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20세기 초에 채집된 한반도 고표본 (I)

Historic plant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rly 20th century (I)

  • 임형탁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손현덕 (목포자연사박물관) ;
  • 임재석 (전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투고 : 2016.02.02
  • 심사 : 2016.03.22
  • 발행 : 2016.03.31

초록

우리나라 고표본의 대부분은 한국전쟁 중 소실되어서 국내에 남아 있지 않으나 도쿄대학교의 표본관에는 이들 표본의 중복표본(duplicate)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쿄대학교 표본관에 수장되어 있는 중복표본을 조사하여 미동정 표본을 동정하였으며, 우리나라 초기 분류학 역사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이들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이들 중복표본의 한 세트를 도쿄대학교 표본관의 기증을 통해 확보하여 전남대 표본관과 국립생물자원관 표본관에 수장하였다.

Many of the historic plant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rly 20th century deposited in herbaria in Korea were destroyed during the Korean War. However, duplicates of the specimens deposited in the Herbarium of the University of Tokyo (TI) remained unharmed. We examined historic plant specimens, identified undetermined specimens, and made a list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n the early taxonomic history of Korea. One set of duplicate specimens was donated by TI and deposited into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erbarium (CNU) and into the herbarium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 Korea (KB).

키워드

참고문헌

  1. Chung, T. H. 1956. Korean flora. Sinjisa. Seoul. Pp. 721-733. (in Korean)
  2.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982-989. (in Korean)
  3. Im, R. J. 1999. Flora Coreana. Th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Pp. 70-95. (in Korean)
  4. Korea National Arboretum. 2015.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5. Lee, T. 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Pp. 279-294. (in Korean)
  6. Lee, W. 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1179-1191. (in Korean)
  7. Park, M. K. 1974. Keys to the herbaceous plants in Korea (Dicotyledoneae). Jungumsa, Seoul. Pp. 512-517. (in Korean)

피인용 문헌

  1. 20세기초에 채집된 한반도 고표본 (II) vol.49, pp.3, 2019, https://doi.org/10.11110/kjpt.2019.49.3.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