 되므로 기업/브랜드 이미지 인식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2,4].

VI는 기업이미지를 홍보물에 일관되게 적용하기 위한 시각화 그래픽 아이덴티티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형의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현될 경우 사용자들의 주목을 끌 수 있고, 인식을 용이하게 할뿐만 아니라 설득을 통한 태도 변화까지 유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는 시각적 자극이 사용자의 감성을 섬세하게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VI는 DI 분류 중 서비스기업의 이미지를 가장 효과적으로 제고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업의 서식류를 포함하여 광고, 홍보 등에 일관되게 적용 하는 기준이 된다[1,2].

기업의 아이덴티티가 효과적으로 기업이미지로 확립되기 위해서는 일관성과 지속성[4,7,13]을 가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일관성은 다양한 디자인을 접하더라도 소비자에게 이미지에 대한 동일성을 인식하는 것이고, 지속성은 일관성의 반복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일관성과 지속성은 기업이미지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증가시켜 효과적 커뮤니케이션 유도를 통해 기업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필수적 조건이 된다. 뿐만 아니라 기업에서 의도하는 이미지와 소비자의 경험의 간격이 좁아지며 기업에서 추구하는 경영 목적 달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6].

2.2 통신 서비스기업과 디자인경영

최근 경쟁이 심화된 통신서비스기업들은 기술적인 격차가 줄어들면서 디자인이 상품 차별화의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기업들이 디자인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더라도 주되게 취급하는 것은 무형의 통신서비스로 생산과 동시에 소비되고 소멸되는 특성으로 인해 제조기업에 비해 적극적인 디자인 적용이 되지 못하는 편이었다. 디자인을 경영 차원으로 도입한다고 하더라도 통신서비스기업에 적합한 형태로 도입을 하지 못하거나 방대한 분야에 대한 디자인이 체계적으로 관리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5]. 이는 통신서비스기업이 서비스가 주된 취급 상품이지만 이 외에도 통신장비, 기기, 판촉물과 같은 유형적 제품과 연관되어 있고, 서비스 판매와 유통을 위한 매장과 같은 공간과도 깊은 연관을 가지는 등 비즈니스의 영역과 활동이 다양하기 때문이다[2].

디자인경영전략은 기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디자인 자원을 통합적이고 일관되게 활용하는 모든 경영활동을 말한다. 기업의 고유한 아이덴티티를 디자인에 일관성 있게 적용함으로써 조형적 차원의 디자인에서 나아가 소비자의 감성적 만족과 기업이미지에 대한 긍정적 경험까지를 디자인의 주요한 영역으로 간주하며, 통신서비스기업에서는 디자인경영전략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3,14]. 하지만, 단순한 디자인경영도입만으로는 복잡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효과적인 적용이 힘들고, 기업의 비즈니스 영역과 환경, 그리고 소비자의 경험을 지속적으로 고려하여 개선환류체계를 가지는 디자인경영시스템이 필요하다.

2.3 KT 디자인경영전략

KT는 통신서비스 기업 중 디자인을 주요 차별화 요소로 내세우며 디자인경영전략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대표적인 통신서비스기업이다. 디자인담당 조직을 중심으로 실시간 피드백을 반영하여 체계적인 DI에 대한 가이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DI 가이드 시스템은 KT의 디자인을 표현하는 다양한 디자이너들이 쉽고 명확하게 일관된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고 디자인경영 시스템은 Fig. 1과 같다.

Fig. 1.System of KT's Design Management.

KT는 ‘혁신의 물결, 혁신의 바람’을 시각화하고, 실체가 있는 혁신은 반드시 변화(움직임)을 동반한다‘는 메시지 전달을 디자인 철학으로 정립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세부 이미지 전략과 시각언어를 구축하여 CI, BI 및 DI 컨셉과 디자인 경영 활동을 위한 세부 시각언어에 활용하고 있고, 디자인경영활동을 통해 도출된 SI, PI 그리고 VI 응용 결과는 Fig 2와 같다.

Fig. 2.DI Applying Cases of KT.

최근 KT는 디자인에 대한 높은 수준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해 개발한 올레체가 2011년도 한국 타이포그래피 학회의 조사결과, 가장 사용하고 싶은 기업서체 1위로 조사되었고[15] 추가적으로 디지털에 최적화된 서체로 리뉴얼 한 올레체 neo는 red-dot award winner에서 수상하였다[16]. 홍보용 제품으로 개발한 폰브렐라 제품 등은 세계적인 디자인어워드에서 7년 연속(2010~2016) 총 28개 부문에서 수상하였고, red-dot award 최고상(Best of the Best)을 3회 수상(2012 1개, 2015년 2개 분야)한 바가 있다[17,18]. 또한 영국의 브랜드 가치평가 전문기관인 브랜드 파이낸스가 국내 전체 기업을 대상으로 선정한 가치 있는 상위 브랜드 선정에서 3년 연속 통신부문 1위를 차지한 바가 있다[19]. KT의 디자인은 국내 언론뿐만 아니라 최근 미국 포춘지와 영국 BBC 등 세계 언론에 디자인경영 활동이 소개 되는 등 통신서비스기업 중 디자인경영의 우수한 실적에 대해 국내외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2.4 KT이미지 경험 요소 도출

연구진행에 앞서 KT디자인에 대한 사용자 이미지경험 어휘 도출을 위해 KT 디자인담당조직의 전문가 3인과 함께 사전 연구로 수행하였다. 우선 KT 기업의 디자인경영전략 중 디자인과 이미지를 통해 목표하는 모든 사용자경험 어휘 23개를 도출하였다. 총 23개의 어휘들 중 비슷한 의미를 가지는 경우 대표성 있는 어휘로 결합하고 의미가 모호하거나 사용자경험과 유관하지 않은 어휘들은 삭제하였으며, 의미 전달의 어려움이 있는 단어는 회사에서 의도하는 쉬운 표현으로 변경하였다. 또한 차원이 동일하지 않거나 다양한 어휘를 포함하는 단어들 중 KT디자인 전략에서 주요한 사용자 경험 어휘는 다른 세부 어휘들을 대표하는 것으로 분류하여 최종적으로 4가지 KT디자인전략 어휘에 대한 세부 어휘로 12개를 아래 표와 같이 도출하여 분류하였다.

Fig. 3.International Articles about KT Design.

Table 1.KT Design Vocabulary & User Emotion Factor

 

3. 연구내용

3.1 연구 설계

3.1.1 연구모형 및 가설

본 연구는 KT의 DI 세부 영역별 디자인응용을 사용자에게 사진이미지로 노출 한 후 KT에서 디자인 경영전략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기업이미지가 사용자의 이미지경험과의 관련성을 연구하기 위해 앞서 도출한 KT디자인의 사용자이미지경험 어휘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또한, 연구모형에서 변수들 간에 관계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1. KT의 SI응용은 기업이 의도하는 사용자경험에 긍정적인 측면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KT의 PI응용은 기업이 의도하는 사용자경험에 긍정적인 측면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 KT의 VI응용은 기업이 의도하는 사용자경험에 긍정적인 측면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Fig. 4.Research model.

3.2 분석 및 결과

3.2.1 자료수집과 표본

본 연구에서는 KT의 DI 세부분야인 SI, PI, VI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들의 시각적인 경험에 기업에서 의도하는 이미지 측면에서 유의미한 관련성을 연구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 참여자는 SI, PI, VI별 다양한 이미지를 화면전환만으로 제작된 영상을 시청한 후, 선진적, 감각적, 혁신적인, 휴머니즘적 등 KT디자인경영에서 전략적으로 사용자에게 달성하고자 하는 경험 관련 핵심어휘 4가지에 대해 세부 12문항을 응답하도록 하여, 총 36개 문항에 5점 척도로 응답하였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로, 점수가 높을수록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설문은 2016년 03월 22일부터 2016년 03월 28일 동안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도구로는 Naver Form을 사용하여 온라인을 통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한 설문 대상은 KT의 실소비자 또는 잠재적 소비자 연령층을 모두 포함하는 10대에서 60대 남녀를 대상으로 하여 SPSS.PASW18를 사용하여 표본의 빈도분석과 성별, 나이에 대한 표본을 수집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총 395명 중 성실히 응답한 339명의 설문 결과를 연구에 활용하였고 설문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남성 112명(33%), 여성 227명(67%), 평균 나이 28.92세, 중위수27세, 최빈값 20세, 최소값 18세, 최대값 63세로 나타났다.

Table 2.Demography-Analysis of Frequency

Table 3.DI_Reliability & Validity

3.2.2 측정도구의 타당성 확보

KT의 DI에 대한 사용자경험이 KT디자인경영전략에서 의도하는 선진적, 감각적, 혁신적인, 휴머니즘적 등 4가지 측면에서의 측정 변수들의 타당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요인 분석과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은 표준형성 적절성의 KMO (Kaiser-Meyer-Olkin, 이하 KMO)과 Bartlett를 통해 세부 DI 응용역역별 설문문항 각 12개를 SI, PI, VI 세부 영역별로 총 36개 문항에 대한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적합성 여부를 확인을 확인하였다. KMO척도가 0.5 보다 커야 요인 분석에 사용된 변수들이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는데, 분석 결과 SI KMO는 0.916, PI 0.918, VI 0..936로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Bartlett 의 구형성 검정 유의확률(P)값이 0.05보다 작아야 적합하다고 할 수 있고 공통성의 경우 0.4 미만인 경우 제거 대상으로 설정하였는데, 분석결과 Cronbach's α는 SI 0.917(최저 0.772, 최대0.813), PI 0.923(최저 0.777, 최대0.856), VI 0.938(최저 0.815, 최대0.859)으로 나타나 각 요인별 문항과 SI, PI, VI에 대한 신뢰성이 인정된다고 할 수 있다.

Table 4.DI Correlation Coefficient

SI, PI, VI의 요인들의 적합성을 알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시각적 경험과 KT기업이미지의 상관계수의 유의 확률이 0.000으로 나왔으므로 모든 상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라고 할 수 있다.

3.2.3 가설 검증

KT의 DI 세부분야인 SI, PI, VI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시각적 경험이 KT에서 의도하는 기업이미지에 대한 경험 어휘로 측정되었으므로 해당 어휘에 대한 결과 값이 높을 수록 기업이 의도하는 이미지가 사용자의 시각적 경험에 긍정적인 측면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설의 검증은 응답문항의 평균점수를 통해 판단할 수 있는데, 중앙인 3점을 기점으로 그 이상인 경우 유의미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20,21,22].

SI에 대한 설문지 분석 결과, 중간인 3.0을 기준으로 S7 Dynamic, S10 Pleasant는 3.0에 조금 미치지 못하였지만, 그 외의 항목은 모두 긍정적인 점수가 나왔다. 즐거움과 역동성에서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는 사용자가 3차원의 공간에 들어가서 체험하는 것과 대비하여 이미지를 화면으로만 경험하고 측정하는 과정에서 충분히 해당 경험을 하지 못할 수 있는 가능성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본다. 한편, SI는 4가지 경험 중에서 Advanced, Sensuous 경험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PI에 대한 설문지 분석 결과에서도 P7 Dynamic, P10 Pleasant는 평균을 넘지 못하였는데 SI와 같이 제품에 대해 3차원적으로 시각적 인식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촉각으로도 경험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제품에 대해 시각적 경험만으로는 해당 항목을 충분히 경험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PI도 SI와 마찬가지로 Advanced, Sensuous 경험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Table 5.DI_Average & Standard deviation

한편, VI에 대한 설문지 분석 결과, 모든 문항에서 3점을 넘었으며, 사용자이미지 경험 요소 중 특히 Innovative 이미지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그 외의Advanced, Sensuous, Humanistic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즉, 기업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디자인 전략이 모두 잘 반영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이미지 경험에도 적절한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SI와 PI와 비교하여 주로 VI는 화면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전달되는 경우가 많은데, 설문의 진행방법인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이미지를 관찰한 후 평가하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전달매체와 목적에서 매칭이 잘 된 디자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KT디자인에 대한 사용자경험과 KT디자인경영 전략에서 의도하는 사용자이미지 경험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분석 결과를 토대로 앞서 수립한 3가지 가설은 모두 성립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KT의 SI, PI 및 VI응용은 기업이 의도하는 사용자경험에 긍정적인 측면에서 시각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4. 결 론

본 논문은 디자인경영을 활발하게 도입하고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개선환류체계를 가지는 디자인 경영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는 KT통신서비스기업의 DI응용 사례를 중심으로 DI 세부분야별 디자인이 기업에서 의도하는 사용자경험에 시각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KT의 DI 세부 응용 분야를 SI, PI, VI로 구분하여 사용자들에게 해당 분야별 디자인 성과에 대한 사진자료를 시각적으로 관찰하도록 하여 KT의 디자인경영전략에서 추구하는 사용자이미지 경험의 4가지를 기준으로 사용자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SI와 PI가 3차원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모두 반영할 수 없는, 사진자료를 기반으로 하는 시각적 경험 측정의 한계의 영향을 받아 Innovative의 세부 문항 중 Dynamic과 Humanistic의 세부 문항 중 Pleasant 등은 중앙값을 조금 넘지 못하였으나 그 외의 세부 문항은 모두 긍정적인 결과로 평가되었고, Innovative와 Humanistic는 세부문항 전체 평균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사용자 이미지경험요소 4가지 중 Advanced, Sensuous 요소에 대해 SI와 PI에 대한 시각적 경험 평가가 다른 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한편, VI는 모든 세부 이미지경험 문항에서 긍정적인 시각적경험 평가를 얻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이미지경험요소 4가지에 대해 모두 높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디자인경영을 활발하게 도입하고 다양한 디자인 성과들을 내고 있는 KT는 기업에서 추구하는 이미지 전략 목표를 DI세부 응용영역을 통해 사용자의 시각적 경험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통신서비스기업이 다양한 비즈니스영역을 가지고 있어 동일한 이미지와 경험을 다양한 DI세부영역에서 제공하기 힘든 특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KT는 디자인 경영전략 관점에서 디자인 아이덴티티에 대한 사용자의 시각적 경험이 기업에서 추구하는 기업이미지와 긍정적인 측면에서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회사 내부적으로 구축되어지고 체계화된 디자인경영시스템이 시각적 측면에서 기업이미지 목적 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다양한 DI 세부응용 영역에서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의 시각적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서 화면으로 보여지는 사진자료에 의존하여 경험을 측정하였는데, 이는 일정 부분 경험의 강도에 낮은 수준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었을 것이다. 향후 DI 응용분야에 대한 세분화된 사용자들의 커뮤니케이션 행태와 경험을 측정을 하기 위해서 SI의 경우는 실제 공간에서 실험을 하거나 PI는 실제 제품을 보고 만지며 실험할 수 있도록 경험의 감각을 확대하고 사용자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면밀하고 세분화된 분석 연구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S.H. Kim and D.E. Kwon, "A Study on Applying 6 for Improvement in Brand Recognition-Focused on Types of Visual Identity Graphic on A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 14, No. 4, pp. 46-55, 2008.
  2. S.W. You, "Strategy for Product Identity Design considering Environment changes of Corporate Identity,"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Vol. 14, No. 5, pp. 287-295, 2013.
  3. H.H. Kong, "A Case Study on the Motorola, Inc. and the Apple, Inc. for a Successful Design Management,"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Vol. 9, pp. 33-41, 2009.
  4. S.Y. Choi, A Study on the Strategical Plans of Product Identity for Corporate Design Marketing, Master's Thesis of Kyung Hee University of Art-Design, 2009.
  5. J.H. Lim , Study on Design of Brandscaping for Telecommunication Service Companies, Master's Thesis of Hongik University of Industrial Design, 2010.
  6. S.W. Ahn and J.M. Rhi, "Structure and Managing Strategy of Desin Identity Program," Archives of Design Research, Vol. 23, No. 1, pp. 268-279, 2010.
  7. Y.S. Kim, "Analysis on Relevance between Formative Element of PI(Product Identity) and User’s Perceptions-With the Smart Phone of S Company as the Center,"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Vol. 26, pp. 89-102, 2013.
  8. S.M. Yang and I.A. Song, "The Effects of Brand Power on Customer Loyalty : A Case of the Korean Mobile Communications Market," Information Society and Media, Vol. 15, No. 3, pp. 57-91, 2014.
  9. J.H. Jung, "Study on Design Management for Establishing Identity of Strategic Brands-Focusing on LG Telecom’s Brand Portfolio Strategy Case," Journal of Digital Design, Vol. 10, No. 3, pp. 125-134, 2010. https://doi.org/10.17280/jdd.2010.10.3.013
  10. S.Y. Lee and S.H. Park, "A Study on Store Design Strategy for Establishing Brand Identity-Focus on Innovative Products and Spaces for Experiences,"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Vol. 18, No. 5, pp. 156-163, 2009.
  11. Y.J. Lee and M. Kim, "A Study on the Store Experience Design Solution for Branding,"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Vol. 11, No. 3, pp. 133-147, 2012. https://doi.org/10.21195/jidr.2012.11.3.011
  12. S.Y. Yun and J.M. Moon, "A Study on Space Experience as an Element of Establish Brand Identity-Focus on Electronic Brand Experience Space," Proceeding of the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ol. 12, No. 1, pp. 90-95, 2010.
  13. H.G. Park, A Study on the Product Identity Management for the Paradigm Shift, Master's Thesis of Hanyang University of Industrial Management, 2002.
  14. H.G. Kim,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trategic Design Management and Business Performance," Proceeding of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pp. 244-261, 2009.
  15. 'KT's Olleh Font, The Most Desirable Typeface in Korea,'(201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3&aid= 0003693884&sid1=001 (accessed Mar., 13, 2016).
  16. 'Rainy Days with Phone-brella, KT's Outstanding Design Management,'(2015)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9&aid=0003605034&sid1=001 (accessed Mar., 16, 2016).
  17. ''ICT&Science> KT's Olleh Membership Phone-brella Won The Red Dot Award 'Best of the Best' Prize in 2 Categories'(2015), http://news.naver.com/main/read.nhn?ode=LSD&mid=sec&oid=021&aid=0002247044&sid1=001 (accessed Mar., 16, 2016).
  18. Red Dot Award: Design Concept, http://www.red-dot.sg//online-exhibition (accessed Mar., 16, 2016).
  19. 'KT, Korea No.1 Telecom Operator Brand-Brand Finance'(2014),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8&aid=0003341372&sid1=001 (accessed Mar., 18, 2016).
  20. Y.P. Kim, "Residents' Perceptions Toward Tourism Impact and Tourism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5, No. 6, pp. 13, 2013.
  21. D.C. An and S.H. Kim, "Attitudes Toward SNS Advertising : A Comparison of Blog, Twitter, Facebook, and YouTube,"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 23, No. 3, pp. 53-84, 2012.
  22. J.H. Kim and H.J. Kim, "A Study on Art Familarity and Product-Art Fitness on Consumers’ Reaction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Centrality of Visual Product Aesthetics," Journal of Marketing Studies, Vol. 23, No. 2, pp. 67-83, 2015.
  23. Minho Park, and Myunghee Lee, "Customizing service design process in digital-design contents study,"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No. 2, pp. 150-152, 2008.
  24. Soo-Jin Park, "A Study of Design Strategies for Multimedia Content on Domestic Brand Sites,"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6, No. 3, pp. 539-548,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