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267/keses.2016.35.2.229

An Analysis of th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n the Inquiry Activity about 'Make a Fossil Model' - Focusing the 6th, 7th, 2007 Revised, 2009 Revis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 -  

Sung, SeungMin (Cheolsan Elementary School)
Lee, Gyuho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Yeo, Sang-Ih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v.35, no.2, 2016 , pp. 229-24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n the inquiry activity about 'make a fossil model' focusing the 6th, 7th, 2007 revised, and 2009 revis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causes of teachers' conceptions and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We have analyzed questionnaires which were collected from 77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was carried out about comparisons actual fossil with fossil model in each step of the inquiry activity, the lesson goal, the thought for changes of the inquiry activity, the improvement of the inquiry and conception related fossil. Teachers have a general understanding about the contents of the inquiry activity but some of them have partially incorrect understanding. And they emphasiz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n lesson goal. It is necessary to improve inquiry activity reflecting teachers' thinking about the merit and weaknesses. There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fossil related concepts according to teachers' career, teaching or training experience. Through this research, there is a need to improve a textbook, a guide book, a teachers' training. So, teachers who have professionalism about science textbook be able to teach students.
Keywords
fossil; inquiry activity; elementary teacher; concep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교육과학기술부(2011a). 과학 4-2. (주) 금성출판사.
2 교육과학기술부(2011b).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4-2. (주) 금성출판사.
3 교육부(1996a). 자연 4-2. 국정교과서 주식회사.
4 교육부(1996b).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자연 4-2. 국정교과서 주식회사.
5 교육부(2014a). 과학 3-2. (주) 미래엔.
6 교육부(2014b).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3-2. (주)미래엔.
7 교육인적자원부(2006a). 과학 4-2.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8 교육인적자원부(2006b).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4-2.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9 김덕호, 홍승호(2013). 초등학생들의 화석에 대한 인식 조사. 초등과학교육, 32(4), 503-514.
10 김미영, 김희백(2007). 모형 기반 수업을 통한 혈액 순환개념 변화의 다차원적 분석. 생물교육, 35(3), 407-424.
11 김미영, 김희백(2009). 중등 과학 교과서의 생명 영역에 제시된 과학적 모형들의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4), 423-436.
12 김영신, 이혜숙, 박경숙(2006). 중학교 과학교사와 학생들이 인식하는 수업 목표의 차이에 대한 연구. 과학교육연구지, 29, 45-56.
13 김현정, 여상인(2010). 초등 과학 수업의 실제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29(4), 451-464.
14 노명완, 정혜승, 윤준채(2004). 교과용 도서 내적 체제 개선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교과서연구재단.
15 박미진, 김영민(2003). 물리 외 교과서에 제시된 물리적 현상 설명이 학생들의 물리 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 155-164.
16 백성혜, 김경은(2013). 전기가 흐르는 물질로서 도체와 전해질에 대한 예비과학교사들의 개념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6), 1103-1118.   DOI
17 성승민, 채희인, 임희준(2016).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캐릭터삽화의 역할분석: 2009 개정과학과 4학년교과서를 대상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1), 167-175.   DOI
18 심규철, 박종석, 박상우, 신명경(2007). 초등 교과서에서 제시된 과학 탐구 활동의 분석. 초등과학교육, 26(1), 24-31.
19 여상인, 성승민(2013). 개인 변인에 따른 초등교사의 초등과학수업 실행전문성 분석. 초등과학교육, 32(4), 535-544.
20 우주희, 안병호, 김상달(1990). 지구과학 수업에서 학습자 특성에 따른 수업목표의 효과. 과학교육연구지, 14, 37-48.
21 윤은정, 박윤배(2013). 과학 용어 및 과학 용어 교육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7), 1343-1353.   DOI
22 이명제(2014). 초등 과학교과서 지구과학 지식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질문 종류, 빈도 및 인지적 배경 출처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5(4), 277-289.   DOI
23 이정아(2011). 2007 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과서의 시각 이미지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 날씨의 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0(4), 482-489.
24 임성만(2015). 우리나라 역대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다루어진 "지구과학" 영역의 중심개념과 탐구활동 분석 및 차기 교과서 개선 방안 모색. 초등과학교육, 34(3), 288-296.
25 Abdi, S. W. (2006). Correcting student misconceptions. Science Scope, 29(4), 39.
26 임채성, 윤혜경, 장명덕, 임희준, 신동훈, 김미정, 박현우, 이인선, 권치순, 이대형, 김남일(2007). 초등학교 3-4학년 차세대 과학 교과서 체제 개발 연구. 초등과학교육, 26(5), 580-595.
27 장명덕(2009). 초등 교사들의 과학 오개념에 대한 인식과 수업전략. 초등과학교육, 28(4), 425-439.
28 정재훈, 김영신(2010). 과학 실험 연수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기대와 실태 분석. 초등과학교육, 29(3), 316-325.
29 Akerson, V. L., Flick, L. B. & Lederman, N. G. (2000). The influence of primary children's ideas in science on teaching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4), 363-385.   DOI
30 Ault, C. R. (1998). Criteria of excellence for geological inquiry: The necessity of ambigu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2), 189-212.   DOI
31 Carin, A. A. (1993). Teaching science through discovery. 7th ed. New York: Merrill.
32 Gomez-Zwiep, S. (2008).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science misconception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9(5), 437-454.   DOI
33 Grosslight, L., Unger, C., Jay, E. & Smith, C. L. (1991). Understanding models and their use in science: Conception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exper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9), 799-822.   DOI
34 Krathwohl, D. R. (2002).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An overview. Theory into Practice, 41(4), 212-218.   DOI
35 Michaels, S., Shouse, A. W. & Schweingruber, H. A. (2007). Ready, Set, SCIENCE!: Putting research to work in K-8 science classrooms. National Academies Press.
36 Sewell, A. (2002). Constructivism and student misconceptions: Why every teacher needs to know about them. Australian Science Teachers Journal, 48(4), 2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