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종선, 박진국, 장석압(2007). 어깨 불안정성에 대한 고찰. 한국웰니스학회지, 2(2), 31-39.
- 김현정, 장철, 배성수(2003). 관절가동운동이 경부통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5(3), 65-90.
- 문상복, 이원재, 홍창배 등(2007). 경부 신전근력운동 및 맥켄지(Mckinzie) 경부운동이 경부통 환자의 경부근력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6(3), 687-698.
- 박주현(2012). 에비안스-함베르크 스트레칭과 정적 스트레칭이 머리전방자세 개선에 미치는 효과.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배성수(2007). 턱을 앞으로 내민자세와 견관절 불안정의 치료. 대한물리의학회지, 2(2), 219-228.
- 송민옥, 강성헌, 이상호 등(2014). 균형증진 훈련이 어깨 기울기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2(1), 91-100. https://doi.org/10.15268/KSIM.2014.2.1.091
- 원동용, 김소연, 김요셉(2011). 목 폄 근력강화운동과 가슴 폄 근력강화운동이 머리전방자세와 목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18(2), 41-49.
- 유인식(2010). 현대인의 질환, 거북목 증후군(일자목)의 예방과 운동. 한국강구구조학회지, 22(4), 80.
- 윤세희(2014). 견부복합운동과 바른 자세가 전방 머리자세 환자의 목 통증과 경추 만곡도 및 자세개선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대희(2011). 균형운동과 신장운동이 두부 전방전위 자세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이대희, 임백빈(2013). 능동적 신장운동과 동적안정성운동이 거북목자세 경도 이상 환자의 족저압력분포와 자세에 미치는 효과, 운동학학술지, 15(1), 131-143.
- 정연우(2006). 만성경부통증 환자에 대한 Mckenzie 운동이 기능 회복과 두부전방자세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1(1), 93-108.
- 조혜영(2011). 경부안정화운동방법에 따른 만성경부통 환자 경부의 최대 근력과 근지구력 및 단면적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최영준, 황룡(2011). 경추 및 흉추부 스트레칭 운동과 근력강화 운동프로그램이 머리전방자세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0), 293-300. https://doi.org/10.5392/JKCA.2011.11.10.293
- 한상완, 김재윤(2007). 6주간 슬링운동과 매트운동이 경부 협응력과 근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물리치료학회지, 3(1), 37-46.
- 홍은아(2011). 견갑골 기능이상을 가진 야구선수의 안정화운동이 견갑골 위치와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Cram J, Kasman G, Holtz J(1998). Introduction of surface electromyography. Gaithersburg, MD: Aspen Publishers.
- Culham E, Peat M(1993). Functional anatomy of the shoulder complex. J Orthop & Sports Phys Ther, 18(1), 342-350. https://doi.org/10.2519/jospt.1993.18.1.342
- Finsen L(1999). Biomechanical aspects of occupational neck postures during dental work. Int J Industrial Ergonomics, 23(5-6), 397-406. https://doi.org/10.1016/S0169-8141(97)00061-9
- Falla D(2007). Effect of neck exercise on sitting posture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Phys Ther, 87(4), 408-417. https://doi.org/10.2522/ptj.20060009
- Falla D, Farina D, Kanstrup Dahl M, et al(2008). Pain-induced changes in cervical muscle activation do not affect muscle fatigability during sustained isometric contraction. J Electromyogr Kinegiol, 18(6), 938-946. https://doi.org/10.1016/j.jelekin.2007.05.007
- Ferreri PH, Ferreira ML, Maher CG(2006). Specific stabilization exercise for spinal and pelvic pain: A systematic review. Aust J Physiother, 52(2), 79-88. https://doi.org/10.1016/S0004-9514(06)70043-5
- Fernandez-de-las-Penas C, Alonso-Blanco C, Cuadrado ML, et al(2006). Forward head posture and neck mobility in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A blinded controlled study. Cephalalgia, 26(3), 314-319. https://doi.org/10.1111/j.1468-2982.2005.01042.x
- Good M, Stiller C, Zauszniewski JA, et al(2001). Sensation and distress of pain scales: Reliability, validity, and sensitivity. J Nurs Meas, 9(3), 219-238.
- Kirkesola F(2004). SET advanced level 2-U. The upper body, course book. SET Kompetance AS, Norway, 3-17.
- Mckenzie RA(1981). The lumbar spine mechanical diagnosis and therapy. Waikanae, Spinal Publications Limited.
- Mckenzie RA(1990). The cervical and thoracic spine. Waikanae, Spinal publications Limited.
- O'Leary S, Falla D, Jull G(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ficial muscle activity during the craniocervical flexion test and clinical feature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Man Ther, 16(5), 452-455. https://doi.org/10.1016/j.math.2011.02.008
- Phillips N(1999). Functional rehabilitation of sports and musculoskeletal Injuries. Physiother, 85(1), 52. https://doi.org/10.1016/S0031-9406(05)66066-X
- Salahzadeh Z, Maroufi N, Ahmadi A, et al(2014). Assessment of forward head posture in females: observational and photogrammetry methods. J Back Musculoskelet Rehabil, 27(2), 131-139. https://doi.org/10.3233/BMR-130426
- Sobush DC, Simoneau GG, Dietz DE, et al(1996). The lennie test for measuring scapular position in healthy young adult females: A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J Orthop Sports & Phys Ther, 23(1), 39-50. https://doi.org/10.2519/jospt.1996.23.1.39
Cited by
- 지속적인 전방머리자세 시 머리-목 관절 위치 감각의 변화 vol.5, pp.2, 2017, https://doi.org/10.15268/ksim.2017.5.2.011
- 수동적 어깨뼈정렬운동과 유지이완기법이 대학생의 머리척추각(C1~C7)에 미치는 영향 비교 vol.26, pp.2, 2019, https://doi.org/10.26862/jkpts.2019.09.26.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