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Korean medicine Clinical Use of Moire topography in musculoskeletal diseases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경근무늬측정검사(모아레)의 한의약적 임상응용 고찰

  • Ryu, Hongsun (Haneuibonga Korean medical clinic) ;
  • Song, Aejin (Dep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Chong, Myongsoo (Dep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류홍선 (한의본가한의원) ;
  • 송애진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정명수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Received : 2016.03.27
  • Accepted : 2016.04.25
  • Published : 2016.04.30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classify and analyze literature related to moire topography, as a diagnostic device of Korean medicine, discuss research trends and major results, and demonstrate the value of moire topography. Methods : To investigate moire topography research trends, Korean keywords that signify 'moire' were searched in a Korean journal search engine. Initially, 2,988 papers were found in the research, and, after classifying them and removing those that are duplicate in other databases, only 37 papers were applicable for the literature review in this study. To analyze research trends, the 37 papers were analyzed based on the publication year, research field, journal, and research type, and, clinical article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diagnosis purpose, subject characteristics, diagnosis method, test method, and test result, for analysis. Results : Moire topography research in South Korea was first conducted in 1995 and most active in 2003, mostly in the field of Korean medicine. In the journal analysis, The Journal of Korea CHUNA Manual Medicine for Spine & Nerves published the highest number of papers, most of which were clinical articles and the rest were literature review. And, in the analysis of clinical papers, based on the diagnosis purpose, muscle somatotype measurement was most common, followed by diagnosis of scoliosis. In terms of subjects, most studies focused 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in terms of the diagnosis method, other tests were used in most studies. The analysis of moire topography methods showed that most studies measured the shoulder, back, and hip, and the most common measurement method in the studies measured the difference in contour lines on the left and right by designating a central line of the body. In terms of the result, most moire topography brought about significant diagnosis results, and many studies demonstrated its use for musculoskeletal diseases in particular. Conclusions : Moire topography is believed to be highly significant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to support it.

Keywords

References

  1. 전영석. 회질격자들 사이의 간격과 선폭미가 Moire 무늬의 발기 분포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2.
  2. 신준식. 한국추나학 임상표준지침서 제2판, 서울, 대한추나학회출판사, 2002; 238-239.
  3. 박영회 외. 경근무늬를 통한 변위진단 연구, 대한추나의학회지, 2000; 1(1): 119-124.
  4. 박영회 외. Moire'무늬의 影像解釋에 관한 考察, 대한한의학회지, 1999; 20(2): 157-190.
  5. Denton TE et al. The use of instan Moire' photographs to reduce exposure from scoliosis radiographs, Spine, 1992; 17:509-512. https://doi.org/10.1097/00007632-199205000-00007
  6. 재단법인 한국 표준 연구소. 첨단 측정기술 개발비접촉식 형상측정기술개발(3차연도), 1986; 1-7.
  7. 오익근. 내용분석의 관광연구 활용, 관광학 연구, 2000; 24:317-322.
  8. 부소영. 축제의 지역이미지에 대한 영향관련 내용분석, 관광학연구, 2003; 27:113-132.
  9. 최은영, 수기요법이 모아레 영상에 나타난 비대칭체형 여대생의 통증 및 근체형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용학회, 2014; 20(6);1091-1098.
  10. 한명금 외. 모아레 체형측정법이 청소년기 척추측만증의 조기집단검진 활용 가능성에 대한 평가, 대한추나의학회지, 2003; 4(1):1-16.
  11. 장소영 외. 모아레 체형측정과 양하지 근육 발달비율의 상관관계에 관한 조사, 척추신경추나학회지, 2007; 2(1):67-75.
  12. 장규태 외. 모아레 측정법과 설문지 조사를 통한 경기도 S고등학교 재학생의 신체자각증상과 배부체형에 대한 실태조사,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3; 17(2):55-74.
  13. 박동수 외. 하지길이 차이와 모아레 체형측정과의 상관성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7; 17(1): 99-109.
  14. 이재원. 한의학적 진단원리와 모아레 토포그래피의 응용(임상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1995;1(1): 273-287.
  15. 김미숙. 스위스볼 운동이 척추측만 여고생의 모아레(Moire) 영상변화와 디트레이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007; 21(4):29-39.
  16. 유한길 외. 位相遷移 走査格子 映寫式 모아레 干涉械를 이용한 초.중학생의 背部체형고찰, 대한한의학학회지, 2000; 21(4):148-158.
  17. 유한길 외. 척추측만증 검진을 위한 모아레 체형측정법과 설문조사의 상관성 연구, 대한추나의학회지, 2003; 4(1):141-153.
  18. 이세연 외. 임상정보 : 요각통 환자 치험 1예 보고-모아레(moire) 측정에 의한 변화를 중심으로, 동서의학, 2003; 28(3):141-153.
  19. 임상훈 외. 장기근속 남성 택시기사와 일반인의 근골격계 균형에 관한 비교 연구 -모아레 체형측정법을 통해,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8;18(1): 141-151.
  20. 김혜경. 生體觀察을 爲한 Moire' Photograph法의 探索的 硏究, 연세논술, 1985; 21(3): 251-272.
  21. 허수영 외. 추나요법을 시행한 요통환자의 호전도와 Moire 영상 개선도와의 상관관계, 대한추나의학회지, 2000; 1(1):55-65.
  22. 천은주 외. 자동차회사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moire 영상 진단과의 관계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1; 5(2):69-92.
  23. 이은경 외. Moire 영상을 이용한 근골격계 질환의 한의학적 진단에 관한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0; 4(2):72-92.
  24. 이상용 외. Moire' 영상무늬를 통한 근골격계질환의 진단과 현가장치를 이용한 치료방안,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3; 7(2):121-130.
  25. 박기덕 외. 기공체조와 신체교정요법이 척추측만증 여고생들의 Cobb's angle과 Moire 영상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2006; 45(3): 587-597.
  26. 이동엽 외. 모아레를 이용한 체형분석의 반복성 재현성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6; 20(2):121-131.
  27. 박정혁 외. 경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경근무늬 측정상의 특징, 대한추나의학회지, 2005; 6(1):21-30.
  28. 유한길 외. 초중학생의 척추비틀림과 통증과의 관계고찰 경근무늬 모아레 측정법과 설문지조사를 통해, 대한추나의학회지, 2001; 2(1):133-142.
  29. 김장현. 청소년기(靑少年期)에서 척추체형(脊椎體形)과 자각증(自覺症)과의 임상적(臨床的) 고찰(考察),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2; 16(2):171-185.
  30. 김승권. 불균형 신체발달 스쿼시 선수들의 교정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운동역학회지, 2015; 25(4):423-429. https://doi.org/10.5103/KJSB.2015.25.4.423
  31. 전대중 외. 복합교정운동 프로그램이 척추 측만증 여중생의 Cobb's Angle과 체형변화에 미치는 효과, 운동학학술지, 2011; 13(2):45-53.
  32. 백순기. 8주간의 슬링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이 천장관절 증후군 남성의 근체형 및 주관적 통증정도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2014; 12(12): 651-658. https://doi.org/10.14400/JDC.2014.12.12.651
  33. 홍석철 외. 사상체질별 상안부의 형태학적 특징 : 모아레 횡단면의 특성을 중심으로, 대한체질인류학회지, 2001; 14(2):151-158.
  34. 박문수 외. 11세 청소년에서의 특발성 척추 측만증의 유병률, 대한정형외과학회지, 2006; 41(2):263-267.
  35. 이혜경 외. 요가 참여가 노인여성의 근골격계 및 통증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12; 21(5):1079-1091.
  36. 남기봉 외. 사무직 여성 근로자의 경부 통증 유무와 관련된 요인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9; 19(5):213-225.
  37. 하현진 외. 정형 물리치료와 근막 이완요법이 특발성 척추 측만증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09; 16(4):1-9.
  38. 김재희 외. 바디테라피가 견갑대와 골반대의 네 귀의 발란스 및 얼굴에 미치는 효과, 자연과학, 2014; 25:175-190.
  39. 박종성 외. 슬링운동이 골프선수의 근체형과 통증, 경기력에 미치는 효과, 코칭능력개발지, 2014; 16(3):105-114.
  40. 신미숙 외. 수기요법이 여성의 체형 균형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피부미용학회지, 2012;10(2):245-252.
  41. 유한길 외. 위상천이 주사격자 영사식 모아레 간섭계를 이용한 초.중학생의 배부체형고찰, 대한한의학학회지, 2000; 21(4):148-158.
  42. 김장현. 두통(頭痛)과 배부체형(背部體形)과의 상관성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3; 17(2):161-171.
  43. 김미영 외. 추나요법으로 치료한 후방 종인대 골화증 1예, 대한추나의학회지, 2002; 3(1): 153-166.
  44. 안기찬 외. 10년간 10, 11세 청소년에서의 특발성 척추 측만증 유병률 연구, 대한정형외과학회지, 2015; 50(1):25-30.
  45. 의학교육 연수원. 임상진단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216-233.
  46. 전국한의과대학 재활의학과학교실편. 동의재활의학과학, 서울: 서원당, 1995; 49-92.
  47. Takasaki H. moire' topography, Applied Optics, 1970; 9:1457-1472. https://doi.org/10.1364/AO.9.001457
  48. Takasaki H. moire' topography, Applied Optics, 1973; 12:845-850. https://doi.org/10.1364/AO.12.000845
  49. Willner S.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iciency of different types of school screening for scoliosis, Acta Orthop, Scand, 1982;53: 769-774. https://doi.org/10.3109/17453678208992290
  50. Willner S, et al. The role of moir photograhy in evaluating minor scoliotic curve, International Orthopaedics(SICOT), 1982;6:55-60. https://doi.org/10.1007/BF00267816
  51. Nissinen M, et al. Trunk asymmetry and scoliosis, Acta Paediatr Scand, 1989;78:747-753. https://doi.org/10.1111/j.1651-2227.1989.tb11137.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