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IE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Science-Related Attitudes of High School Students for Newspaper in Education(NIE)

  • 투고 : 2016.03.30
  • 심사 : 2016.04.14
  • 발행 : 2016.04.30

초록

Through the systematic analysis on articles about the environment in newspapers, the news reports were considered as effective materials, so after being reconstructed, they were used as learning materials in a lesson on environment contamination which is newly introduced in Earth Science I from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To examine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before and after NIE application to the students, Test of Science Related Attitudes(TOSRA) as a test tool was carried out which was composed of 7 categories - four optional questionnaires for each category, 28 in total were used. The result was as follows: in a pretest, based upon the average scores by factors the factors ranked from the highest to the lowest as follows: the social meaning of science, the acceptance of the scientific attitude, the commonness of a scientist, the attitude to scientific exploration, the pleasure in science class, the vocational interest in science, the concern over science as a hobby, and in posttest, their ranking as follows: the acceptance of the scientific attitude, the pleasure in science class, the commonness of a scientist, the social meaning of science, the attitude to scientific exploration, the vocational interest in science, the concern over science as a hobby. Also they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a significant level p<0.05. However, the test revealed that there were some negative effects on the social meaning of science and the attitude to scientific exploration and therefore it is judged that in order to overcome those influences, some bright articles about solving the environment contamination should be applied to the lessons and be complemented effectively by experiments and various media: NIE as well as science magazines, data from Internet search and treatises on scienc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석우, 김은강, 류근창, 박미영, 박부규, 백현정, 이규철, 이기찬, 이재현, 이혜남, 천선재, 한진숙, 황희선 (2004). NIE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 최변각, 이해신, 추병수, 문병권, 소영무, 이지은, 이정은 조명아. (2012). 지구과학 I, 천재교육.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4. 구수정, 김영신, 박윤복 (2000). '99년 한국의 10대 환경 뉴스'의 환경쟁점 수업에의 활용 가능성 고찰. 환경교육, 13(1), 24-37.
  5. 김숙영, 최성희 (2000) NIE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태도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21(4), 359-368.
  6. 김윤희, 조은희 (2000). 생물수업을 위한 신문자료 활용방안.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0(1), 66-75.
  7. 나은숙 (2006) 신문을 활용한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과학과 관련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마현정, 이시원 (2010). NIE를 활용한 환경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3(2), 1-25.
  9. 문정호 (1995) 중학교 환경교육 실태 분석, 제 6차 환경보전시범학교 운영 중간보고 및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 환경부.
  10. 박재승 (1999). 신문활용 교육(NIE)의 문제점 고찰. 충북대학교 인문학회지, 17, 103-126.
  11. 신동희, 이제선 (2003). 고등학교 과학 '환경' 단원 수업에서 NIE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6), 599-608.
  12. 심규철, 김현섭 (2002). 생물교사들의 교육매체 활용 및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0(4), 309-315.
  13. 오강호, 고영구 (2004). 신문의 환경 보도 분석과 신문활용 교육의 가능성. 환경교육, 17(1), 67-76.
  14. 이재영, 김인호, 이선경 (1996). 대중매체의 환경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관한 고찰. 환경교육, 9(1), 30-38.
  15. 조성민 (2000). 인성과 창의성 개발을 위한 NIE 탐구공동체 활동 프로그램. 교육과학사.
  16. 조진희 (1999). 중학교 과학 교과의 지질학 영역에서 신문을 이용한 수업의 적용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최상희, 오주석 (1999) NIE 지도 전략. 대일.
  18. 최상희 (2004) NIE의 이해와 활용. 커뮤니케이션북스.
  19. 한미호 (2002) 신문을 활용한 과학과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력과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한혜리 (2011). 신문을 활용한(NIE) 중학교 생물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허병두 (1997). 신문활용교육이란 무엇인가. 중앙 M & B.
  22. 허명 (1993). 초.중.고 학생의 과학 및 과학교과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34-340.
  23. Fraser, B. J. (1981).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Handbook,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Macquarie University.
  24. Gerlach, V. S. & Ely, D. P. (1980). Teaching and Media a Systematic Approach. Prentice Hall.
  25. KINDS (2013) http://www.kinds.or.kr/ (2013년 2월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