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마스 기호학을 이용한 서사 분석의 문제 <겨울왕국>을 중심으로

Does Disney's Frozen offer a subversive feminine gender representation? Discussion based on Greimas's semiotic analysis

  • 주형일 (영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투고 : 2015.11.27
  • 심사 : 2016.03.21
  • 발행 : 2016.04.15

초록

이 논문은 그레마스의 기호학 방법을 이용해 <겨울왕국>의 서사 분석을 한 기존 논문들의 오류를 지적하고 <겨울왕국>의 심층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들은 행위소 모델과 기호사각형에 대한 부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잘못된 분석을 했다. 그레마스의 방법을 엄밀히 이용한다면 <겨울왕국>은 기존의 연구들에서 주장된 것과는 달리 엘사가 아닌 안나의 영웅 서사임이 드러난다. 서사구조 안에서 안나와 엘사는 서로 대립하는 요소들이기 때문에 안나의 성공은 사실상 엘사의 실패이다. 따라서 <겨울왕국>은 기존의 연구들에서 주장하듯이 남성 지배적 담론에 저항하는 독립적이고 능동적인 여성의 모습을 보여 줌으로써 젠더 재현에 있어서 전복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다. <겨울왕국>은 가족 안에서의 사랑을 최고의 가치로 내세우고 공동체가 부여한 역할을 받아들이는 것이 최선이라고 말하면서 기존의 체제 순응적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criticize the articles that analyzed Frozen by using the semiotic method of Greimas. The study also aims to apply the semiotic method of Greimas correctly to find the deep structure of the narrative of Frozen. The results of the narrative analysis based on the actantial model and the semiotic square show that Frozen is not Elsa's heroic narrative but Anna's one. Because Elsa and Anna are the opposing elements in this narrative, the success of Anna is the failure of Elsa. Frozen does not convey the subversive message about the gender roles by representing an independent and active woman who resists the patriarchal discourse. Instead, Frozen reproduces the conformist ideology by saying that love is the most valuable thing and that everyone should accept the role given to him/her by the commun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은진 (2014). 디즈니 영화에 등장하는 마녀 캐릭터의 기호학적 분석: <겨울왕국>과 <말레피센트>. <어린이미디어연구>, 13권 2호, 33-54.
  2. 강준수 (2015). <겨울왕국>에 나타난 여성의 젠더 정체성 연구. <인문콘텐츠>, 37호, 173-192.
  3. 김미숙 (2013). 애니메이션에 있어서의 여성성 표현에 관한 연구 1: 여성 몸짓 언어를 중심으로. <애니메이션 연구>, 9권 4호, 51-76.
  4. 김보현 (2015). <겨울왕국>에 나타난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이야기 형태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11권 1호, 7-20.
  5. 김성도 (2002). <구조에서 감성으로: 그레마스의 기호학 및 일반 의미론의 연구>.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6. 김태영.김정환 (2015).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장르 관습 변화에 관한 연구-<겨울왕국>에 대한 20대 여성 수용자 연구를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30권 1호, 47-88.
  7. 선우현 (2008). 문화산업 논리의 구현체로서 디즈니 만화영화: 문제점과 극복방안. <사회와 철학>, 16호, 101-130.
  8. 성례아.김혜성 (2014).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의 구조와 의미생성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37호,197-219.
  9. 신혜원.백선기 (2014).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젠더 표상과 이데올로기: <라푼젤>에 대한 그레마스 개념과 모형적용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8권 2호, 98-136.
  10. 양세혁 (2014). <겨울왕국> 캐릭터에 나타난 두려움과 왜곡된 욕망의 정신역동. <만화애니메이션연구>, 37호, 159-195.
  11. 오동일.최혜림 (2014).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젠더 담론에 관한 연구: 디즈니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의 여성 캐릭터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15권 5호, 613-620.
  12. 이란.백선기 (2015). 디즈니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의 여성 젠더 표상과 다층적 이데올로기-그레마스 기호학적 분석방법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9권 6호, 172-205.
  13. 이윤종 (2014). 마녀와 왕녀 사이: <겨울왕국>의 흥행으로 보는 한국의 오늘. <문화과학>, 78호, 153-171.
  14. 이준수 (2015). 겨울왕국의 엘사 캐릭터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의 변화: 퀴어 이론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38호, 1-28.
  15. 이혜원.김민정 (2014). <겨울왕국>을 통해 본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환상성. <만화애니메이션연구>, 35호, 107-128.
  16. 정기철 (2014). 자기성장 관점에서 본 <겨울왕국>. <국어문학>, 57호, 225-250.
  17. 최유미 (2008). 애니메이션 여성 캐릭터의 성격과 역할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4권 1호, 135-152.
  18. Chandler, D. (2002). Semiotics for Beginners, 강인규 역(2006). <미디어 기호학>. 서울: 소명출판.
  19. England, D., Descartes, L. & Collier-Meek, M. (2011). Gender role portrayal and the Disney princesses. Sex Roles, 64(7), 555-567 https://doi.org/10.1007/s11199-011-9930-7
  20. Garabedian, J. (2014). Animating gender roles: How Disney is redefining the modern princess. James Madison Undergraduate Research Journal. 2(1). 22-25. http://commons.lib.jmu.edu/jmurj/vol2/iss1/4/
  21. Greimas, A. J. (1986). Semantique structurale. Paris: PUF.
  22. Greimas, A. J. & Courtes, J.(1993). Semiotique: dictionnaire raisonne de la theorie du langage. Paris: Hachette.
  23. Hall, S. (1973). Encoding and Decoding in the Television Discourse. Birmingham: Centre for Cultural Studies.
  24. Herault, A. (1983). Narratologie, Semiotique generale. 홍정표 역 (2003). <서사, 일반기호학>. 서울: 문학과 지성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