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와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한 도시쇠퇴 특성 분석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Decline Using GIS and Spatial Statistical Method : The Case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 투고 : 2016.03.04
  • 심사 : 2016.05.20
  • 발행 : 2016.05.31

초록

도시쇠퇴와 공동화 현상을 방지하고 침체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새로운 도시재생 패러다임이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특별법에 제시된 쇠퇴기준과 공간자기상관 탐색을 기반으로 GIS 및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하여 도시쇠퇴 특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광주광역시를 대상으로 하여 도시재생특별법에 제시된 쇠퇴 기준인 인구감소, 사업체감소, 노후건축물에 관한 지표를 적용함으로써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특히 GIS와 공간 통계기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공간자기상관 탐색을 통해 도시쇠퇴 특성을 분석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지닌다. 전체적인 분석과정은 도시활성화지역 지정 기준을 원용하고, 공간탐색적 절차에 따라 단계적으로 추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공간통계분석 절차 및 도시쇠퇴 특성 분석의 결과는 대도시권 수준에서 도시쇠퇴 진단에 기여하고, 도시재생과 관련한 공간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In an effort to prevent urban decline and hollowing-out phenomenon and to vitalize stagnant local economy, a new urban regeneration paradigm is on the ri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urban decline characteristics using the spatial statistical method and GIS on the basis of decline standards in the Urban Regeneration Special Act, and spatial autocorrelation technique.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was set as a research target, and the decline standards in the Urban Regeneration Special Act - population reduction, business declines, and outworn buildings - were applied as the indicator to secure the objectivity. In particular, this study has a distinctive feature from the other existing ones, as applying GIS and the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 in a sense to make urban decline characteristics analysis by the spatial autocorrelation technique. The overall analysis procedure was carried out by applying the standards of designating urban regeneration regions, and following the spatial exploratory procedure step by step. Therefore, the spatial statistical method procedure and the urban decline characteristics analysis data being presented in this study, a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urban decline diagnosis at the level of metropolitan city, as well a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spatial decision making in accordance with urban regener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광주광역시, 2015, 광주통계연보 2015, 광주광역시 법무담당관실.
  2. 국토교통부, 2013, 함께 하는 도시재생, 홍보물.
  3. 도시재생사업단, 2010, 도시쇠퇴 실태 자료 구축 및 종합시스템 구축, 경기도.
  4. 이소영.오은주.이희연, 2012, 지역쇠퇴분석 및 재생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5. 이희연.심재헌, 2011, GIS 지리정보학, 법문사, 서울.
  6. 강석진, 2010, 안전한 도시관리를 위한 범죄 위험도 연구: GIS를 기반으로 한 MLRA method의 적용,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3.
  7. 권대환.고재찬, 2007, 공공기관 이전이 도심쇠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8(3), 73-88.
  8. 김감영.박지혜, 2012, GIS와 공간 군집기법을 활용한 잠재적 도시재생 구역 식별,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5(2), 67-80.
  9. 김광구, 2003, 공간자기상관의 탐색과 공간회귀분석의 활용,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3(1), 276-306.
  10. 김광중, 2010, 한국 도시쇠퇴의 원인과 특성,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3(2), 43-58.
  11. 김승희.김범수, 2013, 지방중소도시의 도심 상권 쇠퇴와 도시재생 방향에 관한 연구, 주거환경, 11(2), 169-188.
  12. 김종익.장미.김태현, 2015, 광주광역시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지원체계 구축방안 연구, 광주광역시.
  13. 김항집, 2011, 역사.문화자원과 연계한 지방중소 도시의 도시재생방안,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3(4), 123-148.
  14. 김홍관.강기철, 2008, 도시재생을 위한 부산시의 재생지역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1), 167-177.
  15. 김홍관.여성준, 2007, GIS를 이용한 부산시 도심재생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1), 205-217.
  16. 김홍관.여성준, 2008, 부산시 도심기능의 유형별 도심재생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3), 174-182.
  17. 민학기.박천보, 2013, 도시쇠퇴에 따른 도시재생 사업의 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발표대회 논문집, 23- 28.
  18. 박병호.조준용, 2010, 복합쇠퇴지수를 활용한 지방도시 동태적 쇠퇴유형 연구, 지역연구, 26(2), 3-17.
  19. 서준교, 2014, 도시쇠퇴와 수축의 원인과 대응전략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6(1), 97-115.
  20. 송상열, 2006, 지방도시 쇠퇴원인과 활성화 방안, 한국주거환경학회 추계학술대회발표 논문집, 52-55.
  21. 양동석.유영도, 2011,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시군구단위 쇠퇴진단시스템 구현을 중심으로,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2(3), 249-258. https://doi.org/10.5804/LHIJ.2011.2.3.249
  22. 이동현.윤상복.김재승, 2015, 공간적 자기상관을 활용한 부산시 범죄의 공간패턴 및 영향요인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7(2), 259-276.
  23. 이민석, 2015, GIS를 활용한 광주광역시 도시재생 방향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주거학회지, 26(1), 99-107.
  24. 이영성.김예지.김용욱, 2010, 도시차원의 쇠퇴실태와 경향, 한국도시지리학회, 13(2), 1-11.
  25. 이재우.유재윤.최창규.홍경구.강성길.강동석.정소양, 2014, 도시재생특별법의 시행방향과 과제, 도시정보, 382, 3-20.
  26. 임배근, 2011, 역사문화기반의 도시재생과 지역경재 활성화 한국지역경재연구, 20, 193-219.
  27. 임준홍.조수희.김용범, 2009, 도시성장과 쇠토로 본 충정권 지역유형화와 도시재생 방향, 부동산학보, 40, 81-92.
  28. 장희순, 2010, 지방도시의 쇠퇴와 리조트산업의 역할, 사회과학연구, 49(2), 75-105.
  29. 정철모.노형규, 2009, 도시재생을 통한 창조도시 만들기,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2), 35-64.
  30. 조윤애, 2014, 도시 쇠퇴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계획학회지, 49(7), 117-134.
  31. 조진희.이동건.황희연, 2010, 도시쇠퇴 수준 및 특성 유형화, 국토지리학회지, 44(1), 35-50.
  32. 홍남희.이명훈, 2011, 지속가능한 개발 관정에서의 서울시 도시공간구조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6(1), 39-50.
  33. 황희연.성순아.심용주.장민철, 2011, 지방중소도시 쇠퇴에 대한 공무원의 인지도와 쇠퇴현상의 일치도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4(3), 129-143.
  34. Anselin, Luc & Anil K. Bera, 1998, Spatial dependence in linear regression models with an introduction to spatial econometrics, in Aman Ullah and David Giles(eds.), Handbook of Applied Economic Statistics, New York, 237-289.
  35. Anselin, Luc & Sheri Hudak & Rustin Dodson, 1993, Spatial data analysis and GIS: Interfacing GIS and econometric software, National Center for Geographic Information and Analysis, Santa Barbara, CA.
  36. Anselin, Luc, 1988, Spatial Econometrics: Methods and Models, Boston: Kluwer.
  37. Chainey, S. P. and Ratcliffe, J. H., 2005, GIS adn Crime Mapping, Wiley, London.
  38. Clark, L. P., Millet, D. B. and Marshall, J. D., 2011, Air Quality and Urban Form in U.S. Urban Areas: Evidence from Regulatory Monitors,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5(16), 7028-7035. https://doi.org/10.1021/es2006786
  39. Cliff A. D. & Ord, J. K., 1973, Spatial Autocorrelation, Pion, London.
  40. Doreian & Patrick, 1981, Estimating linear models with spatially distributed data, in Samuel Leinhardt(ed.), Sociological methodology, San Francisco, CA: The Jossey-Bass Publishers, 359-388.
  41. Lee, Jay & David W. S. Wong, 2001, Statistical Analysis with ArcView GIS, John Wiley & Sons, Inc.
  42. Marquze, M. A., Ramaju, J. and Hewings, G. J. D., 2003, Regional Interconnections and Growth Dynamics: The Spanish Case, Journal of the Australian and New Zealand Regional Science, 9(1), 5-18.
  43. Nazara, S., Hesings, G. J. D., and Sonis, M., 2006, An exploratory analysis of hierarchical spatial interaction : the case of regional income shares in Indonesia, Journal of Geography system, 6, 253-268.
  44. Osborne, D. A. and Wernicke, S. C., 2003, Introduction to Crime Analysis: Basic Resources for Criminal Justice Practice, Haworth Press, New York.
  45. Silva, L. T., Oliveira, M. and Silva, J. F., 2014, Urban form Indicators as Proxy on the Noise Exposure of Buildings, Applied Acoustics, 76, 366-376 https://doi.org/10.1016/j.apacoust.2013.07.027
  46. Stone Jr., B., 2008, Urban Sprawl and Air Quality in Large US Citi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86(4), 688-698. https://doi.org/10.1016/j.jenvman.2006.12.034
  47. Zhang, Zhigian & Daniel A. Griffith, 1997, Developing user-friendly spatial statistical analysis modules for GIS: An example using ArcView, Computation, Environment, and Urban System, 21(1), 5-29. https://doi.org/10.1016/S0198-9715(97)00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