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of Girl's Coat Applied with Overcoat of Chosun Dynasty I

조선시대 포를 응용한 여아 외투 디자인 I

  • 신자영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장민정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6.07.11
  • Accepted : 2016.10.06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hough the po as the basic apparel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was various in kind as it was worn by people of different times, places, duties and statuses. it was unified as Juui with apparel reform at the late Joseon Dynasty. Though people of today have good feelings about hanbok, they rarely wear it because of its uncomfortable wearing sensation and the fastidious care after its use. However,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designs and to improve its use convenience through the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clothing now that overseas examples exist in which other countries' traditional clothing was successfully popularized. In this regard, targeting the children in their preschool ages when their socialization arises along with their physical development that have great influence on their adulthood,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design of overcoats that combines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po in Joseon Dynasty period with those of the modern children's overcoats so that they might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s Korean traditional clothes, and to contribute to its popularization. The study applied the characteristics of po to the design of children's overcoats so that children and their parents could choose to wear them with little repulsion. In this way, it attempted to resolve the inconveniences of the Korean traditional clothes and make the general public have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m. It is expected that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design that combines the Korean traditional clothes and children's clothes will contribute to the populariz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clothes.

Keywords

References

  1. 고복남. (1984). 한국 전통 복식사 연구. 서울: 일조각.
  2. 김경희. (1986). 아동심리학. 서울: 박영사.
  3. 김미자. (1981). 직령에 관한 연구. 복식, 5(0), 219-235.
  4. 김선경. (2011). 키네틱 아트의 조형성을 응용한 아동복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신애. (2014). 조선시대 남자 포에 나타난 무의 형태변화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신옥, 민혜영, 이혜란, 홍길희. (2014). 유아발달의 이해. 서울: 창지사.
  7. 김영인, 추선형, 조민정. (1999). 아동복 색채선호에 대한 조사연구. 복식, 42(0), 59-68.
  8. 김은정, 김초영, 이미숙. (2011). 사극 드라마 <추노>에 나타난 액주름 연구. 남도민속연구, 23, 89-112.
  9. 김정은, 임린. (2009). 역사속의 우리옷 변천사. 광주:전담대학교출판부.
  10. 김주영. (2003). 조선시대 철릭의 피륙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지혜, 최정욱. (2008). 철릭의 디자인 현대화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11(3), 95-109.
  12.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박물관. (2009). 해남윤씨 귤정공파 광주출토 유물. 경기:단국대학교출판부.
  13. 류정순. (2010). 근세 한일 남자 포의 조형적 특성비교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류희경, 김미자, 조효순, 박민여, 신혜순, 김영재, 최은수. (2009). 우리 옷 이천년. 서울: 미술문화.
  15. 배리듬. (2014). 조선시대 포를 응용한 대학 학위예복디자인 개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백영자, 최정. (2014). 한국복식문화의 흐름. 서울: 경춘사.
  17. 성영혜, 김광웅, 이재연, 서영숙, 이소희. (2001). 아동심리학.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출판국.
  18. 안명숙, 김용서. (1998). 한국복식사. 서울: 예학사.
  19. 양승옥. (2001). 패션 한복의 디자인을 위한 철릭의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옛길박물관. (2010). 중치막 자락에 깃든 사연. 서울:민속원
  21. 유송옥. (1998). 한국복식사. 서울: 수학사.
  22. 유희경. (1980). 한국복식사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3. 유희경, 김문자. (1998).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경춘사.
  24. 이경민. (2005). 주의 보편화의 과정과 요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경아. (2004). 유.아동복 이벤트 드레스 디자인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경은. (2014). 두루마기 구성의 변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경희. (2003). 조선시대 액주름포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은영. (1983). 복식의장학. 서울: 교문사.
  29. 이은주, 조효숙, 하명은. (2005).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의 무관 옷 이야기. 서울: 민속원
  30. 이인자 이경희, 신효정. (2001). 의상심리. 서울: 교문사
  31. 이주영, 권영숙. (2003). 조선시대 직령의 유형과 특성. 복식, 53(6), 25-43.
  32. 이학순. (2012). 편복포의 모더니즘적 접근을 통한 여성복 개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해영. (1989). 한국 직령교임식 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이황조. (2006). 조선시대 액주름의 조형적 특징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정혜경. (2000). 조선시대 철릭과 남자 포류와의 상호관계. 한국의류학회지, 24(2), 226-236.
  36. 조효숙, 임경화, 김지연. (2003). 조선시대 출토복식중 포류에 사용된 직물유형 연구. 복식, 53(4), 113-129.
  37. 최은수. (2004). 조선시대 백관의 단령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패션전문자료사전 편찬위원회. (1997). FASHION전문자료사전. 서울: 한국사전연구사.
  39. 홍나영. (2008). 출토복식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남자 편복포의 시대구분. 복식, 58(5), 118-133.
  40. KCDF. (2012). 한복진흥센터 설립 기본계획연구. 서울: KC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