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내러티브가 일반고 학생의 수학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mathematics narrative's influences on affects about mathematics of ordinary high school students

  • 투고 : 2016.02.15
  • 심사 : 2016.03.25
  • 발행 : 2016.03.30

초록

교육부는 실생활 또는 판타지 맥락의 이야기를 활용하여 수학적 지식의 구성 동기를 제공하고 흥미를 유발하려는 스토리텔링을 주창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수학은 실생활이나 판타지 맥락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기 어려운 내용을 포함하기 때문에 그런 경우 수학적 사실들이 어떤 점에서 흥미로운지를 수학 내러티브로 구성하여 교수학습 하는 것이 긍정적 수학 정서 형성을 위한 한 가지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한 일반고에서 치러진 4회의 정기고사 문항들을 소재로 개발한 4건의 수학 내러티브를 정기고사가 끝날 때마다 한 건씩 그 시험을 치른 한 명 내지 5명의 학생들과 논의한 사례를 분석하여 수학 내러티브가 일반고 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서에 미치는 영향과 그 개선 방향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 4건의 수학 내러티브에 대한 논의에 꾸준히 참여한 한 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서가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 학생의 변화와 다른 4명의 학생들의 반응으로부터 수학 내러티브의 개발과 적용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Ministry of Education has proposed storytelling in context of the actual or fantasy for the sake of fun and easy mathematics education. However most of school mathematics is not associated with the real life. In that case it could be one method for cultivating positive affects about mathematics that we make up and apply mathematics narrative with which we can reveal what makes mathematics interesting. In this study, among every problem in every examination in four regular examination that targeted the first-year of one ordinary high school in Seoul, I elected a total of four problems, and wrote a total 4 of mathematics narratives. I analysed a case on a few students with which I had conversations after teaching those 4 number of mathematics narratives, and studied mathematics narrative's influences on affects about mathematics of ordinary high school students. As a result, from one of a few students we could observe that his mathematical emotional mind had varied positively. From the student and the other students who had been engaged I discussed some implications and some points to be improved about making up and applying mathematics narrative for cultivating positive affects about mathematics.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 (2012).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 2012.1.10. 보도자료.
  2. 교육부 (2014). 2014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2014.11.28. 교육부 보도자료.
  3. 교육부 (2015). 제2차 수학교육 종합 계획. 2015.3.16. 교육부 보도자료의 첨부 문서.
  4. 나귀수, 박경미, 박영은 (2016). 탈북학생과 지도교사의 수학 교수.학습 인식 조사. 수학교육학연구, 26(1), 63-77.
  5. 박규홍, 이재성, 박상의, 김지선, 김유정 (2012). "실생활연계형" 스토리텔링 수학 교과서의 개념과 단원계발의 사례 : 도형의 방정식 단원을 중심으로. 2012년도 고등학교 수학 스토리텔링 모델 교과서 개발 공청회 발표자료.
  6. 이기돈 (2014). 수학 내러티브의 교육적 활용.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7. 이기돈, 최영기 (2014). 수학 내러티브의 교육적 활용. 수학교육학연구, 24(3), 443-465.
  8. 이봉주, 송미영 (201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나타난 초.중.고등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의 성차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1), 65-84.
  9. 이용숙, 김영천 (1999).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10. 장혜원 (2013). '스토리텔링수학'도 해야 하나요? 교수신문 2013.3.4., Retrieved from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26773).
  1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 보고서. 연구보고 RRE-2013-6-1.
  1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201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인지적.정의적 특성 및 변화 추이. 연구보고 RRE-2014-8.
  1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수학 성취 및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교육맥락변인의 영향: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PISA 연계 데이터 분석. 연구보고 RRE-2015-8.
  14. Abbott, H. P. (2010). 서사학 강의. (우찬제, 이소연, 박상익, 공성수 역). 서울: 문학과 지성사. (영어 원저 2008년 출판).
  15. Bruner, J. (1990). Acts of meaning. Harvard University Press.
  16. Bruner, J. (1991). The narrative construction of reality. Critical Inquiry, 18(1), 1-21. https://doi.org/10.1086/448619
  17. Bruner, J. (2005). 교육의 문화. (강현석, 이자현 역). 서울: 교육과학사. (영어 원저는 1996년 출판)
  18. Labov, W., & Waletzsky, J. (1967). Narrative analysis : oral version of personal experience. In June Helm (Eds.), Essays on the verbal and visual arts (12-44). Seattle :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 Mazur, B. (2005). "Eureka" and other stories. Retrieved from http://thalesandfriends.org/mykonos-conference/bios-and-abstracts.
  20. Movshovits-hadar, N. (1988). School mathematics theorems - an endless source of surprise.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8(3), 3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