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 Archivist's Objectivity Based on Clifford Geertz's anthropological Approach

아키비스트의 객관성에 대한 재고찰 클리포드 기어츠(Clifford Geertz)의 인류학적 방법론을 통해

  • 윤은하 (전북대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문화아카이빙연구소)
  • Received : 2015.12.23
  • Accepted : 2016.01.04
  • Published : 2016.01.31

Abstract

It has been basic value and fundamental philosophy for a long time for archivists to protect neutrality and objectivity in records management. The demands to maintain objectivity of records management is directly related to protect the administrative and legal evidence of records for fulfilling jurisdictional goal, and more fundamentally, it is related with the intrinsic nature of archives. As an archivists' expertise is seems to be derived from ability to give objective-judge on record value, and candor to organize and classify records. Thus, the international Code of Ethics of archivists stipulates that all such obligations directly or indirectly. However, since Hans Booms and Terry Cook emphasized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archivists and highlighted the social power of archives, the discourse of archival objectivity gets to be given more attention to people. This article, following the cultural anthropologist Clifford Geertz' interpretative methodology theory, examine the archival implications to adopt the theory, particularly from the perspective of objectivity and archival otherness.

기록학이 일반 대중이나 사회적 소수자의 기억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그들의 기록을 수집하려는 시도를 한 지는 오래지만, 기록 공동체 간 문화적 이질성과 타자성에 대한 주목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우리가 문화적으로 우리와 상이한 공동체들의 기록을 수집 정리할 때, 공동체의 기록과 기억을 그대로 옮겨올 수 없기 때문에 문화적 타자라 할 수 있는 공동체의 기억과 타자성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는 대단히 중요하다. 타자성에 대한 이해는 공동체 기억을 왜곡시키지 않고 보존하는데 근간이 되며 나아가 젠킨슨 이래 줄곧 논의되었던 아키비스트의 객관성에 관한 논제와도 관련이 있다. 본고에서 저자는 타자성에 대한 이해와 아키비스트의 객관성에 대한 논의를 인류학 담론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상징인류학자로 불리며 상징을 통한 새로운 인류학적 해석 방법론을 주장한 클리포드 기어츠의 이론을 근간으로 기록학에서 타자성에 대한 논의를 소개했다. 저자는 그의 해석적 방법론은 상이한 문화적 공동체에 속해 있는 아키비스트와 공동체 구성원 간의 상호 인식의 지평을 넓히고, 문화적 산물로서 기록을 이해하는데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본고는 이러한 기어츠의 주장에 내포되어 있는 이러한 해석학의 기록학적 함의를 고찰하고 이를 아키비스트의 객관성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방향으로 삼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