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op Art shown in Nam June Paik's Media Art Focused on 'Media Extension' and 'Audience Participation' -

백남준 미디어 아트에 나타난 팝 아트의 특성 연구 '매체 확장'과 '관객 참여'를 중심으로 -

  • 홍미희 (한밭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6.02.01
  • Accepted : 2016.03.03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An interest in 'ordinary things' has been increased because public things become issues as the influence of mass media including mass production has been increased in the 1950s. And this phenomenon drew an art style of pop art in the world of art. Media art means that the fine arts are expressed by means of media such as TV and monitors because media has been developed in the modern society. It started emerging through the artists such as Nam June Paik, Bill Viola, and others in the 1960s. Recently, it can be easily accessible not only at the art museum but also in everyday life such as cafe, park, fashion show, performance, and etc. This study analyzed that how many different techniques of pop art were borrowed by especially Nam June Paik media art and how they influenced it. Accordingly, this study respectively analyzed expressive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of both pop art and Nam June Paik's media art and then searched for their similarities based on the analysis. Both Nam June Paik's media art and pop art extended media by using various ordinary things in everyday life neglected previously as a material. Next, the characteristic of pop art shown in Nam June Paik's media art is participation with audience. While the arts in the past were high-level culture that only certain people could understand and enjoy, pop art or Nam June Paik's media art is an art trend that has led the popularity of fine arts and audience participation in order to let diverse classes enjoy without any specific knowledge.

1950년대 대량생산을 포함한 대중매체의 영향력이 증가함에 따라 '대중적'이라는 표현이 이슈가 되면서 '일상적인 것'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이 미술계에서는 팝아트라는 예술양식을 도출하였다. 미디어 아트는 현대에 매체가 발달하면서 미술을 TV 나 모니터와 같은 미디어를 이용하여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60년대 백남준, 빌 비올라 등의 작가들을 통해 부각되기 시작하여 최근에는 카페, 공원, 패션쇼, 공연 등 우리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팝 아트의 다양한 기법이 미디어아트에서 어떻게 차용되고 영향을 주었는지를 백남준 작품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따라서 우선 팝 아트와 백남준 미디어 아트의 표현기법과 특성들에 대해서 각각 분석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이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점을 찾아보았다. 백남준 미디어 아트와 팝 아트는 기존에 등한시 했던 다양한 일상의 평범한 것들을 소재로 사용함으로써 매체를 확장하였다. 그 다음으로 백남준 작품에 나타난 팝 아트의 특성은 관객의 참여다. 과거의 예술은 특정인만이 이해할 수 있고 누릴 수 있는 고급 문화였는가 하면, 팝아트나 백남준 미디어 아트는 다양한 계층이 특정한 지식이 없이도 즐길 수 있도록 예술의 대중화와 관객의 참여에 앞장선 예술사조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우, 워홀과 친구들, 미술문화, 2007
  2. 김홍희, 백남준과 그의 예술, 디자인하우스, 1992
  3. 김홍희, 백남준 Happening Video Art, 디자인하우스, 2000
  4. 이경희, 白南儁 이야기, 열화당, 2004
  5. 진중권, 미디어 아트-예술의 최전선, 휴머니스트, 2009
  6. 이용우, 비디오 예술론, 문예마당, 2005
  7. 이용우, 백남준 그 치열한 삶과 예술, 열음사, 2000
  8. Battcock, Gregory, 채장석 역, 포스트모더니즘과 비디오 예술, 인간사랑, 2005.
  9. Ortega y Gasset, Jose, 예술의 비인간화, 안영옥 역,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4
  10. 루시R. 리파드, 전 경희 엮, 팝아트, 미진사, 1993
  11. Tomkins, Calvin, 송숙자 역, 아방가르드 예술의 다섯 대가들, 현대미학사, 2000.
  12. Millet, Catherin, 박명욱 역, 현대미술, 영림카디널, 2000
  13. 마크 트라이브, 뉴미디어 아트, 마로니에북스, 2008
  14. 락시미 바스카란, 정무환 역, 한권으로 읽는 20세기 디자인
  15. 실비아 마르틴, 안혜영, 비디오 아트, 마로니에 북스, 2010
  16. 아놀드 하우저, 최성만 역, 예술의 사회학, 한길사, 1996
  17. 노수진, 백남준과 빌 비올라의 비디오아트 작품 비교연구, 부산대학교, 2007
  18. 박혜경, 백남준의 비디오 아트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19. 배산빈, 팝아트에서의 일상성에 관한연구, 강원대학교, 2007
  20. 신인영, 앤디워홀을 중심으로 한 팝아트 기법연구, 홍익대학교교육대학원, 2007
  21. 조매선, 매체확장으로 본 백남준 예술의 독자성, 홍익대학교 교육 대학원, 2007
  22. 홍명진, 비디오 아트의 시간성에 대한 연구 : 들뢰즈(G. Deleuze)의 시간 이미지(Time-Image)를 중심으로, 홍익대 대학원, 2004
  23. 홍성욱, 팝아트가 그래픽 디자인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