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과학기술부(2011a). 과학 4-2. (주) 금성출판사.
- 교육과학기술부(2011b).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4-2. (주) 금성출판사.
- 교육부(1996a). 자연 4-2. 국정교과서 주식회사.
- 교육부(1996b).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자연 4-2. 국정교과서 주식회사.
- 교육부(2014a). 과학 3-2. (주) 미래엔.
- 교육부(2014b).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3-2. (주)미래엔.
- 교육인적자원부(2006a). 과학 4-2.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 교육인적자원부(2006b).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4-2.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 김덕호, 홍승호(2013). 초등학생들의 화석에 대한 인식 조사. 초등과학교육, 32(4), 503-514.
- 김미영, 김희백(2007). 모형 기반 수업을 통한 혈액 순환개념 변화의 다차원적 분석. 생물교육, 35(3), 407-424.
- 김미영, 김희백(2009). 중등 과학 교과서의 생명 영역에 제시된 과학적 모형들의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4), 423-436.
- 김영신, 이혜숙, 박경숙(2006). 중학교 과학교사와 학생들이 인식하는 수업 목표의 차이에 대한 연구. 과학교육연구지, 29, 45-56.
- 김현정, 여상인(2010). 초등 과학 수업의 실제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29(4), 451-464.
- 노명완, 정혜승, 윤준채(2004). 교과용 도서 내적 체제 개선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교과서연구재단.
- 박미진, 김영민(2003). 물리 외 교과서에 제시된 물리적 현상 설명이 학생들의 물리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 155-164.
- 백성혜, 김경은(2013). 전기가 흐르는 물질로서 도체와 전해질에 대한 예비과학교사들의 개념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6), 1103-1118.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6.1103
- 성승민, 채희인, 임희준(2016).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캐릭터삽화의 역할분석: 2009 개정과학과 4학년교과서를 대상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1), 167-175.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1.0167
- 심규철, 박종석, 박상우, 신명경(2007). 초등 교과서에서 제시된 과학 탐구 활동의 분석. 초등과학교육, 26(1), 24-31.
- 여상인, 성승민(2013). 개인 변인에 따른 초등교사의 초등과학수업 실행전문성 분석. 초등과학교육, 32(4), 535-544.
- 우주희, 안병호, 김상달(1990). 지구과학 수업에서 학습자 특성에 따른 수업목표의 효과. 과학교육연구지, 14, 37-48.
- 윤은정, 박윤배(2013). 과학 용어 및 과학 용어 교육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7), 1343-135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7.1343
- 이명제(2014). 초등 과학교과서 지구과학 지식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질문 종류, 빈도 및 인지적 배경 출처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5(4), 277-289. https://doi.org/10.5467/JKESS.2014.35.4.277
- 이정아(2011). 2007 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과서의 시각 이미지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 날씨의 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0(4), 482-489.
- 임성만(2015). 우리나라 역대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다루어진 "지구과학" 영역의 중심개념과 탐구활동 분석 및 차기 교과서 개선 방안 모색. 초등과학교육, 34(3), 288-296.
- 임채성, 윤혜경, 장명덕, 임희준, 신동훈, 김미정, 박현우, 이인선, 권치순, 이대형, 김남일(2007). 초등학교 3-4학년 차세대 과학 교과서 체제 개발 연구. 초등과학교육, 26(5), 580-595.
- 장명덕(2009). 초등 교사들의 과학 오개념에 대한 인식과 수업전략. 초등과학교육, 28(4), 425-439.
- 정재훈, 김영신(2010). 과학 실험 연수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기대와 실태 분석. 초등과학교육, 29(3), 316-325.
- Abdi, S. W. (2006). Correcting student misconceptions. Science Scope, 29(4), 39.
- Akerson, V. L., Flick, L. B. & Lederman, N. G. (2000). The influence of primary children's ideas in science on teaching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4), 363-385.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200004)37:4<363::AID-TEA5>3.0.CO;2-#
- Ault, C. R. (1998). Criteria of excellence for geological inquiry: The necessity of ambigu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2), 189-212.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802)35:2<189::AID-TEA8>3.0.CO;2-O
- Carin, A. A. (1993). Teaching science through discovery. 7th ed. New York: Merrill.
- Gomez-Zwiep, S. (2008).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science misconception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9(5), 437-454. https://doi.org/10.1007/s10972-008-9102-y
- Grosslight, L., Unger, C., Jay, E. & Smith, C. L. (1991). Understanding models and their use in science: Conception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exper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9), 799-822. https://doi.org/10.1002/tea.3660280907
- Krathwohl, D. R. (2002).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An overview. Theory into Practice, 41(4), 212-218. https://doi.org/10.1207/s15430421tip4104_2
- Michaels, S., Shouse, A. W. & Schweingruber, H. A. (2007). Ready, Set, SCIENCE!: Putting research to work in K-8 science classrooms. National Academies Press.
- Sewell, A. (2002). Constructivism and student misconceptions: Why every teacher needs to know about them. Australian Science Teachers Journal, 48(4), 24-28.
Cited by
- 과학교육에서 모델과 모델링 관련 국내 과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vol.37, pp.4, 2016,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4.539
- Investigation on the Arts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n the Nature of Scientific Models vol.22, pp.6, 2018, https://doi.org/10.24231/rici.2018.22.6.426
- 초등 5~6학년군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 유형 분석 vol.38, pp.4, 2019, https://doi.org/10.15267/keses.2019.38.4.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