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국민건강보험공단(2011). 2002-2009년도 노인성 질환자 진료추이.
- 권성연(2015).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의미 범주 단서에 따른 생성이름대기 수행력 비교.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수정(2007). Allen Cognitive Level Screen을 적용한 인지손상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정순(2000). 치매 환자 돌봄 전략에 관한 일 고찰.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7(2), 165-181.
- 김혜진(2014). 지역사회 거주노인의 인지장애, 알츠하이머치매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나혜원(2006). 알츠하이머와 혈관성 치매환자의 음악적 잔존능력 비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류현주(2011). 정상, 경도인지장애, 초기치매의 SNSB영역별 점수비교.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대한치매학회(2011). 치매 : 임상적 접근. 2판, 서울, 아카데미아.
- 미국정신의학회 (1994). 진단 및 통계편람 4판.
- 박미영(2010). 치매환자의 실행기능 감퇴에 따른 미래계획기억 수행 :알쯔하이머형 치매와 혈관성 치매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박재설, 강연욱, 장은주 등(2006). 혈관성 치매와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단어 유창성 비교 : 군집화와 전환. 언어청각장애연구, 11(3), 99-112.
- 보건복지부(2012). 치매유병률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 서울대학교병원(2009). 치매노인 유병률 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병원.
- 세계보건기구(1992). 국제 질병 분류 10판(ICD-10).
- 손석일(2013). 전산화인지재활 적용이 뇌손상환자의 인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유연정(2014).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혈관성 치매 환자의 단어쓰기 능력 비교.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석기, 이호택, 김영동 등(2000). 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scale과 MMSE-K 및 기타 노인기능 평가 도구들 간의 상관관계. 가정의학회지, 21(7), 876-883.
- 이윤정, 김신미(2003). 신체적 활동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23(4). 17-31.
- 이은희(2005). 몬테소리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대인관계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노인복지연구. 30, 237-261.
- 이인숙, 이광옥, 고영(2012). KDSQ-C의 대상노인과 보호자 측정 간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3(4), 446-450.
- 통계청(2011). 고령자통계.
- 통계청(2012). 2012년 치매유병률 조사. 보건복지부.
- 함민주, 황윤희, 엄숙 등(2010). 전산화인지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전연구.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2(2), 41-49.
- 홍승연(2013). 복합운동중재가 치매환자의 신체기능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24주 파일럿연구. 한국노년학, 33(2), 257-273.
- Asher IE(1996). Occupational therapy assessment tool: An annotated index. Am Occup Ther Assoc.
- Cahn-Weiner DA, Malloy PF, Rebok GW, et al(2003). Results of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of memory training for mildly impaired Alzheimer's disease patients. Appl Neuropsychol, 10(4), 215-223. https://doi.org/10.1207/s15324826an1004_3
- Davis RN, Massman PJ, Doody RS(2001). Cognitive intervention in Alzheimer's disease: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study. Alzheimer Dis Assoc Disord, 15(1), 1-9. https://doi.org/10.1097/00002093-200101000-00001
- Katz N, Elazar B, Itzkovich M(1995). Construct validity of a geriatric version of the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in Geriatric. Phys Occup Ther Geriatr, 13(3), 31-46. https://doi.org/10.1080/J148v13n03_03
- Koltai DC, Welsh-Bohmer KA, Schmechel DE(2001). Influence of anosognosia on treatment outcome among dementia patients. Neuropsychol Rehabil, 11(3-4), 455-475. https://doi.org/10.1080/09602010042000097
- Loewenstein DA, Acevedo A, Czaja SJ, et al(2004). Cognitive rehabilitation of mildly impaired Alzheimer's disease patients on cholinesterase inhibitors. Am J Geriatr Psychiastry, 12(4), 395-402. https://doi.org/10.1097/00019442-200407000-00007
- Marker K(2007). COGPACK. The cognitive training package manual(Version 7.9). Heidelberg & Ladenbur, Marker Software.
- Marker KR(2010). COGPACK. Program information. Heidelberg & Ladenburg, Marker Software.
- Petersen RC, Doody R, Kurz A, et al(2001). Current concepts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rch Neurol, 58(12), 1985-1992. https://doi.org/10.1001/archneur.58.12.1985
- Petersen RC(2004). Mild cognitive impairment as a diagnostic entity. J Intern Med, 256(3), 183-194. https://doi.org/10.1111/j.1365-2796.2004.01388.x
- Quayhagen MP, Quayhagen M, Corbeil RR, et al(1995). A dyadic remediation program for care recipients with dementia. Nurs Res, 44(3), 153-159.
- Quayhagen MP, Quayhagen M, Corbeil RR, et al(2000). Coping with dementia evaluation of four nonpharmacologic intervention. Int Psychogeriatr, 12(2), 249-265. https://doi.org/10.1017/S1041610200006360
- Requena C, Lopez Ibor MI, Maestu F, et al(2004). Effects of cholinergic drugs and cognitive training on dementia. Dement Geriatr Cogn Disord, 18(1), 50-54. https://doi.org/10.1159/000077735
- Riekse RG, Leverenz JB, McCormick W, et al(2004). Effect of vascular lesions on cognition in Alzheimer's disease: a community-based study. J Am Geriatr Soc, 52(9), 1442-1448. https://doi.org/10.1111/j.1532-5415.2004.52405.x
Cited by
- 국내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산화 인지 재활 적용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vol.5, pp.4, 2017, https://doi.org/10.15268/ksim.2017.5.4.0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