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ory of the National Flag Poles As a Hegemonic State Apparatus

태극기 게양대라는 헤게모니 국가장치론 서설

  • 전규찬 (한국예술종합학교 방송영상과)
  • Received : 2015.11.26
  • Accepted : 2016.05.20
  • Published : 2016.06.15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national "flagging" as a current affair, important phenomenon. National flags, it sees, take over varous places, control the surrounding space, and even dictate everybody's perspective by being visualized everywhere anytime. It investigates the issue of national flags and their hoisting poles as a sort of apparatuses that interpellate me as well as us into patriotic 'gookmin'. The placement, arrangement of national flag poles around the country continued throughout 2015 and particularly speeded up in October of the year is regarded as a key symbolic, symptomatic sign to read the transformation of political conjuncture. Preparing a radically conjuncturist cultural study about the changing reality, the researcher will see the flagging poles as a phenomenal result, outcoming of certain intent and plan for reconstructing the political actuality. More precisely, he will interpretate the tall omni-present poles of national flags as a dispositif of appearing the neoliberal/neoconservative capitalist state, as a apparatus of constituting and expressing the masses' psycho-ideological condition of today. The researcher, who perceives the national flag poles as a kind of ISAs. will first review the increased flagging phenomenon and related media discourses. Next, he will critically investigate the 'love our country' 'national flagging' movements organized by the above and operated from the bottom. Then, he will focus more on the very tall national flag poles built and seen around the country. Finally, he will conclude the study with a critical remark, touching briefly the case of controversy over setting a pole in the center of Seoul city square.

본 연구는 특정 장소에 설비되어 공간을 실체적으로 장악하며, 어디에서나 가시화됨으로써 일반의 시각을 지배하는 태극기 게양의 현안에 주목한다. 나/우리를 애국적 '국민' 주체로 호명 소환하는 태극기 게양대라는 장치의 주제에 천착한다. 2015년 내내 추진되고 10월이라는 우연성의 시간에 집중된 태극기 게양과 게양대 설치를 정국 변환을 읽어 낼 중요한 상징 정치적 배치물로 파악한다. 그럼으로써, 국면 변화에 비판적으로 간섭하는 래디컬한 국면주의 문화 연구가 되고자 한다. 연구자는 전국 각지의 태극기/게양대를 인위적 구축의 결과, 의도적 설계의 산물로 본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자유 신보수주의 자본국가를 현시하는 시각적 장비이자, 오늘날 대중의 사이코 이데올로기를 구성 표출하려는 공간적 장치로 읽는다. 국기 게양대를 국가이데올로기 장치의 한 양태로 간주하는 연구자는, 먼저 급증한 태극기 및 그와 관련된 미디어 담론을 살펴볼 것이다. 그 다음, 위로부터 조직화되고 아래로부터 추동된 '나라사랑 태극기 선양운동'의 실체를 해부한다. 이후, 연구자는 새로이 설치되는 대형 국기 게양(대) 문제를 정치적으로 논한다. 마지막으로, 그 지배의 효과를 정리하고 저항의 가능성을 논하면서, 국가이데올로기 장치론 비판 및 지배 헤게모니 정치 전망의 결론을 맺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용선 (2014). <발터 벤야민의 공부법>. 서울: 역사비평사.
  2. 남수영 (2009). <이미지 시대의 역사 기억: 다큐멘터리, 전복을 위한 반복>. 서울: 새물결.
  3. 이진경 (1997).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서울: 푸른숲.
  4. 이효덕 (1996). Hyoushyoukookan no kindai. 박성관 (역) (2002). <표상 공간의 근대>. 서울: 소명출판.
  5. 전규찬 (2015). 위기의 도시 도시문화의 재문맥화: 후기 피스크 비판적 공간사유와의 접속. <한국언론정보학보>. 70호, 35-65.
  6. 전규찬 (2015). 재난의 시기, 방송 매체 장치론의 재구성. <한국방송학보>. 29권 4호, 82-115.
  7. 전규찬 (2015). 신화정치의 위기 속 역사철학과 문화연구의 조우. <문화과학>. 84호, 314-341.
  8. Agamben, G. (2009). What is an apparatus?.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9. Althusser, L. (1995). Sur la reproduction. 김응권 (역). <재생산에 대하여>. 서울: 동문선.
  10. Badiou, A. (2013). Pornographie de temps present. 김상운 (역) (2015). <알랭 바디우, 오늘의 포르노그래피>. 서울: 북노마드.
  11. Baudelaire, C. (1995). The painter of modern life and other essays. 박기현 (역) (2013). <현대 생활의 화가>. 서울: 인문서재.
  12. Baudrillard, J. (1988). The ecstasy of communication. New York, NY: Semiotest(e).
  13. Benjamin, W. (1997). One way street. 조형준 (역) (2007). <일방통행로>. 서울: 새물결.
  14. Bensaid, D. (2001). Resistance. 김은주 (역) (2003). <저항: 일반 두더지학에 대한 시론>. 서울: 이후.
  15. Billig, M. (1995). Banal nationalism. London & Los Angeles, CA: Sage.
  16. Cho, H. J. (2007). A feminist critique of modernity and korean culture. In K. H. Chen & C. B. Huat (Eds.), International cultural studies reader (pp. 291-301). London & New York, NY: Routledge.
  17. Foucault, M. (1980). Power/Knowledge. New York, NY: Vintage Books.
  18. Jost, J., Kay, A., & Thorisdottir, H. (2009). Psychological bases of ideology and system justification. Oxford &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19. Gramsci, A. (1971). Prison notebook. New York, NY: International Publishers.
  20. Grossberg, L. (1992). We gotta get out of this place. New York, NY. & London: Routledge.
  21. Kohso, S. (2007). 流體都市 構築. 서울리다리티 (역) (2012). <유체도시를 구축하라!>. 서울: 갈무리.
  22. Laclau, E., & Mouffe. C. (1985). Hegemony & Socialist Strategy. London & New York: Verso.
  23. Morris, T. (2005). Media, memory, history. 김경원 (역) 2006. <우리안의 역사>. 서울: 후마니타스.
  24. Ross, K. (1988). The emergence of social space: Rimbaud and the paris commune. London & New York, NY: Verso.
  25. Schimitt, K. (1991). The concept of the political. Chicago, IL. &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