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and Employment Preparation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 전공만족도, 취업준비도간의 구조적 관계

  • 이명훈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기술교육과)
  • Received : 2016.01.23
  • Accepted : 2016.03.12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and employment preparation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and employment preparation of them. The population was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sent by mail. A survey questionnaire consists of 38 items. 39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examine structural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silience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was high. In the domain of resilience, 'diversity of interest' was the highest, and 'emotional management' was the lowest. And resilience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Resilience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Second, major satisfaction of them was moderate. In the domain of major satisfaction, 'major prospect' was the highest, and 'satisfaction of societal dimensions' was the lowest. And major satisfaction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Major satisfaction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Third, employment preparation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was moderate. In the domain of employment preparation, 'employment attitude' was the highest, and 'job performance competency' and 'employment information' were moderate. And employment preparation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Employment preparation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Forth, resilience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preparation. Also major satisfaction of them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employment prepar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n pathway from resilience to employment preparation. Lastly, a multi-group analysis by school type revealed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did not differ by school type.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 전공만족도, 취업준비도간의 구조적 관계를 구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공업계 고등학생이며, 440명의 공업계 고등학생들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회수된 409부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39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은 높았으며, 영역별로는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이 가장 높았으며, 감정조절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그리고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일반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마이스터고 학생이 특성화고 학생보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과성적이 높은 학생이 회복탄력성이 더 높았다. 둘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전공만족도는 보통이었으며, 영역별로는 전공 전망이 가장 높았으며, 사회차원 만족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그리고 공업계 마이스터고 학생이 특성화고 학생보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과성적이 높은 학생이 전공만족도가 더 높았다. 셋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취업준비도는 보통이었으며, 하위 영역 중 취업태도가 매우 높았으며, 직무수행능력과 취업정보는 보통이었다. 그리고 공업계 마이스터고 학생이 특성화고 학생보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과성적이 높은 학생이 취업준비도가 더 높았다. 넷째,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은 직접적으로 학생들의 취업준비도에 영향을 미칠뿐 아니라 전공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취업준비도에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다중집단분석을 통하여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회복탄력성과 전공만족도, 취업준비도의 관계는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 모두에 적용되는 모형임이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영란(2015). 특성화 고등학교의 취업 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태도성숙도 및 진로교육만족도의 조절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 고완숙(2015). 취업준비대학생이 지각한 취업장벽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 교육부(2015). 고졸 취업률 6년 연속 상승 - 2015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등 고졸 취업률 발표. 교육부.
  4. 김병진(2008). 홀랜드식 검사에 의한 직업유형 일치정도와 직무만족 및 직무성취와의 관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5. 김윤혜(2015). 남자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정서지능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6. 김주환(2011).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위즈덤하우스.
  7. 김치성(2012). 졸업예정자의 직업가치, 전공만족도, 공인자격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8. 노정희, 최진영, 장지영(2015). 관광 관련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경험한 진로교육, 전공만족도, 진로결정상태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관광학연구, 39(7), 123-140.
  9. 박인영(2015). 대학생의 부모애착, 성인애착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0. 변은경, 박성희(2014). 전문대학 학생의 전공만족도, 취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1), 323-330. https://doi.org/10.5762/KAIS.2014.15.1.323
  11. 서미경(2015).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고등학생의 학교적응 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2. 서민화(2011). 고등학생의 전공 학업성취도 및 전공만족도 상하집단 판별요인 탐색.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3. 성동제(2015). 위기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과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4. 손규태(2015). 대기업 종사자가 인식한 직무성과와 경력개발지원, 조직몰입, 경력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5. 신다혜(2013). 진로성유형에 따른 특성화고 남학생의 고정관념과 전공만족,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6. 신선아(2015). 청소년의 애착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7. 신혜정(2014). 상업계 특성화고 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이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8. 양혜주, 여인성, 원도연(2013). 무용학과 대학생의 멘토링 관계가 회복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2(5), 1089-1102.
  19. 여지영, 박태영(2013).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관한 연구 : 회복탄력성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0(8), 121-145.
  20. 오세령(2014).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1. 오은숙, 최중진(2014). 해결중심자기성찰 집단상담이 청소년의 자기성찰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해결중심학회지, 1(1), 53-78.
  22. 우종필(2012).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아카데미.
  23. 유맑음(2013). 특성화고등학교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의식.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4. 이명훈(2007).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 변인. 대한공업교육학회, 32(2), 1-22.
  25. 이명훈, 조동헌(2011).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 변인. 직업교육연구, 30(1), 291-311.
  26. 이미라(2014). 전공만족도, 자아탄력성 및 취업준비스트레스와의 관계.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7. 이병임(2014). 특성화고와 일반고 학생의 창의적 인성과 회복탄력성의 관계. 창의력교육연구, 14(1), 35-48.
  28. 이용주, 장정주, 정봉교(2012). 긍정성 증진훈련이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2(1), 202.
  29. 이제경(2004). 한국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 심리적 특성 및 개인배경변인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30. 이지혜, 정철영(2010).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취업장벽과 관련 변인.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2(1), 25-47.
  31. 이진수(2014). 전공 만족도에 따른 대학생 학년별 취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13-219.
  32. 이진원(2014). 고등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3. 이찬주, 주영아(2014). 부모공감 및 회복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아동학대 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6), 121-145.
  34. 이한준(2014). 고등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회복탄력성 및 학업소진의 관계.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5. 이현경(2012). 지각된 부모의 공감능력이 후기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6. 장숙희(2014). 고등학생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생의 공감능력과 회복탄력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7. 장이슬(2015).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8. 전정숙(2015). 고등학생의 회복탄력성과 학업적 실패내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9. 전현경(2002). 학습 양식과 대학 전공과의 상관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40. 정민주(2014). 4년제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열등감과 취업불안 및 전공만족도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26(7), 335-354.
  41. 정은옥(2006). 심리적 탄력성 척도의 타당화.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42. 조규형(2014).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예정자의 취업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43. 조희진(2013). 무용전공학생들의 자아탄력성과 무용만족도 및 무용지속의도 간 구조관계 검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44. 한국고용정보원(2009). 2009 대학생 취업준비도 검사 개발 연구보고서(1차년도). 한국고용정보원.
  45. 한국심리학회(2014). 심리학용어사전. 한국심리학회.
  46. 한예정(2014). 대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와 직업가치관에 따른 수업참여도와 전공만족도, 취업준비행동과의 영향관계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47. 허균(2013). 수산해양계열 고등학생의 전공만족, 진로탐색 자기효능감 및 진로탐색행동 관계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5(6), 1306-1314. https://doi.org/10.13000/JFMSE.2013.25.6.1306
  48. 허준(2013). Amos 구조방정식모형. 한나래아카데미.
  49.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50. Oshio, A. et al. (2003). Construct validity of the adolescent resilience scale. Psychological report, 93, 1217-1222. https://doi.org/10.2466/pr0.2003.93.3f.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