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조류 응집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A Numerical Study on the Agglomeration of Algae by the Ultrasonic Wave

  • Ha, Ji Soo (Department of Mechanical and Automotive Engineering, Keimyung University) ;
  • Shim, Sung Hun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and Materials) ;
  • Jung, Sang Hyun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and Materials)
  • 투고 : 2016.02.19
  • 심사 : 2016.03.21
  • 발행 : 2016.03.31

초록

미세조류를 이용하여 바이오 연료화 하는 연구가 청정에너지 및 대체에너지 개발에 따라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미세조류를 바이오 연료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미세조류에 대한 배양과 수확, 회수, 추출, 에너지 전환에 이르는 종합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한데 각 부분 마다 바이오에너지 생산에 필요한 생산 비용이 가격 경쟁력 면에서 아직 문제점이 있다. 현재까지의 기술 개발은 주로 배양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가격 경쟁력을 가지는 저비용의 응집, 수거, 탈수, 건조 및 연료 추출과정을 거치는 연료화 공정의 개발은 매우 미흡한 상태이다. 미세조류의 응집수거는 미세조류가 물과 유사한 밀도로 물에서 분리하기가 어려운 물질이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미세조류를 응집하고 수거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미세조류의 응집과 수거를 위해 초음파를 공정에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공정은 기존 공정에 비하여 환경 위해 요소가 거의 없으며 저비용 고효율의 공정으로써 다음 세대의 에너지 공급원 확보를 위해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다. 본 연구는 미세조류의 바이오연료로 추출하기 위한 전단계 공정으로 물에 부양된 미세조류를 효과적으로 응집하기 위해 초음파를 조사할 경우에 일어나는 유동과 미세조류 거동에 대한 메카니즘을 수치해석을 통해 규명함으로써 초음파를 이용한 미세조류 응집에 대한 최적 설계의 토대를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In spite of various merit of algae as biofuel, the production cost of algae is a considerable obstacle for commercialization.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essential technologies is needed for the cultivating, harvesting, extracting and energy transformation. The production cost of algae biofuel has still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commercial biofuel. The major research activity has been focused on the cultivating and the research of other processes has been done with relatively lower activity.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algae from water because of the similar magnitude of density each other. The agglomeration and extracting of algae with the hybrid technology using ultrasonic wave is rare effect of environmental hazard and also it is appropriate technology for the next generation energy resources. The present research is investigated for the effective separation of algae from water with the ultrasonics wave. The aim of the present research is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optimal design of algae agglomeration system. For this purpose,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 analysis has been conducted in the flow field with ultrasonic wave and algae flow to clarify the mechanism of algae separation by ultrasonic wave.

키워드

참고문헌

  1. Neelma Munir et. al, "Harvesting and processing of microalgae biomass fraction for biodiesel production (A Review)", Sci, Tech. and Dev., Vol. 32, No. 3, 235-243, (2013).
  2. John J. Milledge, Sonia Heaven, "A review of the harvesting of micro-algae for biofuel production", Rev Environ Sci Biotechnol, Vol. 12, 165-178, (2013). https://doi.org/10.1007/s11157-012-9301-z
  3. Jae-Yon Lee, et. al.,, "Comparison of several methods for effective lipid extraction from microalgae", Bioresource Technology, Vol. 101, 75-77, (2010). https://doi.org/10.1016/j.biortech.2009.03.058
  4. S.V. Patankar, "Numerical Heat Transfer and Fluid Flow", 126-131, (1980).
  5. B.R. Munson, et al.,"Fluid Mechanics", 329-416, (2013).
  6. J.J. Harkes, et al., "Microparticle manipulation in millimetre scale ultrasonic standing wave chambers", Ultrasonic, Vol. 36, No. 9, 52-65, (2002).
  7. B. Hosten, "Ultrasonic wave generation by timegated microwaves", J. of Acoustic Society of America, Vol. 104, No. 2, 38-45, (1998).
  8. L. Zou,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an in-duct orifice with bias flow under medium and high level acoustic excitation", Int. Journal of Spray and Combustion Dynamics, Vol. 6, No. 3, 267-292, (2014). https://doi.org/10.1260/1756-8277.6.3.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