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Human Rights Education Activities using Bullying Fairy Tales on Young Children's Human Rights-Related Attitudes and Self-Esteem

부링(Bullying)동화를 활용한 인권교육 활동이 유아의 인권관련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6.02.15
  • Accepted : 2016.04.04
  • Published : 2016.04.30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effects of human rights education activities using bullying fairy tales on young children's human rights attitudes and self-estee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40 five years old. children. Twenty of children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20 children were assigned to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human rights education activities using bullying fairy tales 21 times, 3 times a week for 7 weeks and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Nurui curriculum activities during the same periods..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in their human rights attitudes and self-esteem tha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human rights education activities using the bullying fairy tales used in this study might be an effective educational mothod to enhence young children's human rights attitudes and self-esteem.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8). 유아세계시민교육활동자료.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교육과학기술부 (2012).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제1권 유치원과 친구.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 (2012).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제2권 나와 가족.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과학기술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5. 구정화, 설규주, 송현정 (2004). 교사를 위한 학교인권교육의 이해.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6. 국가인권위원회 (2006). 유엔인권조약감시기구의 일반논평 및 일반권고.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7. 국가인권위원회 (2012). 인권 친화적 학교문화 조성을 위한 종합정책권고.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8. 국제사면위원회(1997). 인권교육활동의 기법. 서울: 도서출판 인간과 복지.
  9. 김귀연, 김경연 (2005). 아동의 위축 및 공격성에 대한 변인들의 관계: 거부적 양육행동, 또래괴롭힘, 부정적 부모표상 및 부정적 또래표상의 인과효과. 아동학회지. 26(6). 247-266.
  10. 김래영 (2012). 활동중심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미진 (2007). 인권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과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신정, 박영애, 김성희, 김혜영, 유소영, 백성숙 et al (2015). 초등학생의 생명존중과 또래괴롭힘. 아동간호학회. 21(1). 28-36.
  13. 김숙자, 김현정 (2008). 유아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아동과 권리. 12(2). 117-134.
  14. 김숙자, 김현정 (2010). 유아 인권교육활동 프로그램: 경험학습이론중심의 교수-학습과정 기본 모형에 터하여. 서울: 공동체.
  15. 김숙자, 김현정, 변선주 (2008).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나타난 인권 교육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유아교육학논집, 12(6), 5-29.
  16. 김숙자, 김현정, 장윤정 (2008). 유아 인권관련 태도 평가 도구 개발 : 유아 인권교육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4), 203-219.
  17. 김이산 (2004). 똑똑똑! 그림책. 서울: 현암사.
  18. 김진숙 (2009).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의미와 실행수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김혜연 (2008). 유아기 또래 괴롭힘의 피해에 관련된 변인 연구: 유아의 언어능력, 사회․정서적 행동,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유아관계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김희영 (2015). 아디다스(ADIDAS) 교수모형을 적용한 인권교육활동이 유아의 인권행동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14(3), 183-210.
  21. 남경숙 (2006). 집단구성 유형에 다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대인관계 해결력.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남궁선혜, 김현정 (2011). 유아인권 및 유아인권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연구. 아동보육연구. 7(2). 5-28.
  23. 단현국, 이미숙 (2006). 교사용 유아 자기존중감 척도 개발에 대한 기초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4), 81-104.
  24. 문용린 (2003). 유․초․중․고 인권교육과정 개발연구.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25. 문용린, 김광웅, 이진배, 이수영, 박성수, 주수일 et al (2005). 21세기 문화시민운동 가정에서부터 시작하자. 서울: 지식산업사.
  26. 문은희 (2001). 장애이해 증진을 위한 반편견(Anti-Bias) 교육활동이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 유아의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배송희 (2010). 유아권리 교육을 통한 보육교사의 성찰과 영유아의 이미지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보건복지부 (2015). 협약으로 살펴보는 아동의 권리 유엔아동권리협약. 서울: 보건복지부.
  29. 문용린 (2003). 유․초․중․고 인권교육활동과정 개발 연구.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30. 서유임 (2000). 유아 인권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서정은 (2001). 유아 인권교육활동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서현아, 김소연 (2002). 그림책과 관련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2). 1-34.
  33. 손민선 (2009). 보육시설의 영유아 인권에 관한 현황 및 발전 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손옥자, 신현기 (2005). 인권교육이 비장애 유아의 장애 유아에 대한 태도 증진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요구아동연구, 14, 61-84.
  35. 송명자 (2003). 발달심리학. 서울: 학지사.
  36. 신유림 (2011). 또래 괴롭힘 공격적 피해, 수동적 피해 및 가해 유아의 사회적 행동, 심리사회적 적응과 언어능력. 대한가정학회지, 49(6), 1-12. https://doi.org/10.6115/khea.2011.49.6.001
  37. 신지현 (2004).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아동권리 인식조사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신혜경 (2008). 유아 인권교육활동 프로그램이 장애에 대한 인식과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심성보 (2000). 인권교육활동의 이론과 실제. 국제이해교육, 4, 35-74
  40. 이경아 (2008). 사회기술 및 또래관계가 또래 괴롭힘에 미치는 영향-자기존중감과 문제행동에 대한 자기평가를 매개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 5(1). 61-80.
  41. 이명준, 류재택, 정우탁 (2000). 인권교육 체계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42. 인권운동사랑방(2001). 교사를 위한 인권교육 워크샵 자료집. 서울: 인권운동사랑방 인권교육실.
  43. 염하나 (2009). 동화자료를 활용한 사회과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00). 아시아의 인권교육. 서울: 사람생각.
  45. 유엔인권고등판무관실 (2006). 학교인권교육 길라잡이-유엔의 초.중등학교 인권학습 활동 안내서.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46. 유향선, 최현정 (2014). 유아 다문화인권교육 활동이 인권관련태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9(2). 315-338.
  47. 윤수정 (2013). 유아의 위축적인 사회행동과 또래 괴롭힘 및 또래관계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성의 중재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80. 131-152.
  48. 윤진희 (2006).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권리에 대한 교원과 학부모의 인식과 실행에 관한 모형 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이미나, 백현옥 (2015). 그림책을 활용한 인권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홀리스틱교육연구, 19(1), 99-119.
  50. 이미숙 (2010). 영유아 인권 및 인권교육에 대한 실태 및 교사인식분석.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이양희 (2011). 유아용 아동권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52. 임정희 (2005). 만 5세 아동권리 활동안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유엔의 아동권리에 관한 국제협약을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전라북도교육정책연구정보원 (2012).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적용 방안 연구-아디다스(ADIDAS) 교수-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전북: 전라북도연구정보원.
  54. 정미라 (2003). 한국과 일본의 유치원 교육과저에 나타난 유아인권교육활동의 내용 비교. 열린유아교육연구. 7(4). 291-318.
  55. 정선아 (2002). 아동기의 현대적 의미 변화과정 고찰. 한국아동권리학회지. 6(2). 365-384.
  56. 조숙영 (2014). 만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유아인권 관련 교육내용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 10(6), 369-390.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6.369
  57. 조주랑 (2010).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저에 나타난 유아 인권관련 교육내용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책둥이 (2015). 책둥이 영.유아독서지 80호 205년 3월호. 5면. 서울: (사)행복한 아침독서.
  59. 최연숙 (2005). 활동중심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권리태도와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0. 한국교육연구소 (2005). 인권교육활동 개념 및 방향 정립 모색 연구.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61. 한영미 (2011). 신체활동을 통한 인권교육활동 프로그램이 비장애 유아의 장애에 대한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2. 한영숙 (2006). 초등학생을 위한 인권교육 지도자료 개발 연구. 제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황성기 (1994). 아동의 인권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 Crick, N. R., Casas J. f., & Ku, H. (1999). Relational and physical froms of peer victimization in preschool. Developmental Psycbology, 35(2), 376-385. https://doi.org/10.1037/0012-1649.35.2.376
  65. Guindon, M. H. (2002). Toward accountability in the use of the self-esteem construct.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80(2), 204-214. https://doi.org/10.1002/j.1556-6678.2002.tb00184.x
  66. Seefeldt, C. (2001). (Social studies for the preschool/primary child(6th ed.).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Merrill Prentice Hall.
  67. Hetherington, E. M., & Parke, R. D. (1993). Child development: A contemporary viewpoint(4th ed.). NY: McGraw-Hill, Inc.
  68. Hyun, A. N., & Kim, Y. M. (2014). The role efficacy and parental bonding in victim-defending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6(1), 129-153.
  69. Ladd, B. K., & Ladd, G. W. (2001). Variantions in peer victimzation: Relations to children's maladjustment. In J. Juvonen & S. Graham (Eds.) peer barassment in school: The plight of the vnlnerable and vicimized (pp.25-48). NY: Gjilford.
  70. Nansel, T. R, Overpeck, M., Pilla, R. S., Runsan, J., Simons-Morton, B., & Scheidt, T. (2001). Bullying behaviors among US youth: Prevalence and association with psyhosocial adjustment.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5(16), 2094-2100. https://doi.org/10.1001/jama.285.16.2094
  71. Nelson, D. A., Robinson, C. C., & Hart, C. H. (2005) Relational and physical aggression of preschool-age children: Peer starus linkage across informants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16(2), 115-139.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1602_2
  72. Olweus, D. (1978). Aggression in the school: Bullies and Whipping boys. Washington DC: Hemisphere Wiley.
  73. Reardon, B. A. (1995). Educating for human dignity: Learning about rights and responsibilit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hiladelphia.
  74. Smith, P. K. (2014). "Building a Respectful Early Childhood Classroom Community" The Definition, Nature and Developmental Changes of Bullying in Early Childhood. 제8회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8월 국제학술대회 기조강연논문, 서울:중앙대학교, pp.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