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여성의 화장행동, 심리적 특성과 영정사진 화장이미지 선호의 관계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keup Behavior, Psychological Traits and Preference for the Makeup Images of Funeral portrait in Elderly Women

  • 최정순 (예원예술대학교 뷰티패션디자인학과) ;
  • 김경희 (성신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Choi, Jung-Soon (Dept. of Beauty & Fashion of Design, Yewon Arts university) ;
  • Kim, Kyung-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Sungshin Women's University)
  • 투고 : 2015.07.30
  • 심사 : 2015.09.17
  • 발행 : 2016.02.28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lderly women's makeup behavior, psychological traits and demographic variables on their preference for makeup images in daily life(hereinafter called general makeup image) and for the makeup images of their own future funeral portraits. As for the method of research, a research study was implemented by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Seven factors were selected for makeup behavior: fashionability, conformity, subjectivity, instrumentality, interpersonal orientation and conspicuousness. The selected psychological traits were personality, death attitude and depression. Preference for general makeup image and for the makeup image of funeral portrait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four: agreeableness, refinement, individuality and digni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51 female elderly residents in and around Seoul who were in their 60s to 80s. Concerning data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 alpha coefficient,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Concerning the influence of the elderly women's makeup behavior, personality, death attitude, depression and demographic variables on preference for the makeup image of funeral portrait, their preference for an agreeable makeup image was analyzed. Thus, makeup behavior, personality, death attitude and depression were identified as the variables to exert a significant influence on preference for the makeup images of funeral portrai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help make makeup for funeral portrait entrenched as a part of the beauty industry an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beauty industry.

키워드

참고문헌

  1. 기백석. (1996). 한국판 노년 우울 척도 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 신경정신의학회지, 35(2), 198-307.
  2. 김명리, 김주덕. (2005). 화장행동이 갖는 심리학적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화장품학회지, 13(1), 127-134.
  3. 김지현. (2008). 죽음에 대한 공포와 수용 및 죽음 대처 유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지현, 민경환. (2010). 노년기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대처 유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4(1), 11-27.
  5. 김지현, 김복환, 하문선. (2011). 간편형 한국어 BFI(Big Five Inventory)타당화 연구. 인간이해, 32(1), 47-65.
  6. 노선옥. (2011). 대인지향성향, 생활만족도와 헤어스타일행동 및 화장동기의 관계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박선희. (2008). MBTI와 여성의 화장 심리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뷰티학회지, 6(3), 196-203.
  8. 백경진, 김미영. (2004). 화장행동과 영향 변인연구 : 의복관여도, 연령, 얼굴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7), 892-903.
  9. 서은혜. (2012). 자기애성형, 신체의식과 외모관리행동 및 화장의 심리적 효용의 관계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엄인숙. (2008).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중년과 노년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염인경, 김미숙. (2004). 성격 유형 및 외모 관련 특성에 따른 토탈 코디네이션 연구. 복식문화연구, 12(6), 1045-1059.
  12. 이건희, 한보연. (2012). 화장이 노년기 여성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패션과 니트, 10(2), 57-65.
  13. 이은주. (2013). 노년의 여가스포츠 활동과 사회적지지. 우울감 및 죽음불안의 구조적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원진, 김정옥. (2003). 노년여성의 화장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8(2), 45-60.
  15. 이화순. (2002). 화장의 사회.심리적 기대효과에 따른 화장이미지와 자의식에 관한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혜원, 김미영. (2007). 의복관여에 따른 헤어관여와 헤어태도의 차이 및 헤어 실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9(2), 69-83.
  17. 임경복. (2014). 뉴 실버세대의 자기효능감과 외모관심이 외모관리행동과 의복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2), 163-175.
  18. 임미연. (2005). 화장행동과 헤어칼라 및 자의식이 사회 심리적 기대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7(2), 121-135.
  19. 임정미. (2011). 노년기 여성의 화장관심과 화장후 심리적 기대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미용학회지, 7(2), 189-196.
  20. 장미영. (2012). 영정사진 찍는날 -문순태 대나무꽃이 피다-. 연린전북, 154, 60-64.
  21. 정인과, 곽동일, 조숙행, 이현수. (1997). 한국형 노년우울검사 표준화 연구. 노년정신의학, 1(1), 61-72
  22. 최수경. (2007). 성인여성의 인구 통계적 변인과 심리적 특성이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 57(8), 60-74.
  23. 최수경, 강경자. (2007), 여성의 화장행동이 화장 후 심리적 기대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13(1), 155-162.
  24. Costa, P., McCrae, T. & Robert R. (1992). Normal personality assessment in clinical practice : The NEO Personality Inventory. Psychological Assessment, 4(1), 5-13. https://doi.org/10.1037/1040-3590.4.1.5
  25. Gosling, S. D., Rentfrow, P. J. & Swann, W. B. (2003). A Very Brief measure of the Big-Five personality domain,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7(6), 504-528. https://doi.org/10.1016/S0092-6566(03)00046-1
  26. Graham, J. A., Kligman. A. M. (1984). Cosmetic therapy for the elderly. J. Soc. Cosmet. Cbem, 35(14), 133-145.
  27. Hoelter, J. W. (1979). Multidimensional treatment of fear of death.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5), 996-999. https://doi.org/10.1037/0022-006X.47.5.996
  28. John, O. P., Srivastava, S. (1999). The Big-Five trait taxonomy: History, measurement,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In L. A. Pervin & O. P. John (Eds.),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Guilford Press. 2, 102-138.
  29. Wong Paul, T. P., Reker, G. T. & Gesser, G. (1994). The death attitude profile-revised(DAP-R) :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attitudes towords death. Aging and Healt Care, 40(2), 121-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