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ismic Performance of Special Shear Wall with Modified Details in Boundary Element Depending on Axial Load Ratio

축력비에 따른 수정된 단부 횡보강상세를 갖는 특수전단벽의 내진성능

  • 천영수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박지영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6.02.24
  • Accepted : 2016.03.31
  • Published : 2016.04.22

Abstract

In this paper, we propose experimental results, which target the major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a wall, as well as the resulting seismic and hysteretic behavior. Results also provide the basis for the application of performance based design by identifying the nonlinear hysteretic behavior of the wall with boundary element details recently proposed in previous study by Chun et al(2011).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crack and fracture patterns of a specimen, which adopt the proposed boundary element details, showed similar tendencies regardless of whether axial force or high performance steel bars is applied. Furthermore, results show that the maximum strength of the specimen can be predicted accurately based on the design equation proposed by the standard. In addition, with a higher axial force, there is a tendency that both the initial load and maximum strength increase as deformation capacity reduces, requiring consideration of the reduced deformation capacity due to a high axial force. For walls under such high axial forces, using high performance steel bars is a very effective manner of enhancing deformation capacity. Therefore, reinforcing the plastic hinge region with boundary elements using high performance steel bars is preferable.

이 논문은 최근 천영수 등(2011)에 의하여 제안된 벽체 단부 횡보강상세를 지닌 벽체를 중심으로 벽체의 구조성능 영향 변수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결과와 그에 따른 내진거동 및 이력특성을 제시하고 있다. 제시된 결과는 동 벽체의 비선형이력특성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성능기반설계의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실험결과, 제안된 횡보강 상세를 채용한 실험체의 균열 및 파괴 양상은 축력과 내진철근의 적용 여부와 상관없이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설계식에 의하여 실험체의 최대강도를 잘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축력이 높을 수록 초기강성과 최대강도는 증가하나 변형능력은 떨어지는 경향이 있어 고 축력으로 인한 변형능력 감소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고 축력이 작용하는 벽체의 경우 내진철근의 사용이 변형능력의 확보라는 관점에서 매우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으로 보임으로 가능하다면 소성힌지 영역은 내진철근을 사용한 경계요소로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건축학회(2015), 공동주택 성능기반 내진설계 지침(초안).
  2. 대한건축학회(2009), 건축구조 설계기준 및 해설(KBC2009).
  3. 천영수, 박지영, 이선웅(2015), 성능기반설계법의 도입을 위한 부재별 비선형이력모델 개발(1), 토지주택연구원.
  4. 천영수(2013), 특수철근콘크리트 구조벽체의 배근상세 규정 개정을 위한 실험용역, 토지주택연구원.
  5. 천영수, 김상연(2011), 구조시스템 높이제한 규정 완화를 위한 준특수전단벽 상세개발, 토지주택연구원.
  6. 한국콘크리트학회(2012), 콘크리트구조기준(KCI2012).
  7. 한상환, 오영훈, 이리형(1999), "벽체 단부의 횡보강근 양에 따른 변형능력의 평가", 한국콘크리트학회논문집, 11(6): 101-112. https://doi.org/10.22636/JKCI.1999.11.6.101
  8. American Concrete Institute (2001), Commentary on Acceptance Criteria for Moment Frames Based on Structural Testing, ACI T1.1R-01, American Concrete Institute.
  9. Los Angeles Tall Buildings Structural Design Council (2015), An Alternative Procedure for Seismic Analysis and Design of Tall Buildings Located in the Los Angeles Region, A Consensus Document.
  10. Su, R. K. L. and S. M. Wong (2007), "Seismic behavior of slender reinforced concrete shear walls under high axial ratio", Engineering Structures, 1(29): 1957-1965.
  11. Thomsen IV, J. H. and J. W. Wallace (2004), "Displacement- Based Design of Slende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al Walls-Experimental Verification",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130(4): 618-630. https://doi.org/10.1061/(ASCE)0733-9445(2004)130:4(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