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ic Income: Norms and Experience of Policy Scientific Analysis - In the Center of the Youth Dividend Ordinance Discussion -

기본소득: 규범과 경험의 정책 과학적 분석 - 청년배당 지급조례 논의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6.09.30
  • Accepted : 2016.11.13
  • Published : 2016.11.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norms and experience the Seongnam youth dividend ordinance. Youth dividend pros in the normative dimension to understand in order to achieve social justice. Further, youth dividend can replace the existing policy. On the other hand, the opposite of youth dividend is pointed out that the policy is ambiguous without morally justifiable. Also it has been pointed out inefficiencies means. Youth dividend Pros empirical dimension is a social considerations measures, there is a need for innovation by the failure of existing measures. On the other hand, youth dividend opposed to target efficiency is low, and that the problem is often to the contents of the salary. Because both sides are too contrast, consensus is difficult, can be political point of view is a significant impact. The basic income is a new thought experiment for human self-realization. Therefore, the production social welfare policy personality is a different policy science. That is, it is a long-term care social policy that requires a holistic life support. In addition, a non-empirical policy that requires a material support for the substantial freedo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meaning than scientific evaluation of traditional policy aiming to realize autonomous life. Therefore, radio waves of basic income through the welfare politics and exercise is still important strategy.

본 연구는 성남시 청년배당 지급조례를 기본소득 실현 사례로 설정하여 그 도입에 있어서 문화복지위원회 회의록을 규범과 경험의 정책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다. 주요 문장을 질적 코딩하여 재분류하는 분석방법을 응용하였다. 규범적 차원에서 찬성논의는 사회정의를 실현하는 목적으로 청년배당을 이해한다. 또한 원리적으로 기존정책을 대체할 수 있다고 본다. 반면 도덕적으로 정당하지 아니하며 정책의 비교 우위에 대한 모호성과 수단의 비효율성 등 원리적, 수단적 차원에서 반대 논의가 제기된다. 경험적 차원에서 찬성논의는 사회적 배려대책으로 이해하며 기존 대책의 기능부전에 따른 혁신적 정책 도입에 초점을 두고 있다. 반면 반대논의는 목표 효율성과 급여 내용에 대한 문제를 들고 있다. 양측이 너무 대조적이므로 합의는 어려우며 정치적 진영 논리가 중요 변수가 될 수 있다. 기본소득은 인간의 자기실현에 대한 새로운 사고실험이므로 생산주의 복지정책과는 다른 정책과학이다. 즉 총체적 생활지원을 요구하는 돌봄의 사회정책을 제한 조건으로 하는 실질적 자유를 위한 물질적 지원을 고려하는 비경험적 정책이다. 기존의 정책 과학적 평가 이전에 자율적인 삶의 실현을 지향하는 그 자체의 철학적 의미에 대한 이해와 복지 정치와 운동을 통한 정체성 알리기는 여전히 중요한 전략이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교성, 2016, "이 시대 '복지국가'의 쓸모?!: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제언", 우리시대 사회복지의 쓸모를 묻다, 2016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자료집: 15-48.
  2. 백승호, 2010. "기본소득 모델들의 소득재분배 효과 비교분석", 사회복지연구. 41(3): 185-222.
  3. 이명현, 2010, "시민권과 기본소득: 호혜성 원리 중심의 고찰", 사회보장연구. 26(4). 433-457.
  4. 이명현․강대선, 2016, "기본소득: 목적 자체인가 아니면 정책수단인가", 사회적 생태적 전환과 기본소득, 제16차 기본소득지구네트워크대회 자료집: 421-431.
  5. 이승윤, 2016, "한국 불안정 노동시장과 사회수당",이제 사회수당을 말하자, 2016년도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7-44.
  6. 주은선, 2013, "한국의 대안적 소득보장제도 모색: 현행의 복지국가 프로그램과 한시적 시민수당의 결합에 대한 시론", 비판사회정책, 99(9): 83-126.
  7. 황혜신, 2006, "메타방법론으로서의 Fischer의 정책평가의 논리에 관한 고찰-국민연금 사례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18(4): 1173-1204.
  8. 성남시의회 회의록 검색시스템(http://www.sncouncil.go.kr/source2013/assembly/main/main.html), 문화복지위원회 회의록. 2015. 11. 24.
  9. 奧田知志他, 2014.生活困窮者伴走的支援, 東京: 明石書店
  10. 齊藤 拓, 2009. "ベーシックインカム論者はなぜBIにコミットするのか?-手段的BI論と原理的BI論について", Core Ethics, Vol 5: 149-158.
  11. 佐藤郁哉, 2014.質的DATA分析法, 東京: 新曜社.
  12. 池本他譯, 2009, 格差社會衝擊, 東京: 書籍工房早山.
  13. Bowles, S., and Gintis, H., 2001, "A Cooperative Species",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 Fischer, Frank, 2007, "Deliberative Policy Analysis as Practical Reason: Integrating Empiracal and Normative Arguments", in Frank Fischer, Geerald Miller, J., and S/Sidney, M.,(eds), Handbook of Public Policy Analysis, Boca Raton(Florida): CRC Press: 223-236.
  15. Fischer, Frank, 1995, "Evaluating Public Policy", Belmont CA: Wadsworth.
  16. Fitzpatrick, Tony, 1999, "Freedom and Security: an introduction to the Basic Income Debate", Basicngstoke, Hants: Macmillan.
  17. Germain, C. B., and Gitterman, A., 1980, "The Life Model of Social Work Practice",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18. Mayeroff, M., 1971, "On Caring", NY: Harper and Row.
  19. Phillips, J., 2007, "Key Concepts of Care", NY: Polity Press.
  20. Van Parijs, Philippe, 1995, "Real freedom for All: What can justify capitalism?", Oxford: Clarendo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