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nowledge Transfer Network and Performance of Chinese Subsidiary in Korean MNCs : Focusing on Roles of Absorptive Capacity and Entry Mode

한국 다국적기업의 중국 자회사의 지식이전, 네트워크와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 흡수능력과 진입방식의 역할을 중심으로 -

  • 윤기창 (충북대학교 국제경영학과)
  • Received : 2016.10.20
  • Accepted : 2016.11.18
  • Published : 2016.11.30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transfer, network(firm network and government network) and performance Korean MNCs' subsidiaries in terms of absorptive capacity and entry mode roles in China. For this, absorptive capacity was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mediating variable, and moderating variable. And the entry mode was divided into single investment and joint venture and set to the moderating variable. Data for the analysis of actual proof was randomly selected from the companies which was established more than 3 years before KOTRA 'The overseas expansion Korean company directory (2014)'. Questionnaires to 138 Chinese subsidiaries of Korean MNCs were collected by FAX and E-mail. AMOS was utilized and collected data investigated the role of the absorption capacity and entry mode as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he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absorption capacity has a direct influence on management performance as an independent variable with the network (firm network and government network). It only has a partial mediating role between enterprise networks and management performance, and no meaningful result was gained as its moderationg role bewteen the exogenous variable and management performance. And in terms of Korean companies' moderating role in entering China, they have a moderating role between government network, absorption capaci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but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between knowledge transfer, enterprise network and management performance. Absorption capacity, as the variable affecting overseas subsidiary's management performance, should not be considered a mediating or moderating variable, but an independent variable. Since the joint venture is showing higher performance than single investment when going into the Chinese market, implication is provided for options in overseas expansion. But this research has the limitation in generalization because it is aiming at the subsidiaries of the Korean company investing in China. Therefore, it is more desirable in the future to conduct a study of the subsidiary of the Korean company entering several countries. It also has limitations in generalization, because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a limited number of variables, despite there ar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Chinese subsidiaries.

본 연구는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자회사가 보유한 흡수능력의 역할과 진입방식의 역할을 중심으로 지식이전, 네트워크(기업네트워크, 정부네트워크)와 경영성과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흡수능력은 독립변수, 매개변수, 조절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진입방식은 단독투자와 합작투자로 구분하여 조절변수로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해외진출 한국기업 디렉토리(2014)'에 수록된 설립일 후 3년 이상 된 기업에서 무작위로 선정하였고, 응답률을 높이기 위해 미리 설문조사에 동의한 중국 자회사를 대상으로 팩스와 이메일로 설문지를 배포한 후 138개 기업으로부터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AMOS를 활용하여 공분산구조분석으로 흡수능력과 진입방식의 역할에 대해 규명하였다.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흡수능력은 네트워크(기업네트워크, 정부네트워크)와 같이 독립변수로서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오직 기업네트워크와 경영성과 사이에서 부분적 매개적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생변수와 경영성과 사이에서의 조절적 역할은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한국 기업의 대중국 진입방식의 조절적 역할에 대해서는 정부네트워크 및 흡수능력과 경영성과 사이에서 조절적 역할을 하고 있지만 지식이전과 기업네트워크와 경영성과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해외자회사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흡수능력은 매개변수나 조절변수로 취급하기보다는 독립변수로 취급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중국시장에 진출할 때는 단독투자보다는 합작투자가 더 높은 경영성과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해외시장 진출의 방법 선택에 있어서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자회사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일반화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여러 국가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자회사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중국 자회사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매우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한정적인 변수를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었기 때문에 일반화의 한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