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ice Level Evaluation Through Measurement Indicators for Public Open Data

공공데이터 개방 평가지표 개발을 통한 현황분석 및 가시화

  • 김지혜 (충북대학교 대학원 경영정보학과) ;
  • 조상우 (충북대학교 비즈니스데이터융합학과) ;
  • 이경희 (충북대학교 비즈니스데이터융합학과) ;
  • 조완섭 (충북대학교 대학원 경영정보학과)
  • Received : 2015.12.12
  • Accepted : 2016.01.15
  • Published : 2016.02.29

Abstract

Data of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was collected automatically from the public data portal. And we did the multidimensional analysis based on various perspective like file format and present condition of public data. To complete this work, we constructed Data Warehouse based on the other countries' evaluation index case. Finally, the result from service level evaluation by using multidimensional analysis was used to display each area, establishment, fields.

공공데이터 포털에 공개된 지자체 데이터와 공공기관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한 후, 공공 데이터의 개방현황 및 다양한 영역별 데이터 제공여부, 파일 형식 등 다양한 기준으로 다차원 분석하여 서비스 수준 평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해외 평가지표 사례를 바탕으로 평가지표 내용을 설정한 후 이를 기준으로 데이터웨어하우스(DW)를 구축하였으며, 다차원 분석 기법을 사용한 서비스 수준평가 결과를 지역별로, 기관별로, 분야별로 시각화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공공데이터 전략위원회, "공공데이터 개방 발전전략(안)", 2014.
  2. 김지혜, "공공데이터 포털 분석을 통한 서비스 수준 평가", 졸업논문지, 2016.
  3. 한국지역정보개발원, "공공데이터 제공 방안 및 가이드라인 연구", 연구보고서, 2014.
  4. 행정자치부, "공공데이터 개방 표준 가이드라인", NIA한국정보화진흥원, 2015.
  5. 행정자치부, "공공데이터 개방 활용추진 현황", NIA한국정보화진흥원, 2015.
  6. http://5stardata.info/.
  7. http://global.census.okf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