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Records Managers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유현경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 김수정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5.12.21
  • Accepted : 2016.01.04
  • Published : 2016.01.31

Abstract

The job satisfaction of records managers is of importance because it affects their work performance and re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cords managers' job satisfaction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records manager's job satisfaction to find the way to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Specific qu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job satisfaction of records managers? 2) Ar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different depending on record managers' personal characteristics? 3) What a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job satisfaction? To do tha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gather data from 60 domestic records managers working in different types of records centers. Data analyse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independent t-test,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Additionally, interviews with 2 record managers were conducted to collect opinions on factors affecting job dis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ir job satisfaction. Important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s are moderately satisfied with their jobs (3.2 out of 5 points).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is different depending on years of career, years of employment, number of personnel the respondent is working with in the records center, and etc. The number of personnel the respondent is working with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Seco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result shows that motivation factors(satisfaction factors) are more influential than hygiene factors (dissatisfaction factors) on the respondents' job satisfaction, which confirms Herzberg's two factor theory. More specifically, 'work ethic,' one of motivator factors, has the greatest influence, followed by 'procedural impartiality', 'communication', 'job characteristic', 'distributive justice', and 'working condition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ways to improve record managers' job satisfaction level. First, the awareness of records management should be increased. The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ir job dissatisfaction is usually derived from a lack of the awareness of records management. Therefore, every chief of organizations,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records managers themselves should try to raise the awareness of records management. Especially, records managers should make stronger efforts to attract the office's attention. Second, records managers ought to establish their identity as records management profession. Also, they should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of the archival commun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individuals.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직무만족도를 조사하고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이들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첫째,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전반적인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둘째,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직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 및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면담을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은 직무만족과 관련된 이론에서 내용이론 중 허즈버그(Herzberg)의 2요인이론과 과정이론 중 애덤스(Adams)의 공정성이론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설문문항을 구성하기 위하여 박병용(2012)의 연구를 참고하였다. 현직에 있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for Windows ver.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설문조사 대상자 중 2명의 기록물관리전문요원들과 면담을 실시하여 직무불만족사항과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집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전반적인 직무만족도는 평균 3.2로 조금 만족하는 수준을 보였으며, 근무기간, 기록관리 담당 인원수, 이전 공직근무 경력 등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허즈버그의 2요인 이론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동기요인(만족요인)이 위생요인(불만족요인)에 비해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직무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동기요인에 해당하는 '직업의식' 요인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통계분석과 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직무만족도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기록관리에 관한 기관 내부 직원들을 포함한 외부의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 조사대상자들의 응답을 종합해보면 직무에 대한 불만족은 대부분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기관장, 국가기록원,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모두가 인식 제고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특히 기록연구사 개인의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처리과의 관심을 유도해야 한다. 둘째, 기록관리전문가로서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 이를 위해 재교육을 통한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강화하고, 소수직렬로서 관료제 사회 안에서 행정가로서만 자신을 인식하는 것에서 벗어나 자신의 직무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다양한 기록공동체 활동에 적극 참여하여 개인의 한계를 뛰어넘어야 한다.

Keywords

Cited by

  1. 국내 기록학 연구방법 동향분석 (1) 설문과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vol.51, pp.None, 2016, https://doi.org/10.20923/kjas.2017.51.307
  2. 왜 다시 기록관리 혁신인가? 소통, 기술, 협치를 향해 vol.55, pp.None, 2016, https://doi.org/10.20923/kjas.2018.55.165
  3. 기록물관리기관 소요 인력 산출 기준에 관한 연구 vol.62, pp.None, 2016, https://doi.org/10.20923/kjas.2019.62.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