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남동의 창의계급들과 경합하는 장소들의 생산: 세 가지 길의 상이한 행위자들과 젠트리피케이션의 상이한 유형들

Creative Classes and the Production of Contested Places in Hannam-dong (Yongsan, Seoul): Another Cultural-Economic Communities of Strangers

  • 신현준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 투고 : 2016.02.22
  • 발행 : 2016.03.31

초록

용산구의 동쪽에 위치한 한남동은 부촌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부촌과 빈촌이 공존하는 장소다. 이 곳은 2000년대까지는 주택가의 성격이 강한 동네였지만, 2000년대 말~2010년대 초 이후 '길'을 중심으로 문화경제적 실천이 집적되면서 새로운 장소, 이른바 창의경제의 장소로 변환되고 있다. 이런 장소의 생산은 다양한 창의계급들이 상이한 구역을 각각 차지하는 양상을 보이며, 그들 사이의 접촉지대에서는 경합과 충돌이 발생하고 있다. 이곳의 한 구역에서는 대기업의 경제자본을 바탕으로 문화적 기획을 왕성하게 전개되는 한편, 다른 구역에서는 창의적 소생산자 혹은 창의적 하층계급이라고 칭할 수 있는 행위자들이 문화자본을 배치하여 우사단길과 한강진길이라는 비공식적 이름의 장소로 형성하는 실천을 수행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2010년대의 한남동은 상이한 곳들에서 상이한 행위자에 의한 상이한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하면서, 내국인들의 상이한 창의계급이 물리적 위치를 공유하지만 사회적 관계와 소통 네트워크는 거의 부재한 채로 공존하는, 즉, 서로에게 '이방인'이 되는 장소로 생산되고 있다.

Hannam-dong, which lies at the eastern part of Yongsan-gu in metropolitan Seoul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affluent area, but actually it is divided into different sub-areas including poor ones. Although it used to be a quiet residential neighborhood, be they rich or poor, some streets (gil) have become the places of creative economy since the late 2000s. The place-making of Hannam-dong is accompanied by taking-place of different creative classes in different sub-areas, and there have emerged contestation, negotiation and clash among them at the contact zone. While the big companies such as Samsung explores their own version of cultural/creative entrepreneurialism in one sub-area, the actors that can be dubbed as 'creative small producer' and/or 'creative underlass' produce Hangangjin-gil and Usadan-gil as artistic-cum-economic communities by deploying cultural capital. All in all, Hannam-dong is an interesting case that different types of gentrifications are produced by different actors in different sub-areas, which results in producing another kind of 'community of strangers' where different (creative) classes share a physical location, but do not have lasting social interactions and communicative networks.

키워드

참고문헌

  1. 경향신문, 데일리안, 동아일보, 매일경제, 미주중앙일보, 시사인, 앳스타일 스타&스타일 매거진, 이코노미스트, 조선비즈, 중앙일보, 한겨레 각호.
  2. 김은실, 2004, "지구화 시대 근대의 탈영토화된 공간으로서 이태원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한국여성연구원 편, 변화화는 여성문화, 움직이는 지구촌, 푸른사상, pp.13-61.
  3. 김필호, 2015, 강남의 역류성 젠트리피케이션: 신사동 가로수길과 방배동 사이길의 사례연구, 도시연구 14, pp.87-123.
  4. 남기범.송정은, 2014, "창조경제정책논의와 지역발전",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632-645.
  5. 문미성, 2014, "창조경제와 지역: 창조도시의 세가지 원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646-659.
  6. 박배균, 2012, "한국학 연구에서 사회-공간론적 관점의 필요성에 대한 소고", 대한지리학회지 47(1), pp.37-59.
  7. 서울역사박물관, 2006, 서울지도, 서울역사박물관.
  8. 서울역사박물관, 2010, 이태원-공간과 삶, 서울역사박물관.
  9. 송도영, 2007, "종교와 음식을 통한 도시공간의 문화적 네트워크-이태원 지역 이슬람 음식점들의 사례", 비교문화연구 13(1), pp.98-136.
  10. 신현준, 2015, "오래된 서울에서 진정한 도시 동네(authentic village) 만들기의 곤란-서촌/세종마을의 젠트리피케이션 혹은 복합적 장소형성", 도시연구: 역사.사회.문화 14, pp.7-41.
  11. 신현준.김지윤, 2015,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과 도시재생 혹은 개발주의 이후 도시 공간의 모순과 경합", 사이/間/SAI 19, pp.221-246.
  12. 양희은.손용훈, 2013, "경리단길 창조계급의 유입과정과 문화경관 형성요인", 한국조경학회지 41(6), pp.158-170. https://doi.org/10.9715/KILA.2013.41.6.158
  13. 영희야 놀자, 2014, 청년 예술가.창업가들의 골목길 고군분투기, 서울시 청년허브.
  14. 이기웅, 2015. "젠트리피케이션 효과: 홍대지역 문화유민의 흐름과 대안적 장소의 형성", 도시연구 14: 43-85.
  15. 이나영.정민우, 2010, "탈/식민성의 공간, 이태원과 한국의 대중음악-이태원 '클럽'들의 형성과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1950-1991)", 사회와 역사 87, pp.191-229.
  16. 이종호, 2014, "창조경제와 지역발전에 대한 경제지리학적 검토",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624-631.
  17. 임석재. 2006. 서울, 골목길 풍경, 북하우스.
  18. 정지희, 2015, "Multi-Ethnicity 소비 공간의 형성과 지역 활성화-이태원 에스닉레스토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박사학위 논문.
  19. 채지민.이원호, 2014, "수도권 창조산업의 공간분포 패턴과 사회통합적 영향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660-674.
  20. 청년허브, 2014, 청년, 서울의 마을을 탐하다-60명 청년들의 120일간 마을탐사보고서, 서울특별시.
  21. 최병두, 2014, "한국의 창조경제와 창조도시에 관한 정책과 담론",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601-623.
  22. 한영주 외, 2001, 이태원 장소마케팅 전략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3. 허자연.정연주.정창무, 2015, "상업공간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및 사업자 변화에 관한 연구: 경리단길 사례", 서울도시연구 16(2), pp.19-33.
  24. Agnew, J., 1987, Place and Politics: The Geographical Mediation of State and Society, Boston: Allen & Unwin.
  25. Bourdieu, P., 1986, The Forms of Capital, in Richardson, J. (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Westport, CT: Greenwood, pp.241-258.
  26. Bridge, G., 2007 "A global gentrifier class?", Environment and Planning A 39, pp.32-46 https://doi.org/10.1068/a38471
  27. Butler, T. & Lees, L., 2006, "Super-gentrification in Barnsbury, London: globalization and gentrifying global elites at the neighbourhood level",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31(4), pp.467-487. https://doi.org/10.1111/j.1475-5661.2006.00220.x
  28. Caves, R. E., 2000, Creative Industries: Contracts between Art and Commerce, Cambridge and London: Harvard University Press.
  29. Cresswell, T., 2013, Place: A Short Introduction, Malden, MA: Wiley-Blackwell.
  30. Cummings, J., 2015, "Confronting favela chic: The gentrification of informal settlements in Rio de Janeiro, Brazil", in Lees, L., Shin, H. B. & Lopez-Morales, E. (eds.), Global Gentrifications: Uneven Development and Displacement, Bristol: Policy Press, pp.81-99.
  31. Davidson. M., 2007, "Gentrification as global habitat: a process of class formation or corporate creation?",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32(4), pp.490-506. https://doi.org/10.1111/j.1475-5661.2007.00269.x
  32. Florida, R., 2002,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and how it's transforming work, leisure, community and everyday life. New York: Basic Books.
  33. Gornostaeva, G. & Campbell N., 2012, "The creative underclass in the production of place: Example of Camden Town in London", Journal of Urban Affairs 34(2), pp.169-188. https://doi.org/10.1111/j.1467-9906.2012.00609.x
  34. Harvey, D., 1990, Flexible accumulation through urbanization ref lections on 'post-modernism' in the American city, Theater, Theatricality, and Architecture 26, pp.251-272.
  35. Kim, J. Y., 2014, Community of Strangers: Itaewon from 'Americanized' Ghetto to 'Multicultural' Space, PhD Thesis, Department of Sociology,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36. Kratke, S., 2010, 'Creative cities' and the rise of the dealer class. A critique of R. Florida's approach to urban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34(4), pp.835-853. https://doi.org/10.1111/j.1468-2427.2010.00939.x
  37. Lazzeretti, L., Boix, R., and Capone, F. 2008, "Do creative industries cluster? Mapping creative local production systems in Italy and Spain", Industry and Innovation 15(5), pp. 549-567. https://doi.org/10.1080/13662710802374161
  38. Lees, L., Slater, T. and Wyly, E. 2008., Gentrification, London: Routeledge,
  39. Ley, D., 2003, "Artists, aestheticisation and the field of gentrification", Urban studies 40(12), pp.2527-2544. https://doi.org/10.1080/0042098032000136192
  40. Lloyd, R., 2002, "Neo-bohemia: Art and neighborhood redevelopment in Chicago". Journal of Urban Affairs 24(5), pp.517-532. https://doi.org/10.1111/1467-9906.00141
  41. Morgan, G. & Ren, X., 2012, "The creative underclass: Culture, subculture and urban renewal", Journal of Urban Affairs 34(2), pp.127-130. https://doi.org/10.1111/j.1467-9906.2012.00606.x
  42. O'Connor, J., 2006, "Creative exports: Taking cultural industries to St Petersburg,"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Policy 11(1), pp.45-60. https://doi.org/10.1080/10286630500067747
  43. Peck, J., 2005, "Struggling with the creative class",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29, pp.740-770. https://doi.org/10.1111/j.1468-2427.2005.00620.x
  44. Pratt, A. C., 2008, "Creative cities: the cultural industries and the creative class", Geografiska annaler: Series B - Human geography 90(2), pp.107-117. https://doi.org/10.1111/j.1468-0467.2008.00281.x
  45. Scott, A. J., 2010, "Cultural economy and the creative field of the city", Geografiska Annaler: Series B, Human Geography 92(2), pp.115-130. https://doi.org/10.1111/j.1468-0467.2010.00337.x
  46. Scott, A. J.. 2008 "Creative cities: Conceptual issues and policy questions", Journal of Urban Affairs 28(1), pp.1-17. https://doi.org/10.1111/j.0735-2166.2006.0025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