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ntrastive Study on the Change of Rural Houses of the Han Chinese and Korean-Chinese in Yanbian Area of China

중국연변지역 조선족과 한족 농촌주택의 변화에 관한 비교연구

  • 허성걸 (가톨릭관동대학교 건축학과) ;
  • 조원석 (가톨릭관동대학교 건축학과)
  • Received : 2016.04.10
  • Accepted : 2016.05.23
  • Published : 2016.05.25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suggesting a hypothesis about the process of improvement of houses of the Korean-Chinese, comparing how Han Chinese and Korean-Chinese houses changed in Yanbian Area of China. This draws the conclusion by analyzing the field survey about residence of the Han Chinese and the Korean-Chinese in Yanbian Area of China. First of all, the characteristic of residence style change and the plan of rural houses of the Han Chinese are in the following. The plan of houses has been changed from allocating rooms from side to side with the kitchen as the center to linking each functional spaces through the aisle. And the main bedroom of houses becomes the central space for family members instead of Kang (partial Ondol) by expanding the floor heating system under the whole floor in houses. Next, the feature of residence style changes of the Han Chinese and the Korean-Chinese is as follows. In 1970s barns disappeared from houses of the Korean Chinese, but houses of the Han Chinese were not much changed. From 1980s to 1990s, spaces linking each rooms with aisles had appeared for comfortableness of residence and respecting each individual's privacy. On the other hand, The houses of the Korean-Chinese make a whole big space by getting rid of walls between the rooms. And after 2 thousand years later, Han Chinese houses have a bedroom with floor heating system. Both houses of the Korean-Chinese and the Han Chinese are changed to have a residence style which taking sedentary style and standing style.

Keywords

References

  1. 강영환, 中國 延邊地區 朝鮮族의 住居空間 및 生活方式:용정시 지신향 장재촌을 대상으로, 건축역사학회논문집, 3권 1호, 1994, pp.124-142
  2. 고도임 박남회 최형선 윤복자 박경난, 중국 연변 조선족 전통농가의 시설설비 실태조사 생활, 대한가정학회지, 36권 6호, 1988, pp.123-131
  3. 금요찬, 中國 朝鮮族 農村住居의 空間的 特性에 관한 硏究, 동양대학교논문집, 6권. pp.25-39
  4. 김봉열, 中國 延邊地區 朝鮮族의 마을과 주거, 건축역사학회논문집, 3권2호, 1994. pp.57-82
  5. 김수인 김민석 전진숙, 중국 조선족의 주거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3권2호, 2003, pp.39-42
  6. 김일학 박용환, 조선족 농촌주거 공간구성형태의 지역적 특징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학회논문집, 15권4호, 2009, pp.75-87
  7. 김일학 박용환, 조선족 농촌주거의 부엌공간의 형태와 취사 및 식사방법,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1권1호, 2010, pp.11-21
  8. 김종영 김수인 김승제 박용환, 중국 조선족 주거의 공간구성 형태와 그 지역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7권1호, 1996, pp.95-103
  9. 김준봉, 중국 동북지역 한인동포(조선족) 전통민가 평면의 분류와 특성, 충북대 박사학위논문, 2000
  10. 김준봉 김성우 이훈 박은정, 中國 延邊 朝鮮族 傳統民家의 形式的 特性,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6권 7호, 2000. pp.79-86
  11. 김준봉 이해대, 김정태, 조선족농촌의 근대화과정에 따른 변화 연구,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12권1호, 2012, pp.55-63
  12. 김준봉 김현송 백석종 김준영, 중국 조선족 농촌마을의 공간구성 및 세대별 배치유형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4권4호, 2012, pp.1-10
  13. 백석종 김준봉, 중국 동북지역 조선족 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분류와 분포 특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1, p.5
  14. 울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중국동북지방 조선족 취락 및 주거에 관한 조사연구 - 장재촌, 1995년
  15. 李百壽, 延邊地區朝鮮族傳統民居探討, 延邊大學地域建筑与低碳技術硏究所 p.1
  16. 임금화 김태영 최효승, 중국 연길시 근교 농촌주택의 변천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7권 1호, 2005, pp.61-72
  17. 임금화 서승현 김태영, 두만강 북안 조선족 이수마을 주택평면의 변화,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0권 1호, 2008, pp.19-26
  18. 장보웅, 中國東北地方朝鮮族의民家硏究; 延邊地方朝鮮族自治州를 中心으로, 지리학회논문집, 27권2호, 1996, pp.117-128
  19. 허성걸 조원석 변경화, 중국조선족 거주환경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7권 1호, 2015, pp.105-112 https://doi.org/10.14577/kirua.2015.17.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