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Perspectives: Reconceptualization of Community Dance Based on Community of Practice Theory and Practice

무용패러다임의 진화: 실천공동체의 이론과 사례를 근거로 한 커뮤니티댄스의 재개념화

  • Received : 2016.03.31
  • Accepted : 2016.06.14
  • Published : 2016.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 extensive and evolved conceptual model of community dance reflecting new tendencies, practice, and various values. For the purpose, efforts were made to categorize common properties based on various cases using qualitative data collection about 10 community dance specialists. The Practice of Community theory of Wenger(1991) has contributed to conceptualization including the new perspective on community dance, which has been the theoretical framework. Firstly, 'a community' as a basic premise is self-organizing, interactive, regional and creative. Secondly, 'practice' in community dance means openness, focused on participants, improvisation and nmind-body centering, value-oriented processes and connectivity with daily lives. Thirdly, 'social learning' can be interpreted within the framework of joint enterprise and domain, quality and status of dacne, and dance literacy embodied as a shared repertoire. Lastly, identity of community dance has been expanding the concept area as 'dance for all' reflecting ongoing properties and future-oriented values in that it pursues healing arts and relationship, amateurism collaborating with dance artists, combina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and civic creativity, cultural diversity and social integration, and typ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이 연구는 기존의 커뮤니티댄스에 대한 협의의 개념으로부터 현장의 새로운 경향과 실천, 다양한 가치들을 반영한 보다 광의적인 해석과 진화된 개념모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커뮤니티댄스 전문가 10명의 실천사례로부터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토대로 공통속성을 범주화하였다. 또한 Wenger(1991)의 실천공동체(Commmunity of Practice: CoP)의 이론적 관점에서 커뮤니티댄스의 개념을 논의하였다. 첫째, 커뮤니티댄스 CoP의 기본전제로써 '공동체'는 자생적, 상호적, 지역적, 창의적인 속성을 포함한다. 둘째, 커뮤니티댄스 CoP에서 '실천'의 의미는 제약이 없는 개방성, 대상 중심적 접근, 마음-몸 작용에 기초한 즉흥성, 가치지향의 과정중심, 일상적 삶과의 연계성을 포함하고 있다. 셋째, 커뮤니티댄스 CoP를 통한 '사회적 학습'은 공통의 관심사와 목표, 무용의 질과 위상, 공동자산으로써 체화된 댄스리터리시 등 사회적 측면의 학습 차원을 보여준다. 넷째, 커뮤니티댄스 CoP의 '정체성'은 예술치유와 관계회복, 예술가와 협업하는 아마추어리즘, 민주적 시민의식과 공민적 창조성의 결합, 문화다양성과 사회통합, 지속가능발전의 '모두를 위한 춤'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현재진행형 속성과 미래지향적 가치를 모두 반영하며 그 개념이 확장되고 진화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