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내 전통기록물 정보시스템 현황 조사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Records Information System

  • 양기덕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 신다예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투고 : 2016.11.20
  • 심사 : 2016.12.19
  • 발행 : 2016.12.31

초록

전통기록물 정보시스템은 그동안 보존을 위해 공개되지 못한 전통기록물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전통기록물에 대한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통기록물 정보시스템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전통기록물의 유통 및 서비스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전통기록물 정보시스템의 목록을 구축한 후, 운영 주체별로 분류하고 정렬하였다. 또한 전통기록물 정보시스템의 콘텐츠를 시기별, 형태별, 유형별로 나누어 조사하였으며, 검색 필드와 분류 필드의 제공 여부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정보시스템을 이용대상별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조사 결과, 105개의 전통기록물 정보시스템이 다양한 형태의 전통기록물을 서비스하고 있으나, 서지정보, 해제, 원문이미지, 원문텍스트, 번역본을 전부 제공하는 정보시스템은 16.1%에 불과했으며, 상세검색을 제공하는 곳은 49.5%로 아직 국내 전통기록물의 유통과 서비스 현황이 미흡하며 전통기록물 정보시스템을 보완해야할 부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raditional records information system has greatly improved accessibility to users by providing internet access to the digitized form of traditional records, access to which have previously been restricted for the purpose of preserv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cessibility and serviceability of Korean traditional records by examining current traditional record information systems in Korea. After compiling a list of traditional records information systems, which were grouped by operating agency, we analyzed them by coverage period, document type, and content format as well as examining search options and browse categories. We also categorized and examined the information systems by user type. The result showed that out of 105 traditional records information systems serving various content types and services, only a fraction(16.1%) provide a comprehensive information that includes bibliographic information, annotated description, content image, content text, and translated text, and less than a half(49.5%) provide a detailed search, all of which point to a less than optimal conditions for access to traditional records and suggest a strong need for improved traditional records information systems in Ko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순애. 1997. 한국 고문헌 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전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1(4): 83-112.(Kang, Soon Ae. 1997. "The Project and Prospects of Old Documents Information System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1(4): 83-112.)
  2. 강순애. 2007. 한국 민간 소장 고문헌 DB 구축과 공동활용 방안. 서지학연구, 38(0): 5-46.(Kang, Soon Ae. 2007. "The Construction and Common Use of Private Old Document DBs in Korea."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38(0): 5-46.)
  3. 김길수. 2014. 고기록물(古記錄物) 정보체계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7(3): 199-220.(Kim, Gil-Soo. 2014.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Information System for the Old Record Materials." Journal of Korean Associas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17(3): 199-220.)
  4. 김명자. 2012. 현장의 소리: 한국학자료센터, 한국학 지식콘텐츠를 구축하다. 복현사림, 30(0): 183-191.(Kim, Myunja. 2012. "Sound of the field: Korean Studies Resource Center, building Korean knowledge content." the Bokhyeon Sariim. 30(0): 183-191.)
  5. 김승우. 2015. 고문헌 원문 서비스 현황과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사서교육전공.(Kim, Seung Woo. 2015. A study on digital service of old books and its improvement strategy. M. A. thesis., Yonsei University.)
  6. 남권희. 2003. 한국학 자료 전산화의 문제점과 바람직한 방향. 국학연구, 2(0): 327-370.(Nam, Kwon-hee. 2003. "The Problems of the Computerization of Korean Study Data and its Desirable Direction." Korean Studies, 2(0): 327-370)
  7. 안상민. 2007. 고문서 웹서비스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기록보존학과.(An, Sang Min. 2007. A Study on Real Situation of Web Service for Historical Manuscripts and Measures for Its Advancement. M. A.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8. 조형진. 2006. 고문헌의 디지털화 성과 한국학 자료 전산화의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3): 391-413.(Cho, Hyung-Jin. 2006. "A Study of Digitalization Performance of Sinological Resourc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3): 391-413.) https://doi.org/10.4275/KSLIS.2006.40.3.391