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젠킨슨과 쉘렌버그의 기록학 이론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archival theory of Hilary Jenkinson and Theodore R. Schellenberg

  • 김상신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중앙도서관)
  • 투고 : 2016.09.27
  • 심사 : 2016.10.14
  • 발행 : 2016.10.31

초록

오늘날 기록학이 하나의 전문성 있는 학문으로 자리를 잡기까지 수 많은 학자들의 노력이 있었다. 그 중 영국의 젠킨슨(Hilary Jenkinson, 1882~1961)과 미국의 쉘렌버그(Theodore R. Schellenberg, 1903~1970)는 현대 기록학의 등장에 있어 늘 거론되는 대표적인 학자로 여겨져 왔다. 젠킨슨과 쉘렌버그의 이론이 나온 지 5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현대 기록관리 문제에 이들의 주장이 곳곳에 반영되어 있고, 기록학 실무를 하는 것에도 중요한 원리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이론들을 연구하는 것은 가치가 있는 일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젠킨슨과 쉘렌버그의 대표적인 기록학 이론서만 번역되어 출판됐을 뿐, 이들의 이론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는 나오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젠킨슨과 쉘렌버그란 인물의 생애와 경력을 알아보고 그들이 주장했던 이론들을 당시 그들이 처했던 시대적 상황 속에서 탐구해 봄으로써 그들의 이론이 왜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젠킨슨과 쉘렌버그의 학문적 배경과 생애, 경력을 알아보고, 이어 아카이브의 정의와 평가, 아키비스트의 역할 및 교육관에 대한 그들의 견해를 하나씩 비교하고 이에 관해 논하고자 한다.

Many scholars exerted efforts to establish archival studies as a specialized academic domain. Two of the most often-quoted leading scholars who worked for the emergence of modern archival studies were English archivist Hilary Jenkinson (1882-1961) and American archivist Theodore R. Schellenberg (1903-1970). As they were published over 50 years ago, their theories were not only applied in various areas, but they also served as important principles in archival practice in the past. Nevertheless, there only exists a few translated books on the prominent archival theories. These studies-which directly focus on their theories or related studies such as comparative studies-lack Korean translation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review Jenkinson and Schellenberg's biography and their professional achievements, as well as to empirically examine and investigate wh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theories by reviewing the periods they had lived and worked in.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review of their academic and biographical backgrounds was prioritized. Their archival definitions, assessment, roles and perspectives on education as archivists were then compared one by one.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기록원. 2012. 기록학 개론, 대전: 국가기록원.
  2. 김명훈. 2002. 공공 기록물 평가체제에 대한 이론적 검토, 기록학 연구, 6, 3-40.
  3. 오항녕. 2005. 기록학의 평가론, 서울: 진리탐구.
  4. 이상민. 2002. 미국 연방기록 관리제도와 그 이용, 미국사연구, 16, 331-360.
  5. 이상민. 2013. 미국 국무부의 외교사료집 편찬과 기록학적 쟁점,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 159-179.
  6. 이승억. 2002. 전자환경에서의 기록관리 개념에 관한 재검토, 기록학연구, 6, 41-72.
  7. 최정태. 2013. 기록학개론, 서울: 아세아문화사.
  8.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용어사전, 서울: 역사비평사.
  9. Boles, F & YOUNG, J. M. 1985. Exploring the Black Box: The Appraisal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Records, American Archivist, 48, 121-140. https://doi.org/10.17723/aarc.48.2.1414g624328868vw
  10. Boles, F & Greene, M. A. 1996. Et Tu Schellenberg? Thought on the Dagger of American Appraisal Theory, American Archivist 59, 298-310. https://doi.org/10.17723/aarc.59.3.k3x81g0852825l31
  11. Cappon, L., Rhoads, J., Posner, E., Maclean, I., Tanodi, A., Black, C. & Ulibarri, G. 1970. Theodore R. Schellengerg 1903-1970. The American Archivist, 33(2), 190-202. https://doi.org/10.17723/aarc.33.2.53nlm24565342471
  12. Duranti, L. 1994. The Concept of Appraisal and Archival Theory, American Archivist 57, 328-344. https://doi.org/10.17723/aarc.57.2.pu548273j5j1p816
  13. Eastwood, T. 2004. Jenkinson's Writings on Some Enduring Archival Themes, American Archivist, 67, 31-44. https://doi.org/10.17723/aarc.67.1.h6g7ln5122373484
  14. Ellis, R. and Kellaway, W. 1955. A Bilbliography of the writings of Sir Hilary Jenkinson. Archives, 2(14), 329-343.
  15. Jenkinson, H. 2004. A Manual of Archive Administration rev. 2nd. ed. (정부기록보존소 역. 2004. 힐러리 젠킨슨의 기록관리편람).
  16. Ole, K. 1992. The evolution of basic appraisal principles-Some comparative observations. American Archivist, 55, 26-40. https://doi.org/10.17723/aarc.55.1.v05w2kg671667v6h
  17. Rapport, L. 1981. No Grandfather Clause: Reappraising Accessioned Records.
  18. Roberts, J. W. 1987. Archival Theory: Much Ado About Shelving, American Archivist, 50, 66-74. https://doi.org/10.17723/aarc.50.1.l357257455776g52
  19. Schellenberg, T. S. 1968 Archival Training in Library Schools, American Archivist, 31, 155-165. https://doi.org/10.17723/aarc.31.2.g2k6132m5332737k
  20. Schellenberg, T. S. 1959. The Future of the Archival Profession, American Archivist, 22, 49-58. https://doi.org/10.17723/aarc.22.1.9847r03011555688
  21. Schellenberg, T. S. 1956. Mordern Archives : Principles and Techniques. (이원영 역. 2002. 현대기록학개론. 서울: 진리탐구).
  22. Smith, J. F. 1981. Theodore R. Schellenberg: Americanizer and Popularizer, American Archivist, 44, 313-326. https://doi.org/10.17723/aarc.44.4.2227r081gnx07r0p
  23. Smith, J. F. 1970. In Memoriam: T.R. Schellenberg, 1903-1970, American Archivist, 33, 190-202. https://doi.org/10.17723/aarc.33.2.53nlm24565342471
  24. Stapleton, R. 1983. Jenkinson and Schellenberg : A Comparison, Archivaria, 17, 77-85.
  25. Tschan, R. 2002. A Comparison of Jenkinson and Schellenberg on Appraisal, American Archivist, 22, 176-195.
  26. Williams, C. 2006. Manging archives : foundations, principles and practice. (남태우, 김유승 역. 2008. 기록관리학의 이해, 대구: 태일사).

피인용 문헌

  1. 잡지 『농민생활』과 일상 아카이브 연구 vol.67, pp.None, 2016, https://doi.org/10.20923/kjas.2021.68.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