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proving and constructing the content for the Sijo database in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계몽기·근대시조 DB의 개선 및 콘텐츠화 방안 연구

  • Received : 2015.12.31
  • Accepted : 2016.01.11
  • Published : 2016.01.31

Abstract

Recently with the research function, "XML Digital collection of Sijo Texts in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DB data is being provided through the Korean Research Memory (http://www.krm.or.kr) and the foundation for the constructing the contents of Sijo Texts in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has been laid. In this paper, by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Digital collection of Sijo Texts in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and searching for the improvement, I tried to find a way to make it into the content. This database has the primary meaning in the integrating and glancing at the vast amounts of Sijo in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to reaching 12,500 pieces. In addition, it is the first Sijo data base which is provide the variety of search features according to literature, name of poet, title of work, original text, per period, and etc. However, this database has the limits to verifying the overall aspects of the Sijo in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The title and original text, which is written in the archaic word or Chinese character, could not be searched, because the standard type text of modern language is not formatted. And also the works and the individual Sijo works released after 1945 were missing in the database. It is inconvenient to extract the datum according to the poet, because poets are marked in the various ways such as one's real name, nom de plume and etc. To solve this kind of problems and improve the utilization of the database, I proposed the providing the standard type text of modern language, giving the index terms about content, providing the information on the work format and etc. Furthermore, if the Sijo database in the Period of Modern Enlightenment which is prepared the character of the Sijo Culture Information System could be built, it could be connected with the academic,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specific plan, I suggested as follow, - learning support materials for the Modern history and the national territory recognition on the Modern Age - source materials for studying indigenous animals and plants characters creating the commercial characters - applicability as the Sijo learning tool such as Sijo Game.

최근 검색 기능을 갖춘 "계몽기 근대시조의 XML 데이터베이스 문서화"라는 자료가 기초학문자료센터(http://www.krm.or.kr)를 통해 제공되고 있어 근대시조의 문화콘텐츠화를 진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계몽기 근대시조 DB의 특성 및 문제점을 검토해 보고 개선 방향을 탐색함으로써 이 자료의 콘텐츠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계몽기 근대시조 DB는 12,500여 수에 이르는 방대한 양의 근대시조를 한자리에서 일별할 수 있도록 집성해 놓았다는 점과 문헌 및 작가명 작품명 검색, 원문 검색, 시기별 검색 등의 검색 기능을 갖춘 최초의 시조 DB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이 DB는 현대어 정규화 텍스트가 형성되지 않아 제목이나 원문이 고어나 한자로 표기되어 있는 경우 검색이 되지 않으며, 1945년 이후에 발표된 작품과 개인 시조집에 수록된 작품이 대거 누락되어 있어 계몽기 근대시조의 총체적 모습을 확인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작자 표시가 실명, 호, 필명 등으로 다양하게 표기되어 있어 작가별 자료 추출에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DB 활용을 제고(提高)하는 방안으로 본고에서는 현대어 정규화 텍스트 마련, 작품 별 내용소(內容素) 색인어 부여, 고시조 DB와의 통합, 작품 형식에 대한 정보 제공 등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시조문화정보시스템'의 성격을 갖춘 복합적인 성격의 계몽기 근대시조 DB가 형성된다면 이를 연구 및 교육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음을 피력하였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근대사 학습 및 근대기 국토 인식 등에 대한 보조 자료, 고유의 동식물 캐릭터 학습 및 상업적 캐릭터 생성을 위한 원천 자료, 시조놀이 등의 시조학습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흥규 외, 고시조대전,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12.
  2. 임선묵, 근대시조대전:잡지편, 홍성사, 1981.
  3. 임선묵, 근대시조집총람, 단국대출판부, 1988.
  4. 임선묵, 근대시조집람:신문편, 경인문화사, 1995.
  5. 강명혜, 고전문학의 문화콘텐츠화 양상 및 문화콘텐츠화를 위한 수업 모형, 우리문학연구 21집, 우리문학회, 2007, 3-31쪽.
  6. 고은지, 20세기 놀이문화인 시조놀이의 등장과 그 시조사적 의미, 한국시가연구 24권, 한국시가학회, 2008, 385-414쪽.
  7. 권순회, 고시조대전의 편찬 과정과 주요 특성 개관, 민족문화연구 57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433-474쪽.
  8. 김석회, 서평 : 고시조 데이터베이스의 완성과 통계적 상상력의 가능성 : 김흥규 외, 고시조 대전,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12 & 신경숙 외, 고시조 문헌해제,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12, 민족문학사연구 50, 민족문학사학회, 2012, 525-534쪽.
  9. 김영철, 개화기 시가의 사회시학적 변이 양상, 한국시학연구 26호, 한국시학회, 2009, 179-207쪽.
  10. 김흥규, 古時調 內容素의 분포 분석과 시조사적 고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6.
  11. 김영철, 개화기 시가의 사회시학적 변이 양상, 한국시학연구 26호, 한국시학회, 2009, 179-207쪽.
  12. 류해춘, 문화콘텐츠로서의 시조문학 : 한국 시조문학의 존립기반과 그 본질에 관한 시고, 시조학논총 19권, 한국시조학회, 2003, 63-84쪽.
  13. 박선애, 한국근,현대문학의 동,식물 상징 기호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창작 소재로서의 가능성 연구, 우리어문연구 30권, 우리어문학회, 2008, 131-171쪽.
  14. 박진태, 14장 고전문학의 지역성과 <상춘곡>의 축제화, 한국문학의 경계 넘어서기, 태학사, 2012.
  15. 백순철, 문화콘텐츠 원천으로서 <화전가>의 가능성, 한국고시가문화연구 34권,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4, 217-249쪽.
  16. 서종원, 일제강점기 가투대회를 통해 본 가투놀이의 등장 배경, 語文論集 54, 중앙어문학회, 2013, 275-297쪽.
  17. 이찬욱, 문화콘텐츠로서의 시조문학 : 시조 낭송의 콘텐츠화 연구, 시조학논총 19권, 한국시조학회, 2003, 5-35쪽.
  18. 이형대, 2011년 선정 토대기초연구지원 연구결과물 추적 및 DB 구축 사업 결과보고서: 계몽기․근대 시조의 XML 데이터베이스 문서화, 2012.8.28, 한국연구재단.
  19. 임형택, 한국문학연구자는 지금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고전문학연구 25집, 한국고전문학회, 2004, 1-12쪽.
  20. 장성남, 대한매일신보 소재 패러디 시조 연구, 한국언어문학 42집, 한국언어문학회, 1999, 29-51쪽.
  21. 장정수, 기행시조의 창작 배경 및 특성 연구, 우리말글 61집, 우리말글학회, 2014, 155-187쪽.
  22. 장정수, 19세기 처사 작 금강산 기행가사에 나타난 금강산의 의미, 한국시가연구 34집, 한국시가학회, 2013, 152-188쪽.
  23. 주영하, 문화콘텐츠 산업만이 국문학의 살길일까?, 고전문학연구 25집, 한국고전문학회, 2004, 81-84쪽.
  24. 최한선, 송강가사의 문화콘텐츠화 방향, 고시가연구 33권,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345-399쪽.
  25. 최혜진, 가사문학의 향유 전통과 현대적 계승, 열상고전연구 32, 열상고전연구회, 2010, 515-545쪽.
  26. 한창훈, 문화 콘텐츠로서의 시조문학 : 시조문화 정보시스템 개발의 가능성과 전망, 시조학논총 19권, 한국시조학회, 2003, pp.3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